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9시, “낙동강하구 을숙도 관통다리(명지대교) 건설계획은 한국 최대의 생태계를 파괴합니다” 동양 최대의 하구 습지인 을숙도가 위기에 처했다. 동양 최대의 하구 습지인 낙동강 을숙도. 2005년 6월 8일, 그 마지막 숨통이 끊겼다. 오늘, 낙동강유역환경청 문정호 청장은 환경보호의 역할을 망각한 채, 역사상 유례없는 습지보호구역 내 명지대교 건설 행위 승인을 전격 허가하였다. 습지보호구역에서 건설행위가 승인된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된 습지 죽음의 날이다. 습지보전법, 문화재관리법, 자연생태계보전법 등 숱한 보전법안은 쓰레기통에 버려졌다. 광주, 대전, 대구, 부산, 원주 등 전국녹색연합 활동가는 오늘의 치욕을 잊지 않을 것이며, 낙동강 을숙도가 다시 숨 쉬는 그날까지 습지보전을 위한 우리의 외침을 그치지 않을 것이다. [img:su1.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오전 9시, “낙동강하구 을숙도 관통다리(명지대교) 건설계획은 한국 최대의 생태계를 파괴합니다” 동양 최대의 하구 습지인 을숙도가 위기에 처했다. [img:su2.jpg,align=,width=550,height=733,vspace=0,hspace=0,border=1] “습지보호지역 내 행위승인을 하려는 청장님 미래가 두렵지 않습니까.” 낙동강유역환경청이 낙동강유역건설청으로 전락하지 않기를 바라며 습지보전의 마음을 담았다. [img:su3.jpg,align=,width=550,height=733,vspace=0,hspace=0,border=1] “6월은 환경의 날, 함께 가는 선진녹색한국”이라는 낙동강유역환경청의 플랭카드 문구는 과연 공염불에 불과한 것인가. 명지대교 주식회사가 신청한 습지보호구역 내 행위 승인의 마지막 허가 절차가 6월 10일 마감된다는 소식과 함께, 전국녹색연합 활동가들이 문정호 청장의 면담을 요구하며 마지막 희망을 걸었다. [img:su4.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오전 9시 30분, 낙동강환경유역청장 회의실에서 전국녹색연합 10인의 대표단은 문정호 청장과 1시간 동안 면담을 가졌다. 문정호 청장은 한결같이 “안타깝지만, 이미 때가 늦었다”, “더 이상 명지대교 행위승인을 미룰 수 없다”, “우리의 역할을 할 만큼 했다”는 말만 되풀이 하였다. [img:su5.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대표단은 정보공개청구서을 제출해 행위승인에 대한 사실 확인을 하였다. 대표단과 문정호 청장의 면담이 진행되는 그 시각 곧 바로 명지대교 행위승인 허가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고, 대표단은 환경청 회의실에서 농성에 돌입했다. [img:su6.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오후 2시, 환경단체 NGO가 환경부 직원에 의해 물리력으로 청장실에서 쫒겨 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img:su7.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우리는 이 치욕의 날을 잊지 않을 것이다. 살려달라는 을숙도 생명의 외마디에 눈물을 참을 수 없다. [img:su8.jpg,align=,width=550,height=828,vspace=0,hspace=0,border=1] 2층 청장실에서 환경부 직원들에 의해 밀려난 대표단은 울분을 참을 수 없었고, 낙동강유역환경청을 그냥 나갈 수 없었다. [img:su9.jpg,align=,width=550,height=828,vspace=0,hspace=0,border=1] 오후 3시, 농성장은 청장실에서 2층 계단으로 옮겨졌고, 우리의 요구는 철저히 묵살 당했다. 명지대교 행위허가 반려하라는 우리의 요구는 청장 사퇴, 환경부 직무 유기의 구호로 다시 이어졌다. [img:su10.jpg,align=,width=550,height=828,vspace=0,hspace=0,border=1] 오후 4시, 환경부 직원들의 고성이 오갔다. “우리도 공익을 위해 이럴 수 밖에 없다”고 문정호 청장은 명지대교 행위승인의 타당성을 주장했고, 곧 바로 경찰의 호위를 받은 환경부 부하 직원들이 대표단을 몰아냈다. [img:su11.jpg,align=,width=550,height=412,vspace=0,hspace=0,border=1] 환경부 직원에 의해 입구 밖까지 들려 쫒겨난 최승국 녹색연합 협동사무처장 [img:su12.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동양최대 습지보호지역 낙동강 을숙도의 생명의 외침이 들리지 않는가. 을숙도는 자자손손 보존해야 할 우리의 자랑스런 문화자산이다. [img:su13.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우리는 이대로 물러설 수 없었다. 오늘의 치욕을 곱씹으며 대표단과 농성단은 청사 입구에서 다시 외쳤다. “명지대교 행위승인 허가를 철회하라”. “환경부는 개발부처가 아니다”, “문정호 청장은 즉각 행위승인에 대한 입장을 밝혀라” [img:su14.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하루 종일 농성에 녹색연합 활동가의 얼굴을 붉게 타들었다. 을숙도를 살려달라는 뭍 생명의 외침에 그 마음도 타들었다. [img:su15.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0,hspace=0,border=1] 낙동강유역환경청. 정녕 낙동강 하구 습지를 보전할 의지가 한 푼이라도 있는 것인가. 환경부는 명백하고 부당한 개발행위로부터 자연생태계를 보전해야 할 책무가 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정녕 낙동강 하구 습지를 보전할 의지가 한 푼이라도 있는 것인가. 환경부는 명백하고 부당한 개발행위로부터 자연생태계를 보전해야 할 책무가 있다. 낙동강 을숙도 습지보호를 위한 1%의 가능성이 있더라도 우리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명지대교로 사라질 을숙도 뭍 생명에게 약속했다. 1%의 가능성을 51%의 가능성으로 돌려놓을 것이라고…… [img:su16.jpg,align=,width=550,height=828,vspace=0,hspace=0,border=1] “낙동강 하구 습지보호지역내 행위승인 신청에 대하여 습지보전법 제13조제5항(기타 공익상.군사상 부득이 한 경우)의 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승인하니…” 명지대교 건설의 ‘공익’을 위해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을숙도 습지의 공익을 포기했다. [img:su17.jpg,align=,width=550,height=828,vspace=0,hspace=0,border=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