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계양산에서 수도권 최대규모의 두꺼비 산란지 확인

2013년 3월 18일 | 성명서/보도자료

 

보도자료
인천 계양산에서 수도권 최대규모의 두꺼비 산란지 확인
– 높은 하천제방, 두꺼비 이동방해 대책마련 시급
– 계양산 전체의 두꺼비 서식지 및 이동경로 조사 필요
 
 
<조사개요>
․일시 : 2012년 2월 ~ 2013년 3월
․장소 : 계양산 박촌동, 다남동, 목상동 일원
․조사자 : ‘계양산친구들(인천녹색연합 계양산자연생태시민모니터링단)’
(김은영, 박주희, 장정구, 진현준, 신정은, 이규원)
․전문가 : 김종범 박사 (아태 양서·파충류 연구소장, 011-9773-9538)
 
 
인천 계양산에서 수도권 최대 규모의 두꺼비 산란지가 확인되었다. 인천녹색연합은 2012년부터 최근까지 계양산 자연생태조사를 실시하여 두꺼비 성체 최대 300여마리, 산란지 3곳을 확인하였다. 2013년에도 2월부터 10여차례 실시한 조사에서 환경부 지정 ‘포획금지 야생동물’ 두꺼비가 계양산 다남동 다남천 인근 습지에서 3월11일(월) 처음 산란이 확인되었다.
 
계양산은 인천내륙지역에서 가장 우수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곳으로 한국산개구리, 도롱뇽, 맹꽁이, 물장군, 반딧불이 등 인천시보호종과 멸종위기종이 발견되어왔다. 이런 계양산에 산지의 밭, 숲 등지의 그늘이나 낙엽 밑에서 주로 생활하고, 저수지나 물이 고인 논 등에서 짝짓기하는 두꺼비의 집단 서식지 확인된 것은 계양산의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입증한 것이다.
 
계양산의 두꺼비 집단산란지는 2012년 계양산자연생태시민모니터링단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2012년 모니터링 결과 계양산에는 다 자란 두꺼비가 최소 300여개체가 서식하고 산란지는 다남천 인근 습지를 제외하고 목상동과 박촌동 등 적어도 두 곳이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계양산은 수도권에서 그동안 확인된 두꺼비의 산란지 중 최대규모이다.
 
그러나 계양산 다남천 인근 두꺼비 산란지는 100cm~170cm 높이 다남천 제방으로 가로막혀 있어 습지에 안정적으로 산란하지 못하고 산란지를 찾아 헤매다가 다남천에도 산란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하천은 물이 흐르는 곳으로 산란한 알이 물살에 떠내려갈 수도 있어 두꺼비 산란에는 적합하지 않은 곳이다. 습지에서의 두꺼비 산란을 위해 숲에서 습지까지 안전한 이동통로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이번 조사기간 동안 다남천 산란지로부터 700m 떨어진 곳에서 방축로(방축동 산34-2번지, 방축동 80-4번지 인근)에서 로드킬당한 두꺼비 사체들이 발견되었다. 산란을 위해 수km까지도 이동하는 두꺼비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두꺼비의 서식지 면적은 광범위할 것이라 추측되며 두꺼비의 로드킬에 대한 대책마련도 필요한 상황이다.
 
아태 양서·파충류 연구소 김종범 박사에 따르면 이번에 조사된 계양산 집단산란지는 수도권 최대규모이며, 흐르는 물에 산란할 경우 알이 물살에 떠내려가 번식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며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전국적으로 대표적인 두꺼비 서식지는 청주 원흥이방죽, 대구 망월지가 있고 수도권에서는 서울 우면산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시민들의 힘으로 서식지를 보전하고 생태관광지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두꺼비 생활반경과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추가적인 산란지 또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동경로가 파악된다면 두꺼비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더불어 올해 조사한 집단산란지는 번식실패가 우려될 만큼 적합하지 않은 곳이기 때문에 두꺼비가 산란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 인천시 등 지방자치단체는 육상생태계와 습지생태계의 건강함의 지표인 두꺼비 보전을 위해 전문가, 시민단체와 함께 서식지 보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의 :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생태보전팀장 010-7322-6033
 

첨부사진1. 포접중인 두꺼비

 

 

첨부사진2. 적절한 산란지를 찾지 못해 흐르는 물에 산란된 알

 

첨부사진3. 제방으로 올라가지 못하는 두꺼비

 

첨부사진4. 생태통로 앞에서 로드킬 당한 두꺼비

 

■ 두꺼비
-학명 : Bufo gargarizans (Cantor, 1842)
-생물학적 분류 : 양서강 > 무미목 > 두꺼비과 > 두꺼비속
-먹이 : 잠자리, 나방, 메뚜기와 같은 곤충, 지렁이 및 입으로 삼킬 수 있는 모든 동물
-특징형태 : 개체에 따라 몸빛이 다양하고, 등 색깔은 다갈색, 황토색, 적갈색 등을 띤다. 온몸에 돌기가 오돌토돌 나 있으며, 암컷은 수컷에 비해 몸집이 크고 다리가 가늘고 길다. 입주변에는 검은선이 있다.
-크기 : 80~170mm, 보통 150mm 이하
-생태 : 번식기 이외에는 땅(산지의 밭, 숲 등지의 그늘이나 낙엽 밑)에서 주로 생활한다.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2월 말~3월에 태어난 장소인 산지 주변의 저수지나 물이 고인 논에서 짝짓기를 하는데, 수컷 간의 경쟁이 치열하여 암컷 한 마리에 서너 마리의 수컷이 엉겨 붙어 있는 광경을 쉽게 볼 수 있다.암컷은 수컷을 등에 업고 두 줄로 염주 모양의 9~12m 길이의 긴 알주머니를 물풀이나 벼 밑동에 붙여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올챙이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60~70일가량 지난 후 변태를 하여 땅 위로 올라온다. 주로 밤에 활동하지만, 번식 시기에는 낮에도 모습을 드러낸다.
-울음소리 : ‘콕-콕-콕’, ‘콕-콕-콕’ 하고 조금 높은 소리를 불규칙적으로 낸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한상훈)
■ 2013년 두꺼비 조사일지(일지작성, 사진과 동영상 촬영)
일시
다남천
저수지
조사자
3/11(월) 13:40~14:40
포접 8쌍(16개체)
혼자 15개체
포접 6쌍(12개체)
알주머니 1개
총 43개체
알주머니 1개
장정구
박주희
3/12(화) 17:35~18:45
포접 6쌍(12개체)
혼자 2개체
포접 4쌍(8개체)
혼자 2개체
알주머니 1개
총 24개체
알주머니 1개
박주희
진현준
3/12(화) 19:48~20:50
포접 49쌍(98개체)
혼자 97개체
관찰하지 못함.
총 195개체
박주희
진현준
3/13(수) 14:10~15:50
포접 30쌍(60개체)
혼자 40개체
알주머니 1개
포접 3쌍(6개체)
알주머니 2개
(1개는 새로 발견)
총 106개체
알주머니 3개
박주희
이규원
임기웅(영상)
신정은
3/14(목) 13:25~14:20
포접 11쌍(22개체)
혼자 6개체
알주머니 3개
(2개는 새로 발견)
포접 1쌍(2개체)
혼자 1개체
알주머니 2개
총 31개체
알주머니 5개
박주희
진현준
3/14(목) 22:02~23:50
포접 19쌍(38개체)
혼자 35개체
알주머니 3개
포접 1쌍(2개체)
알주머니 2개
총 76개체
알주머니 5개
박주희
진현준
 
■ 2013년 두꺼비 로드킬 조사내용
일시
위치
이동차량수
3/11(월)
N 37 33 22 07
E 126 43 45 84
(방축동 80-4)
조사하지 않음.
3/13(수) 16:10~16:50
N 37 33 25 49
E 126 43 28 18
(방축동 산34-2(생태통로 인근))
39대
* 기타 : 도보 턱 아래에서 북방산개구리 1쌍 발견(3/13)

* 인천녹색연합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3-03-18 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