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단장수간도로 계획 폐지를 위해 인천지역시민사회단체가 뭉쳤다!

2015년 9월 7일 | 성명서/보도자료

<보도자료> 검단장수간도로 계획 폐지를 위해 인천지역시민사회단체가 뭉쳤다!
– 9월4일, 40여명의 인천지역시민사회단체 회원들과 현장답사와 향후 대응방안 간담회 진행
– 인천내륙유일 녹지축 보전을 위해 범시민대책위 구성 예정. 각종 시민행동에 돌입할 것

 

지난 9월 4일(금), 인천지역시민사회단체 회원 40여명이 모여 검단장수간도로 계획지 현장답사와 대응방안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현장답사를 통해 검단장수간도로 계획의 심각성을 실감했으며, 간담회에서는 조직적인 대응을 위해 ‘검단장수간도로폐지·인천녹지축보전을 위한 범시민대책위원회(가칭)‘을 구성하기로 했다. 우선 10월에 열릴 인천도시계획위원회 회의에서 심의될 ’2030인천도시기본계획 수립(안)‘에 삽입된 검단장수간도로계획이 삭제될 수 있도록 각종 시민행동을 전개할 것이다.

 

현장답사는 검단장수간도로 계획지 일부인 원적산 새사미고개부터 백운역을 지나 만월산 약사사까지 3시간 가량 걸으며 진행됐다. 만약 도로가 생긴다면 녹지축이 어떻게 훼손될지, 어떤 아파트와 학교가 영향을 미칠지를 확인했다. 특히 단절된 녹지축을 다시 잇는다며 조성된 원적산생태통로와 현재 조성중인 백운역 녹색숲을 보며, 한쪽에서는 단절된 녹지축 복원 추진, 다른 한쪽에서는 녹지축을 단절시키는 도로 건설을 추진하는 인천시의 이중적인 정책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답사를 다녀온 이들은 “실제로 보니, 검단장수간도로 계획에 대한 심각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만약 검단장수간도로가 생기면 우리 삶의 질에 어떤 악영향을 끼칠지 우려된다.“ 등의 목소리를 냈다.

 

현장답사를 마친 후, 인천사회복지회관에 모여 검단장수간도로 폐지를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검단장수간도로가 폐지되어야 하는 이유를 다시 한 번 정리해 설명했다. 인천내륙유일 녹지축 훼손, 인천시민의 건강권·환경권 침해, 경관파괴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인천시가 제시하는 사업의 타당성과 필요성에 대해 따져보는 이야기들이 오고 갔다.

 

인천시는 교통량 증가 대비, 남북균형발전 등을 이유로 검단장수간도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그 근거가 되는 ‘검단장수간도로 적격성 심사자료(2009)’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또한 지난 7월 인천시는 ‘검단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변경(안)’에 ‘검단장수간도로(원당~장수IC 민자도로)’를 삭제해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바 있다. 검단신도시 2지구사업이 취소되었기에 광역 교통계획을 대폭 축소한 것이다. 현재 남북을 연결하는 기존 도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외곽순환고속도로(김포~안산)가 건설 중이며, 인천지하철2호선 개통예정에 있다. 이처럼 인천시가 주장하는 검단장수간도로 건설의 필요성은 전혀 설득력이 없으며, 지역사회에 논란과 혼란만 가져올 것이기에 검단장수간도로 계획 폐지는 마땅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이에 조직적인 대응을 위해 ‘검단장수간도로폐지·인천녹지축보전을 위한 범시민대책위(가칭)‘을 구성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약 열흘간 ’인천의 허파, 녹지축 보전을 위한 걷기대회(가칭)‘와 선전전 등을 진행하며 인천시민들에게 검단장수간도로 문제점을 알리고, 인천내륙유일 녹지축을 보전하자는 공감대를 형성할 것이다. 이 외에 9월 9일(수) 검단장수간도로계획 폐지를 촉구하는 종교계 선언을 시작으로 녹지축을 중심으로 각종 생태교육을 진행하는 자연안내자, 도로계획지 인근 아파트 주민, 학교 학생·학부모 등을 조직해 인천시에 인천시민들의 뜻을 전달하기로 했다.

 

이처럼 인천지역시민사회단체는 인천시의 검단장수간도로 계획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폐지하는 것이 인천시민을 위해 마땅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시는 지금이라도 검단장수간도로계획 폐지를 선언하고, 인천내륙유일 녹지축을 보전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만약 10월에 열릴 인천도시계획위원회에서 검단장수간도로가 포함된 채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이 통과된다면, 인천시는 계양산 골프장 문제보다 더 큰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2015년 9월 6일

 

검단장수간도로 계획지 답사 · 대응방안 논의 간담회 참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