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한남정맥 훼손, 검단~장수간 도로건설 절대 안 될 일!
인천시는 재정파탄의 주범인 인천도시공사를 위한 도시계획이 아닌
300만 인천시민과 미래세대를 위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라!
최근 인천시가 검단~장수간 도로 신설을 포함한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고 언론을 통해 전해졌다. 인천내륙의 유일한 자연녹지이며 시민들의 허파인 한남정맥 내 검단~장수간 도로건설은 절대 안될 일이다. 시민들의 염원에 따라 이미 2012년 인천도시기본계획에서 삭제된 무덤 속 망령을 다시 언급하는 것은 인천재정파탄의 주범인 인천도시공사의 땅투기용으로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
2009년에 계획되었던 검단장수간 도로는 교량 17개, 터널 8개가 포함된, 총연장 20.7km에 달하는 왕복4차선 도로로 한남정맥을 어묵꼬치 꿰듯 관통하겠다는 계획이었다. 도로예정지에서 불과 50m 떨어진 곳에 백운초교, 한일초교, 세일고교, 제일고교, 동인천고교 등 학교와 아파트 등이 인접해 있었다.
지금 계양산과 천마산, 원적산, 만월산 등 한남정맥의 인천둘레길은 수많은 인천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도로가 건설되면 운동과 휴식을 위해 한남정맥을 찾은 시민들은 자동차소음, 먼지와 매연에 시달려야 한다. 그동안 인천시도 도로로 단절된 한남정맥의 녹지와 생태축을 연결하기 위해 계양산 징맹이고개와 원적산 새사미고개에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생태이동통로를 건설하였다. 결국 검단장수간도로는 인천시가 추진해온 자연녹지축 보전과도 정면으로 배치되는 계획이다. 산림훼손은 물론이고 도로 건설과정과 건설이후에 발생하는 소음과 분진 발생 등의 수많은 환경문제들로 인해 환경단체들뿐 아니라 종교계와 여야정치권에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또한 인접지역 주민들도 ‘검단장수간도로전면철회범주민대책위원회’를 꾸려 활동했고 결국 2010년 인천시는 검단장수간도로(중부광역간선도로)폐지를 약속했고, 2012년에 2025인천도시기본계획에서 삭제했다.
지난 1월 인천도시공사는 검단신도시 분양율을 높이고 도시공사 부채해소방안이라며 검단~장수간 도로를 2015년 중점 추진계획이라 밝힌 바 있다. 결국 이번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안은 땅투기로 빚더미에 올라앉은 도시공사의 부채청산을 위해 300만 인천시민과 미래세대의 허파를 내어주겠다는 발상인 것이다. 이미 인천시민들은 수많은 녹지와 갯벌을 잃었다. 세계최대의 수도권쓰레기매립지와 각종 국가산업단지, 항만과 공항, 빼곡한 아파트숲이 되어버린 인천에서 한남정맥은 인천시민들 뿐 아니라 자연생태계의 마지막 보루이다. 도로로 난도질 돼 시민들의 환경권·건강권을 해치는 회색빛 미래를 그릴 것인가, 녹지와 갯벌, 하천이 어우러지는 푸른 미래를 그릴 것인가는 이번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에 달렸다.
더 넓고 더 많은 도로 건설이 교통문제의 근본해결책이 아님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다. 검단~장수간 도로는 전지구적인 기후변화대응정책에도 정면으로 배치되는 토목사업이다.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도시로, 세계적 녹색모범도시가 되겠다고 선언한 인천시가 주요 화석연료사용과 온실가스배출원인 자동차도로건설을 위해 대표적인 탄소흡수원인 자연녹지를 파괴하겠다면 전지구인들이 비웃을 일이다.
더 넓은 도로, 더 많은 도로는 더 많은 자동차를 도로로 끌어낼 뿐이다. 민선6기 인천시정부가 이미 폐기된 검단~장수간 도로를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에 반영하겠다면 범시민적인 저항에 부딪히고 국제적으로 망신을 당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안이 표방하는‘사람’중심의 국제·문화·관광도시는 묻지마·막개발·땅투기를 조장하는 도시가 아닌 시민들의 환경권·건강권을 보장하는 도시이다. 인천시가 진정으로 살기 좋은 도시, 살고 싶은 도시로 만들겠다면 검단~장수간도로계획안을 철회하고 인천내륙의 자연녹지인 한남정맥을 보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015년 4월 15일
가톨릭환경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