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마른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어라

2006년 1월 17일 | 하천

“당신은 생태하천으로 복원을 위해 얼마를 지불할 수 있습니까?” 하천복원에 대한 주민들의 설문조사결과 장수천의 생태하천복원으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5년간 3,000천억원이 넘는다고 한다. 청계천복원으로 1천만명 이상이 관람하는 등 하천복원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생태하천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은 대단하다. 메마른 도심에 하천은 단순한 물길 이상의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제 도심하천에 대한 가치인식의 변화는 콘크리트하천을 자연형하천으로 바꾸고, 복개하천을 복원하는 등 사라진 하천을 다시 되돌리기 위한 역사로 곳곳에서 전개되고 있다. [img:westriver_3.jpg,align=,width=550,height=365,vspace=5,hspace=10,border=1] 그러나, 인천은 어떠한가? 2005년, 청계천복원이 이루어지는 과정에도 인천시의회에서는 주민들의 민원이라며 용현천을 복개한다고 의결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다. 그야말로 한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는 한심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그 뿐이 아니라 나진포천의 상류구간도 도로를 만들기 위해 복개중이다. 이미 개발부처의 상징인 건설교통부마저 하천복개의 중단을 선언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의 하천행정과 정치인들의 인식은 아직도 근대화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부평과 계양일대에서 하천기능을 수행하던 서부간선농수로 역시 이미 삼산동 택지개발을 위해 2003년, 수백미터가 매립되었는가 하면 도로개설과 택지조성을 명목으로 그 가치가 알려지지도 못한 채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img:westriver_2.jpg,align=,width=550,height=412,vspace=5,hspace=10,border=1] 도심하천은 메마른 도시에 적당한 물기를 제공하고, 오염된 대기에 생기를 불어넣는 바람길 역할을 하고, 물고기를 비롯한 수많은 생명의 서식처이자 이동통로이며 뜨거워진 도시의 열기를 식힌다. 그 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이 산책과 운동을 즐기는 친수문화공간으로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제 도심에서 하천의 가치는 같은 규모의 도로와 주택과 비교가 안되는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서부간선수로에도 참붕어와 잉어, 잠자리와 물총새, 갈대와 부들이 살고있는 생태계공간이자 매일 수백명이 넘는 시민들이 산책과 휴식을 하는 곳이다. 겨울철인 요즘 아이들이 신나게 썰매를 타고 연을 날리는 도심 속 자연문화공간이다. 이제 서부간선수로는 개발이라는 구시대적 가치로 쉽게 사라져서는 안 될 시민과 미래세대들의 소중한 공간이다.       2005년 12월 20일, 삼산동 농수로 생태하천 조성 주민대책위 사무실에서 계양봉사단, 인천녹색연합, 인천연대 계양지부, 새마을운동 계양지회, 삼산동 농수로 생태하천 조성 주민대책위가 참여하여 ‘서부간선수로를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기 위한 시민모임’을 창립할 것을 결의하고,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유지용수 확보방안으로 한강물을 끌어올려 삼산동의 목수천으로 흘려보내는 방안을 확정지었다. [img:westriver_1.jpg,align=left,width=265,height=350,vspace=5,hspace=10,border=0]또한,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염원하는 1만인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생태하천 조성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은 재정의 확보입니다. 청계천 구간은 10.84km로 공사비 3,600억, 굴포천 구간은 13.66km로 공사비 400억, 부천 시민의 강 5.5km로 공사비 332억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서부간선수로는 다른 하천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저렴한 비용으로 생태하천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농업기반공사에 따르면 서부간선수로 12km구간의 생태하천 조성비용은 시설보수비 12억, 년 간 유지비 8억이면 충분합니다. 또한 다른 하천이 3-4년의 공사기간이 필요하지만 서부간선수로는 1년이면 충분히 생태하천으로 조성할 수 있습니다. 시간과 비용, 시민의 호응과 편익 등 모든 면에서 서부간선수로는 반드시 생태하천으로 거듭나야 합니다. 그리고 미래세대의 희망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서부간선수로의 생태하천 조성은 포기할 수 없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 그리고 인천시와 정부의 전향적인 재정 지원뿐입니다. ‘서부간선수로를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기 위한 시민모임(준)’은 앞으로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 1만인 서명운동’을 통하여 시민과 함께 서부간선수로를 생태하천 조성하기 위한 활동을 힘차게 전개할 것입니다.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서명동참을 부탁드립니다.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시민모임 경과보고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시민모임(이하 서부간선수로 시민모임)은 현재 준비위원회 모임이며 서부간선수로를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단체와 개인이 참여하는 모임입니다. 2005년 6월부터 각 단체 간의 간담회와 회의를 통해 서부간선수로에 대한 대책을 논의 했습니다.   준)서부간선간선수로 시민모임은 그간 서부간선수로를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기 위해 수많은 토론을 진행했지만 서부간선수로가 삼산동에서 막혀있음으로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서부간선수로에 한강물을 유지용수로 사용한다 해도 물을 배출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물이 흘러 나가기 위해서는 서부간선수로 삼산동 지점에서 굴포천과 연결시켜 살려야 한다는 의견은 있었지만 굴포천과 연계시키는 것은 수질의 문제와 예산확보 등의 문제로 불가능 했습니다. 논의를 거듭한 결과 새로운 방안을 도출하게 되었습니다. 굴포천과 연계 없이 한강물을 유지용수로 서부간선수로에 공급하고 삼산동 목수천으로 흘러 나가게 하는 방안을 확정지었습니다.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 방안이 확정되면서 계양과 부평의 7개 환경ㆍ사회단체는 서부간선수로의 일부인 계양구의 일정구간만을 또는 부평의 삼산동 구간만을 친수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아니라 12km 달하는 서부간선수로 전체를 생태하천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준)서부간선수로 시민모임을 결성하기로 하였습니다.   – 2005년 6월 02일: 삼산동 농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주민대책위 결성 – 2005년 6월 19일: 삼산동 농수로 주민대책위와 계양봉사단 간담회 – 2005년 7월 04일: 시의원 방청 및 강창규 시의원 면담 – 2005년 7월 05일: 시의회 방청 및 이진우 시의원 면담 – 2005년 7월 07일: SBS ‘물은 생명이다’ 촬영 – 2005년 7월 13일: 인천하천살리기추진단 전체 워크숍 참가 – 2005년 7월 17일: 제3회 삼산동 농수로 생태하천 조성 낚시대회ㆍ제1회 그림대회 개최 – 2005년 7월 18일: SBS ‘물을 생명이다’ 방영 – 2005년 7월 19일: 인천시 물관리과장 면담 – 2005년 7월 21일: 삼산동농수로 주민대책위와 계양의제21추진협의회,녹색연합과 간담회 – 2005년 7월 24일: 서운동 성당 방문 – 2005년 7월 31일: 삼산동 농수로 주민대책위와 계양구새마을협의회 간담회 – 2005년 8월 05일:  삼산동 농수로 주민대책위와 인천연대 계양지부 간담회 – 2005년 8월 29일: 1차 서부간선수로 대책 협의회의 : 삼산동 농수로 대책위, 계양구새마을협의회지회, 인천연대 계양지부, 계양 봉사단 – 2005년 9월 05일: 2차 서부간선수로 대책 협의회의 : 삼산동 농수로 주민대책위, 녹색연합, 계양구새마을협의회, 인천연대 계양지부, 계양 봉사단 – 2005년 9월 21일: 굴포천 설명회 참여 : 2009년 2단계 공사 때 서부간선수로 삼산동 구간 공사를 하겠다고 발표. – 2005년 9월 22일: 3차 서부간선수로 대책 협의회의 : 삼산동 농수로 주민대책위, 서운동 성당, 녹색운동연합, 계양구 새마을지회, 인천연대 계양지부, 계양 봉사단. – 2005년 11월 09일: 4차 서부간선수로 대책 협의회의 – 2005년 12월 05일: 농업기반공사 김포지사 방문 – 한강물을 유지용수 활용에 대한 질의 – 2005년 12월 20일: SBS ‘물은 생명이다’ 서부간선수로 2차 촬영 – 2005년 12월 20일: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시민모임 창립 1차 준비모임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 방안 합의, 서부간선수로 시민모임 창립 합의 – 2005년 12월 27일: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시민모임 창립 2차 준비모임 – 2005년 12월 28일: SBS ‘물을 생명이다’ 서부간선수로 2차 방영 – 2006년 01월 05일: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시민모임 창립 2차 준비모임 □ 사업계획 – 2006년 1월: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1만인 서명운동   – 2006년 1월: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삼산동 주민 대청소 – 2006년 1월: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1회 썰매대회 (부평) – 2006년 2월: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1회 연날리기 대회 (계양구) – 2006년 2월: 서부간선수로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토론회 – 2006년 3월: 깨끗한 서부간선수로 만들기 – 창포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