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 주민모임 ‘점사모’ 첫 진행

2020년 10월 25일 | 점박이물범

백령도 주민모임 ‘점사모’<백령도 전해안 점박이물범 동시 조사> 첫 진행
– 백령도 점박이물범 조사 이래 전 해안 동시조사 결과, 총 158 개체 확인
– 주민모임 ‘점사모’회원 20여명 참여한 동시조사로 주민참여 의미 높아
– 주요 서식지 중 일부 지역의 서식환경 변화 감지, 변화요인 파악 필요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이하 황해물범시민사업단)은 지난 10월 18일(일) 점박이물범을사랑하는사람들모임(이하 점사모)과 <백령도 전해안 점박이물범 동시 조사>를 진행했다. 백령도 내 점박이물범의 서식지 3곳(하늬바다 물범바위/인공쉼터, 연봉바위, 두무진 물범바위) 동시조사는 조사 이래 처음이며, 백령도 주민들로 구성된 점사모 회원들이 직접 조사하였다는 데 의의가 크다. 또한, 전문가들이 현장에 상주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 주민들의 상시적인 조사와 기록 활동은 점박이물범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통합적인 보호관리 정책을 추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번 <백령도 전해안 점박이물범 동시 조사> 결과 점박이물범은 158마리 정도가 확인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백령도 전해안 점박이물범 동시 조사> 내용 및 결과
○ 조사일 : 2020. 10. 18(일)
○ 조사시간/물때 : 오전 11:30~13:00 / 8물때
○ 조사인원 : 20명(점사모 회원 17명, 황해물범시민사업단 3명)
○ 조사방법 : 해상조사(관할 어촌계 어선 이용, 육안 관찰), 육상조사(1곳-하늬해변, 망원경 및 카메라 이용한 관찰)
○ 조사지역 : 아래 그림


이번 10월 가을철 조사에서 점박이물범은 하늬바다(131마리) > 연봉바위(27마리) > 두무진 물범바위(0마리)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에 대한 선호도(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점박이물범은 하늬바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3리어촌계 어민들에 따르면 연봉바위를 이용하는 개체수도 꾸준히 나타나고 있어 두 곳의 서식지 이용실태에 대한 세밀한 조사관찰이 필요하다. 특히, 두무진 물범바위의 경우 연지어촌계 어민들에 따르면 보통 10~12마리의 점박이물범이 두무진 물범바위에서 관찰돼 왔으나 최근 2~3마리로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고 한다. 두무진 물범바위 주변의 점박이물범 서식환경 변화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2011년과 2016년~2019년의 10월(가을철)에 관찰된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개체수는 최소 94마리(2007년), 최대 246마리(2011년)였으며, 연중 최대치를 관찰한 해는 2009년 9월로 250마리가 관찰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간 최대치 기록을 보면 2007년~2011년 보다 점박이물범의 개체수가 다소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으나 200여 마리 내외가 백령도 서식지를 꾸준히 찾아오고 있다.

이번 <백령도 전해안 점박이물범 동시 조사>는 점박이물범의 국내 최대 서식지인 백령도 조사이래 처음으로 진행한 동시 조사이며,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점사모’ 회원들이 직접 참여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2013년 결성된 점사모는 백령도 하늬바다 물범바위와 물범인공쉼터를 중심으로 일일 모니터링을 진행하던 중에 물범인공쉼터(2018.11. 조성)를 이용하는 모습을 첫 관찰(2019.8.9.)하여 공개하였으며, 처음으로 ‘백령도 지역주민에 의한 점박이물범 모니터링(2019.12)’ 보고서를 냈다. 또한 해양쓰레기 수거 활동 등 하늬바다 물범 서식지 보호 활동을 지속적으로 해 오고 있다.

이처럼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이고 직접 참여에 의한 점박이물범 실태를 조사하고 서식지에 대한 보호관리 활동을 통해 점박이물범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을 확장시키는 것은 물론 지역사회의 이해에 기반하여 점박이물범 서식을 둘러싼 어민과의 갈등을 완화하고 공생 방법을 찾아 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지역주민의 상시적인 활동(시민과학)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보완함으로써 지역에 상주하기 어려운 전문가들의 연구 활동을 보완하여 통합적인 보호관리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2020년 10월 25일

인천녹색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