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9월 20일), 장봉도 늘논 해안에서 인천 지역의 대학과 시민사회가 함께 해양쓰레기를 치우는 활동을 했습니다. 인천녹색연합도 시민들과 함께 참여했습니다!
장봉1리 이장님의 환대를 받으며 본격적으로 해안을 깨끗하게 치우기 시작했는데요, 함께해주신 시민분께서 “다음부터는 이런 행사가 있으면 꼭 참여해야겠어요. 실제로 해보니까 느끼는 점이 많네요” 라고 소감을 밝혀주셨습니다.
정화 활동을 마치고 잠시 휴식하고 오후에는 장봉도를 둘러보며 역사와 문화에 대해 배우는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장봉도 해안과 또 한번 연을 맺으며 우리가 이곳을 지켜야할 이유를 하나 더 쌓았습니다. 여러분도 바다를 지키고 보살피는 일에 함께 해주세요!
[보도자료] 시민사회와 지역대학, 장봉도해안정화활동 진행
인천지역 시민사회와 지역대학은 9월 20일(토) 국제연안정화의 날을 맞이하여 인천시민 120명과 함께 장봉도 남측해안에서 정화활동을 펼쳤다. 이번 행사는 인하대학교(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인천대학교와 함께 가톨릭환경연대, 기후&생명정책연구원,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이 공동주최하고 장봉1리 주민들과 인천광역시(해양환경과)와 옹진군청(장봉출장소)의 협조로 진행되었다.
장봉도 남쪽 늘논 해안 약 500m 구간에서 진행된 이번 정화활동에서는 톤백 10개 분량의 해양쓰레기와 잘게 쪼개진 미세플라스틱도 체를 이용하여 함께 수거했다. 인천앞바다는 한강, 임진강, 예성강 등 하천에서 유입된 쓰레기들뿐 아니라 어업과정에서 발생하는 흰색스티로폼 부표, 그물과 밧줄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중국발 페트병까지 떠밀려오고 있다. 지역주민들이 공공근로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으나 인력 부족과 함께 노령화로 접근이 어려운 해안에 대해서는 제대로 수거가 진행되지 않고 계속 쌓이고 또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장봉도 주변의 갯벌은 2003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으며 지주식의 친환경 김이 유명하다.
그동안 많은 시민단체와 시민들은 플로깅과 줍깅 등 자발적으로 해양쓰레기수거활동을 벌였으나 집하장까지 운반문제와 최종처리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바로 처리되지 못하여 다시 흩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날 행사에서 인천광역시와 옹진군 등 행정기관은 톤백과 마대자루 등 수거 물품을 협조했고 수거하여 모아놓은 쓰레기는 트럭을 이용하여 집하장까지 운반하여 처리할 예정이다.
정화활동에 참여한 인하대학교 이은재 학생은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을 직접 확인하고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어 의미있는 시간이었다며 앞으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해양쓰레기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행사를 공동주최한 기후&생명정책연구원 장정구 대표는 “인천앞바다 해양쓰레기수거를 위해 막대한 예산으로 투입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전담인력 배치 등 좀 더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하대학교(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와 가톨릭환경연대, 기후&생명정책연구원,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한강하구 부유쓰레기, 해안과 특정도서, 하천쓰레기에 대해 시민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9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