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는 유가로 인한 에너지문제와 자동차에 의한 환경오염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2006년 11월 19일부터 30일까지 인천, 대전충남, 광주전남녹색연합 활동가와 녹색연합의 자전거소모임 회원들이 네덜란드와 독일의 자전거도시를 찾았다. 이번 연수는 녹색연합의 상근활동가 해외연수을 위한 기금과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항공료를 일부 후원받아 다녀왔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여 인천일보를 비롯한 각 지역언론(광주드림, 충청투데이)과 인터넷(오마이뉴스)에 발표하여 자전거를 통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도시로의 전환을 모색하고자 기획하였다. 인천에서는 황복순회원님과 현수,현석 어린이회원과 영상촬영으로 임미려(비디오저널리스트)님이 함께 다녀왔다. 자전거의 교통수송분담률 33%, 암스테르담 비행기 도착지인 프랑크푸르트에서 하룻밤을 묵은 방문단은 20일 아침 첫 방문지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출발하였다. 네덜란드로 향하는 길에 잦은 배침몰사고로 로렐라이(지나는 배의 뱃사공이나 선객이 모두 이에 홀린 나머지 배를 잘못 몰아 결국 바윗돌에 배를 파선시킨다는 절세의 미인이자 마녀인 물의 요정)의 전설이 생겨났다는 라인강변의 로렐라이언덕에 잠시 들려 라인강의 기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독일에서도 한국유학생이 많은 도시로 알려진 뒤셀도르프에서 점심식사한 후 8시간만인 저녁 5시경에야 암스테르담의 부근에 도착할 수 있었다. 암스테르담시 경계에 들어서니 마침 퇴근시간과 맞물려 우리나라 주말 고속도로와 간선도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풍경이 펼쳐졌다. 차도 위에 길게 늘어선 차량들. 숙소를 찾느라 잠시 헤맨 것을 감안하더라도 목적지인 숙소까지 10km정도의 거리를 남겨두고 네비게이션을 이용하고도 1시간이 넘게 걸렸다. [img:692.jpg,align=left,width=250,height=165,vspace=1,hspace=3,border=1] 시내에 들어서니 교통체증의 이유를 금방 알 수가 있었다. 고속도로를 달려온 수많은 차들이 1~2차선의 시내를 통과하느라 늘어서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처럼 끼어드는 풍경이나 요란한 경적소리는 전혀 들을 수가 없었다. 심지어 자동차들은 도로를 무단으로 도로를 횡단하는 사람이나 갑자기 출현한 자전거에 대해서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듯했다. 차창 밖의 거리풍경은 온통 자전거의 행렬로 비가 내리는 날임에도 자전거는 빠르고 당당하게 질주하고 있었다. 트렘과 자동차, 자전거와 보행자가 얽혀 각자의 목적지를 향하고 있는 모습이 무질서해보이기까지 하였다. 이튿날 네덜란드 최대의 자전거단체인 Fietsersbond(시민자전거이용협회, 과거 ENFB)관계자를 만나기 위해 나선 방문단은 빨간색 자전거그림 신호등에 멈춰섰던 자전거행렬이 파란색 자전거신호등이 녹색으로 바뀌자 일제히 자전거전용도로를 이용하여 나아가는 것을 보고 감탄사를 연발하였다. 한국에서는 볼 수 없는 진풍경이었다. [img:644.jpg,align=right,width=230,height=165,vspace=1,hspace=1,border=1] 네덜란드가 자전거교통수송분담률 세계1위(네덜란드의 자전거 수송분담률 27%, 암스테르담의 자전거수송분담률 33%)가 된 것은 지형학적으로 산이 없어 평평하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게 나타샤(시민자전거이용협회대표)의 설명이다. 그녀는 ‘네덜란드는 정부차원에서 차량증가로 인한 도심의 교통난과 환경오염과 에너지문제 해결을 위해 자전거에 주목하게 되었고 자전거를 독립된 교통수단으로 인식하면서 도심에서의 자동차를 억제하고 자전거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을 1970년대초 1차오일쇼크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시행해왔다.’고 힘주어 말한다. [img:695.jpg,align=,width=550,height=420,vspace=1,hspace=0,border=1] 자전거와 대중교통을 위해 설계된 도시, 그로닝겐 네덜란드에서 두 번째로 방문한 도시는 암스테르담(인구 74만명)에서처럼 번잡하지 않고 조용한 분위기의 그로닝겐(Groningen, 인구18만명)이었다. 그로닝엔시에서도 암스테르담에서와 마찬가지로 보행자와 자전거를 위해 자동차와 트렘(괘도열차)이 서행하고 정장의 신사와 치마차림의 숙녀가 자전거위에서 신호대기하고 있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었다. [img:dsc_0604_1-namukkun33.jpg,align=left,width=250,height=165,vspace=1,hspace=1,border=1] 그로닝엔시는 네덜란드에서도 자전거와 대중교통을 위해 설계된 대표적인 도시이다. 도심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차량운전자들이 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직접 통과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었다. 자동차로 다른 구역으로 가려면 도심순환도로를 이용해서 한참을 돌아가야 하지만 자전거는 도심의 구역에 관계없이 어디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img:_726_1-namukkun33.jpg,align=right,width=243,height=165,vspace=1,hspace=1,border=1] 또한 도심에서도 자동차 운행을 줄이기 위해 ‘카-프리 존(Car Free Zone:자동차 금지 구역)’을 지정하여 허가받은 일부차량을 제외하고는 차량통행을 제한하고 있었다. 그래서 도심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중앙역에 내려 자전거를 이용하거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자전거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중앙역과 도심곳곳에는 대규모의 자전거 주차시설(시설부족으로 증축공사중)이 갖추고 있으며 빠른 배차간격으로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배려도 하고 있다. [img:F8_479_1-namukkun33.jpg,align=right,width=250,height=165,vspace=0,hspace=0,border=1] 자전거이용자들을 위한 배려는 거기에 그치지 않고 곳곳에 자전거이정표를 설치하여 길을 알려주고 있으며 자전거주차시설은 자전거도난방지의 역할뿐 아니라 고장수리도 겸하고 있다. 계단이 있는 주차시설에는 어김없이 자전거를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레일 등을 설치하고 있다. 기차 등 대중교통에 자전거를 실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교차로에서 자동차보다 자전거전용신호가 우선이며 자동차와 보행자가 신호대기하고 있는 사이에 자전거는 원하는 방향 어디로든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img:dsc_0590_1-namukkun33.jpg,align=left,width=250,height=165,vspace=3,hspace=3,border=1] 그 뿐 아니라 눈이 내리면 차도는 미처 눈을 치우지 못해도 자전거도로는 우선적으로 눈을 치우고 소금을 뿌려 아침 일찍 자전거로 출근하는 데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있으며 자전거도로전용 제설차량까지 있다는 소리에 방문단의 부러움을 샀다. 생태도시부 장정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