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기후변화대응 서울, 광주에 이어 3위
평가 지표: 건축, 교통, 생태환경, 도시계획, 도시재생, 인벤토리, 거버넌스 등 총7개 영역의 총 46개 지표 전문가 평가단: 이경재(녹색사회연구소 소장, 서울시립대 교수), 이태구(세명대 건축학과 교수), 김기준(교통연구원 부원장), 한봉호(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 이재준(협성대 건축도시학부 교수), 윤세홍(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 오용선(지앤지파트너즈(주) 대표) 김경화(녹색사회연구소 사무국장) 지역별 평가단: 이유진(녹색연합 에너지․기후변화국장), 장정구(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양흥모(대전충남녹색연합 국장), 장윤경(대구경북녹색연합 사무처장), 김현옥(부산녹색연합 간사), 임창곤(광주전남녹색연합 간사), 김경화(녹색사회연구소 사무국장) 조사목적 : 지자체의 기후변화 대응 실태를 정량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지자체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촉구하기 위함. |
<8대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대응 현황 평가>는 건축·교통·도시분야의 계획현황 및 실적을 평가하고, 정책방향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평가 대상은 초기에는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등 8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요청하였으나, 취합 결과 경기도를 제외한 7개의 광역지자체가 평가자료를 제출하였다. 평가지표는 건축, 교통, 생태환경, 도시계획, 도시재생, 인벤토리, 거버넌스 등 총7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46개 지표 도출하였다. 평가방법은 정량평가와 서술평가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정량평가는 제출된 자료에 근거로 지역평가단이 먼전 선행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영역별 전문가가 평가하였다.
2.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대응 현황 평가결과
표1. 영역별 우수지자체
영역구분 |
지자체명 |
건 축 |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
교 통 |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
환경생태 |
인천광역시 |
도시계획 |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
도시재생 |
없음 |
거버넌스 |
광주광역시 |
인벤토리 |
광주광역시, 서울특별시 |
구 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매우 활발하게 대응
|
도시계획
|
–
|
–
|
–
|
–
|
–
|
–
|
활발하게 대응
|
건축
교통
|
–
|
–
|
–
|
–
|
교통
건축
|
–
|
평균 수준으로 대응
|
환경생태
인벤토리
|
도시계획
건축
|
교통
건축
|
환경생태
건축
교통
|
거버넌스
인벤토리
건축 교통
도시계획
|
–
|
–
|
소극적 대응
|
거버넌스
|
교통
인벤토리
|
도시계획
|
도시계획 인벤토리
|
–
|
도시계획
인벤토리
|
교통
|
매우 소극적 대응
|
도시재생
|
환경생태
거버넌스
도시재생
|
환경생태
거버넌스인벤토리도시재생
|
거버넌스
도시재생
|
환경생태
도시재생
|
거버넌스
환경생태
도시재생
|
건축
환경생태
도시계획
거버넌스
도시재생
인벤토리
|
○ 광주광역시는 건축, 교통, 도시계획, 거버넌스, 인벤토리 영역에서 평균적 수준에서 대응, 환경생태, 도시재생영역에서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다수의 영역에서 평균 수준의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타 광역지자체들과 비교해 거버넌스와 인벤토리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인천광역시는 인천광역시 자체에서는 환경생태영역이 타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건축, 교통, 환경생태영역이 평균적 수준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도시계획, 인벤토리는 소극적으로, 거버넌스와 도시재생은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대전광역시는 건축, 교통영역이 활발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환경생태 영역이 평균적 수준으로 대응, 도시계획, 인벤토리 영역은 소극적으로, 도시재생, 거버넌스 영역이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대구광역시는 교통영역에서 활발하게, 건축 영역에서 평균적 수준으로 대응, 도시계획, 거버넌스에서 소극적으로, 환경생태, 도시재생, 인벤토리 영역은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시재생영역은 대응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부산광역시는 건축,도시계획영역은 평균 수준으로 대응, 교통, 인벤토리영역은 소극적으로, 환경생태, 도시재생, 거버넌스 영역에서는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타 지자체에 비해 도시계획 영역에서 대응이 활발하지만, 도시재생역역에서는 대응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울산광역시는 교통 영역은 소극적으로 대응, 건축, 환경생태, 도시계획, 거버넌스, 도시재생, 인벤토리 영역은 매우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도시재생, 인벤토리 영역은 대응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대응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 분
|
영 역 명
|
매우 활발하게 대응
|
–
|
활발하게 대응
|
–
|
평균 수준으로 대응
|
건축, 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