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선6공구 공사현장 토양지하수오염!

2013년 6월 25일 | 성명서/보도자료


수인선6공구 공사현장 토양·지하수 오염!

– TPH, 지하수 정화기준 344배 초과오염
– 지질 투수성 양호, 주변지역 오염가능성 높음
– 주변의 유류지원부대부지 등 추가조사 실시해야

인천녹색연합이 6월 3일 인천시 중구청에 정보공개 청구하여 받은 수인선 복선전철사업 제6공구(이하 수인선6공구) 토양오염정밀조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수인선6공구 공사현장이 유류에 의해 토양과 지하수가 심각한 수준으로 오염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더구나 주변지역까지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주변지역에 대한 추가 조사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11월, 수인선6공구 노반신설공사 진행 중 남부정거장 및 본선구간 일부에 대한 굴착과정에서 유류오염의 개연성이 확인되어 토양오염도검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일부구간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어 중구청은 토양정밀조사 행정처분을 내렸었다. 이에 따라 수인선6공구 시공사인 대우건설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2012년 11월 14일부터 2013년 2월 28일까지 수인선6공구 공사현장부지에 대한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토양에서는 크실렌(Xylenes)과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각각 최고농도 167.4mg/kg, 3,255mg/kg으로 기준치(3지역)를 4배, 1.5배 초과하였고 오염예상 면적은 약 160.0㎡이고, 정화대상 부피는 약202.0㎥로 조사되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지하수 오염으로 에틸벤젠, TPH가 기준치 초과오염이 확인되었는데 TPH의 경우, 기준치(1.5mg/L)보다 무려 344배가 넘는 오염이 확인되었다. 특히 오염지역 지질의 투수성(2.68×10
-3cm/s)이 양호하여 주변지역까지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해당부지의 공사는 중단된 상태이고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시공사에서는 정화계획을 수립 중이며 지하수정화를 위해 토양오염구간의 지하수 양수조사를 별도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수인선6공구공사현장이 아니라 주변지역이다. 조사보고서에서 ‘현장부지 내 토양오염의 정확한 원인은 확인할 수 없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부지 내 모든 관측정에서 지하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검출된 점 및 투수성이 양호한 지질특성을 고려할 때, 오염된 지하수의 유동에 의해 국부적인 토양오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주변지역의 토양오염과 지하수오염의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것으로 수인선6공구 공사현장만의 오염정화로는 오염문제를 해결했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결국 오염원인을 정확하게 밝히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주변지역에 대한 추가조사가 불가피하다.

수인선6공구 오염지역 주변에는 유류취급 시설들이 적지 않게 위치해 있다. 특히 얼마 전까지 제32유류지원대로 사용된 군부대부지가 방치되고 있다. 수인선6공구 공사현장 뿐 아니라 군부대부지 등 주변지역까지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고 토양오염이 확인될 경우에는 수인선6공구 오염정화와 함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에 인천녹색연합은 다음과 같이 관계기관에 요구한다.

1. 인천시와 중구청은 수인선6공구 공사현장의 오염정화작업을 철저하게 관리감독하고 주변지역의 토양, 지하수오염 조사를 실시하라.

2. 환경부와 국방부는 유류지원부대부지 등 주변지역 토지에 대한 토지이용내역을 공개하고 토양, 지하수오염 정밀조사를 조사하라.

 2013년 6월 25일

 인천녹색연합


별첨사진    수인선6공구공사현장 오염지역위치
                     현장인근에 위치한 유류지원부대부지

 

문의 :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010-3630-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