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순비기나무

순비기나무

바닷가 모래 언덕등에서 사는 나무입니다. 사람들에 의해 많이 훼손되어 군락지를 보기가 힘든데 대청도에서는 이와 같이 대단한 군락지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06.9.5 대청도,  9.6 백령도

수박풀

보통 개간하거나 매립하는 곳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꽃은 백령도의 택지매립지에서 열매는청라도의 매립지에서 각각 담은 것입니다. 06.9.7 백령도, 06.9.10 청라도

여치

여치

오래전에 밀집으로 만들던  여치집이 생각납니다. 06.9.10 청라도

통발

개발 예정지인 청라도의 통발입니다. 벌레 잡아 먹는 식충식물... 06.9.3  청라도

기수초

기수초

민물과 만나는 기수역 근처에서 많이 산다하여 기수초라 이름을 받은 염생식물의 하나입니다. 잎이 칠면초와 해홍나물보다 확실히 얇고 줄기에서 가지가 마주나기로 갈라집니다. 이렇게 멋진 기수초 군락지를 발견하여 참으로 즐거웠습니다....

물옥잠

농부들이 싫어하는 물옥잠이 모여 있으니 연꽃 부럽지 않습니다. 06.9.1  강화도

산호랑나비 애벌레

산호랑나비 애벌레

산호랑나비 애벌레라고 하네요.. (전 잘 모르지만) 계양산에서 골프장반대 모임을 마치고 내려오다가 하도 예뻐서 담아봤습니다.. 06.9.3  계양산

꽃며느리밥풀(흰색)

꽃며느리밥풀(흰색)

이제 꽃며느리밥풀이 온 산에 한창입니다. 흰색의 꽃며느리밥풀은 극히 드물게 보입니다. 06.8.23  경기도 화악산

흰진범

흰진범

미나리아재비과 덩굴식물로 줄기 끝에 모여서 꽃이 핍니다. 진범이 보라색인데 이넘은 대체로 흰색이며 무슨 잘못을 했길레 흰   진범인지요?ㅎㅎㅎ

토현삼

토현삼

높은산에 자라는 다년생으로 꽃이 작지만 꽃잎속의 두 이빨 같은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 06.8.23  화악산

동자꽃

동자꽃

동자승 같이 애련하고 깨끗하게 피어나고 열매는 생각보다 큽니다. 06.8.23  화악산

바위구절초

높은 산에 적응하느라 잎이 작고 짤막하게 생겼고 키도 작습니다. 06.8.23  화악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