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위한 영상, 자유를 향한 연대 인천인권영화제 정기상영회
“우리는 꾸준히 살아갈 것이다”
2011.6.19(수) 7시 30분 영화공간 주안 3관
인천인권영화제 2013년 첫 상영회, 밀양과 청도에서 살아가기 위해 죽도록 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펼치고자 합니다. 상영 후에는 김소희 감독(765와 용회마을) 미류 활동가(인권운동사랑방)와의 대화의 시간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인간다운 삶을 지속한다는 것, 공존의 공간과 공동체를 지켜나가는 것보다 더 가치 있는 일은 없다는 공감의 자리를 여러분과 함께 만들고 싶습니다.
인천인권영화제 드림
송전탑 Pylons
이동렬 | 2013 | 다큐 | 25분 | 한국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삼평1리에 송전철탑이 들어선다. 송전선으로 인한 전자파 피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전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전자파 피해는 발암피해와 지가하락이다. 이로 인해 마을은 살 수 없는 곳이 되고 떠나고 싶어도 떠날 수 없는 곳이 되어버린다. 마을 입구를 가로지르는 3기의 철탑중 2기는 완공되고 마지막 1기를 막기위해 마을 사람들은 농성천막을 치고 공사장을 지키기 시작한다. 농성장에서 할머니 9분과 4명의 형님, 형수님이 공사를 막고 있다.
765와 용회마을 A place where we belong
김소희 | 2013|다큐 | 50분 | 한국
단장면 용회마을에선 하루가 정신없이 흘러간다. 새벽같이 일어나 소밥을 주고, 깻잎을 후딱 따고 집을 나선다. 4-5명으로 이루어진 조는 산을 오르거나, 마을 입구에서 보초를 선다. 농사지으랴 공사 막으랴 몸이 열개라도 모자르기만 하다. 가끔씩 농사와 공사 사이에서 무엇이 더 중요한지에 대해 싸움이 일기도 하지만 함께 울고, 함께 웃으며 지내고 있다.
밀양, 10일간의 투쟁
박배일 | 2013 | 다큐 | 10분 | 한국
지난 5월 20일, 한전에서 중단했던 밀양 송전탑 공사를 재개하면서 극한의 대치상황이 이어졌다. 5월 20일부터 29일까지, 전문가 협의체가 구성되고 공사 중단이 되기 전까지의 상황을 다룬 속보이다.
밀양, 10일간의 투쟁
박배일 | 2013 | 다큐 | 10분 | 한국
지난 5월 20일, 한전에서 중단했던 밀양 송전탑 공사를 재개하면서 극한의 대치상황이 이어졌다. 5월 20일부터 29일까지, 전문가 협의체가 구성되고 공사 중단이 되기 전까지의 상황을 다룬 속보이다.
인천인권영화제는 누구나 함께 할수 있도록 무료상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인천인권영화제조직위원회 032.529.0415 www.inhuriff.org
블로그 http://blog.naver.com/inhuriff
트위터 https://twitter.com/inhuriff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inhuri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