[보도자료] 인천 내 공공청사 1회용컵 사용 실태 민관 합동점검 결과

2024년 12월 5일 | 성명서/보도자료, 자료, 폐기물•플라스틱

[보도자료] 인천 내 공공청사 1회용컵 사용 실태 민관 합동점검 결과

-인천시 환경단체와 민관 공공청사 1회용컵 사용 합동점검 실시
– 인천시청, 1회용컵 반입률 0% 달성으로 1회용품 사용 저감 모범사례 제시
– 관심에 따라 1회용컵 반입·사용률 차이 뚜렷, 함께 노력해야

○ 지난 11월 26일부터 29일 강화도시민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이 인천광역시와 함께 공공청사 1회용컵 사용실태를 합동점검했다. 대상은 인천시청과 인천시교육청, 인천 내 10개 군·구 청사 총 12개 청사이다. 인천시청에서 군·구에 기간과 내용을 사전에 안내한 후 조사를 진행했다.

○ 조사는 오후 12시부터 13시까지 점심시간 중 청사에 입장인원을 기준으로 1회용컵, 다회용컵 반입인원을 세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1회용컵 반입률(1회용컵 반입인원/입장인원, 이하 반입률)과 1회용컵 사용률(1회용컵 반입인원/(1회용컵 반입인원+다회용컵 반입인원), 이하 사용률)를 계산했다. 1회용컵 반입률은 전체 청사 입장인원 중 1회용컵을 청사로 반입한 인원의 비율을, 1회용컵 사용률은 청사 내 음료 반입인원 중 1회용컵을 사용한 인원의 비율을 의미한다.

○ 조사 결과 인천시 12개 공공청사의 평균 반입률은 17.32%, 사용률은 79.26%로 나타났다. 가장 모범적인 청사는 인천시청으로, 반입률은 0.53%, 사용률은 6.67%로 나타났다. 지난 10월 진행한 인천환경운동연합 자체 조사 대비 반입률은 10.76%, 사용률은 80.61% 감소한 수치로, 점검에 대비한 결과임을 감안하더라도 모범적이다. 그 동안의 다회용컵 보급사업과 텀블러 세척기 설치 등 인프라 구축의 성과와 소속 공무원의 높은 자원순환 의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인천시청 정문 설치된 다회용컵 대여함과 반납함

 

○ 이 외에도 부평구청(반입률 4.71%, 사용률 48.00%), 계양구청(반입률 5.02%, 사용률 46.43%), 연수구청(반입률 8.97%, 사용률 72.22%), 남동구청(반입률 13.91%, 사용률 51.61%)이 1회용컵 반입률과 사용률이 낮았다.

○ 반면 옹진군청이 반입률 65.12%, 사용률 100.00%로 1회용컵 사용이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강화군청(반입률 37.06%, 사용률 99.07%), 중구청(반입률 35.64%, 사용률 92.31%), 서구청(반입률 29.82%, 사용률 99.00%), 인천시교육청(반입률 22.42%, 사용률 92.50%), 미추홀구청(반입률 21.47%, 사용률 100.00%), 동구청(반입률 21.01%, 사용률 100.00%)이 1회용컵 반입률과 사용률이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 결과 우수한 청사(인천시청, 부평구청, 계양구청, 연수구청, 남동구청)와 미비한 청사(옹진군청, 강화군청, 중구청, 서구청, 인천시교육청, 미추홀구청, 동구청)가 평균(반입률 17.32%, 사용률 79.26%)을 기준으로 확실히 구분돼, 어느 청사가 자원순환에 진심으로 노력하고 있는지 분명히 알 수 있다. 미비한 청사들의 반성과 노력이 필요하다.

○ 미리 예고된 조사이기 때문에 담당 공무원의 합동점검 대비를 위한 노력과 동료 공무원의 협조에 따른 영향이 있지만, 각 청사의 자원순환에 대한 관심과 다회용컵 보급 사업의 성과가 함께 반영된 결과이다. 특히 수치가 급감한 청사일수록 이미 제반 여건이 충분히 갖추어져 노력을 통해 1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청사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남동구청의 경우 10월 반입률 30.05%, 사용률 90.16%로 미비한 청사에 해당했지만, 11월에는 반입률 13.91%, 사용률 51.61%로 급감하여 우수한 청사로 평가됐다.

○ 자원순환사회의 구축은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위기 대응에 필수조건이다. 공공청사의 1회용컵 사용실태만으로 자원순환 정책을 평가할 수는 없지만, 1회용컵 사용저감 없이는 자원순환사회의 구축은 불가능하다. 강화도시민연대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은 앞으로도 인천시와 협력하여 1회용컵을 포함한 1회용품 전반의 사용 실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2024. 12. 5.

강화도시민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