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녹색연합에서 인천자전거실태시민조사단을 꾸려서 인천전지역에 대한 시설현황과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언론에 보도하는 등 인천에서 자전거이용의 문제점을 지역사회에 부각시켰습니다. 그 결과 작년말에는 인천시자전거조례가 제정되었고 3월에는 민관공동 인천시자전거이용활성화위원회가 구성되었습니다. 관련해서 인천일보에 나무꾼의 글이 실려 옮겨봅니다. 인천에서 안전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는 날을 기대하며 ‘자전거세상’회원님들 기운내세요 ^^*
——————————————————————————————————
인천시 자전거이용활성화위원회 발족에 부쳐
몇 년 전부터 심상치 않던 국제유가가 결국 100달러를 넘었다는 소식이다. 에너지과소비와 자동차중심의 교통체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와 같은 일을 예견하고 있었다. 우리는 화석연료가 가져다주는 풍요로운 삶으로 인해 지구온난화와 에너지고갈문제를 애써 외면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지난 18일 인천시 자전거이용활성화위원회가 발족하였다. 앞으로 인천시자전거정책을 논의하게 될 위원회는 지난해 인천일보와 인천시민이 자발적으로 조사단을 구성하여 자전거관련 시설과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제안한 것이다. 작년 말에 제정된 인천시자전거조례와 함께 인천에서 자전거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된 것이다.
인천시의 자전거교통수단분담률은 0.8%로 전국 최하위이다.
그러나 우리는 제도적인 장치만으로는 자전거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함을 이미 알고 있다. 정부에서는 1995년에 ‘도시교통난과 주차난 해소, 유류절약 및 환경오염방지, 국민건강증진과 근검절약하는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자전거이용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자전거이용활성화에관한법률’을 제정하고 수천km의 자전거도로와 수십만대분의 보관대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자전거교통수단분담률은 2%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인천시는 0.8%로 전국 최하위이다.
매년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고도 자전거이용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자전거를 자동차와 동등한 교통수단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도심의 교통정책은 자동차를 위한 도로확장과 주차장건설에만 집중되고 자전거관련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더구나 인천시 260km의 자전거도로는 대부분 보행자겸용으로 인도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행권을 침해하고 있으며 불법주차, 시설물 등에 대한 관리부재로 주행성도 확보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확한 이용실태조사없이 실적위주의 자전거이용시설설치도 자전거이용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이다. 2006년 인천녹색연합의 조사결과 현재 인천에서 자전거를 주로 이용하는 것은 학생으로 인천지역의 학생 중 절반이 자전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안전한 자전거통학로가 확보되지 않아 부모와 학교선생님들이 자전거통학을 만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4천대가 넘는 자전거거치는 적재적소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심한 경사로 이용자가 적은 인천시청역 주변의 보관소는 텅~비어 있고 이용자가 많은 부평역에서는 턱없이 부족하여 가로수가 보관소역할을 하고 있다.
자전거교통을 전담하는 부서를 신설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자전거가 도심교통수단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자전거를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승용차억제정책을 병행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경찰청과 교육청 등 관계기관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경찰청은 횡단보도에 자전거횡단로설치와 도로다이어트 등을 통해 차도에 자전거도로설치를, 교육청은 학생들의 자전거통학권장과 안전교육실시를, 지하철공사에서는 출퇴근 외 시간에 자전거소지승차허용을 검토하는 등 관련기관 모두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인천에서 자전거이용활성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관련기관 간의 업무를 조율하고 인천시의 자전거정책을 총괄할 전담부서의 신설이다. 인천시는 이제 자전거도로와 보관소 등 실적위주의 시설설치에만 머물렀던 과거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자전거교통 활성화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도시와 사람이 이미 자동차에 길들여져 있지만 자전거가 지구를 살리는 교통수단이라는 것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다. 매월 정기적으로 자전거행진을 펼치는 등 인천시민들은 이미 나섰다. 자전거조례와 활성화위원회는 자전거도시로의 첫걸음일 뿐, 이제 인천시가 시민들의 요구에 응할 차례이다.다. /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국장, 인천시 자전거이용활성화위원회 위원)
2008.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