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전환, 지역소득
계양구 햇빛소득마을조성을 위한 토론회 진행
–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전환을 위한 계양구 과제
– 공영주차장을 시작으로 계양구햇빛소득마을 모범사례 만들어야
– 민관의 수평적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계양구 햇빛소득마을추진협의체 구성 필요
11월 13일(목) 오후 2시, 계양구의회 5층 자치도시위원회 회의실에서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전환, 지역소득 계양구 햇빛소득마을조성을 위한 토론회”가 진행되었다. 인천녹색연합, 계양구의회, 탄소중립마을너머 사회적협동조합이 공동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국가와 인천광역시의 탄소중립을 위해서 구단위에서 주민들이 주도하는 시민참여햇빛발전을 추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제와 민관협력사항을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최위환 인천녹색연합 전환마을 실험실장이 사회를 맡았으며, 김경식 계양구 의원의 인사말로 토론회를 시작했다. 김경식 구의원은 “정부의 국정과제에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전환’이라는 전략하에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햇빛바람연금 확대, 마을단위 에너지자립으로 지역소득 증대’가 필요하다며 계양구가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전환, 그리고 햇빛소득을 통한 지역소득 증대에 모범적인 도시가 되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계양구청 지역경제과에서 2025년 태양광 보급지원사업 추진현황과 2026년 태양광 보급계획을 발표하였다. 2025년까지 계양구청에서 주택지원, 미니태양광 지원, 공공기관 지역지원과 융복합 공모사업 지원을 합하여 총 708개소 1,656KW를 설치하였다고 밝혔다. 그리고 2026년에도 융복합지원사업 59Kw, 주택태양광 27Kw, 미니태양광 31Kw 총 117Kw를 보급할 계획이며 관내기업 RE100 참여를 독려하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두번째로 여주구양리 햇빛소득마을을 방문한 김윤경 민주당 계양을 여성위원장은 “마을주민들이 직접 츨자하고 중앙정부의 저리융자 지원을 받아 태양광을 설치하고 그로 인한 수익을 마을버스, 마을식당, 마을 축제 등 마을공동체 활동을 위해 쓰이고 있었다” 며 계양구에서도 민관이 잘 협력하여 공공부지를 활용해서 햇빛소득마을을 만들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
최성용 인천해바람시민발전협동조합 이사는 “2025년에 인하대학교와 협력하여 798.63Kw를 설치하였으며 10억에 달하는 건설비는 주민출자와 융자를 통해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시민참여햇빛발전에서는”주민참여를 목적이자 핵심 수단으로 삼아야하고 단순히 태양광 설치용량이 아니라 ‘누가 사업에 참여하고 누가 그 이익을 얻는가’가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특히 시민참여햇빛발전은 관주도가 아니라 수평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민관협력을 통해 시민들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력자이자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김경미 탄소중립마을너머 사회적협동조합 이사는 “계양구에 있는 학교, 공영주차장, 건물, 산업단지와 같은 공공부지에 태양광설치 가능한 곳은 있지만 시민참여햇빛발전에 대한 이해부족과 행정의 적극적인 협조가 부족해서 진행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이야기 하였다. 구체적으로 보행환경개선, 탄소중립, 주민소득을 위해 계양구 귤현동 만봉길 자전거도로와 인도에 시민참여햇빛발전소 설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영주차장 태양광에 태양와 설치 의무화 법률이 통과되었으니 계양구에 있는 공영주차장에 대해서 민관이 협력하여 설치가능한 부지를 물색하고 주민들의 주도하는 햇빛소득모델로 만들어야 한다고 이야기하였다.
토론회의 모든 참여자들은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전환, 그리고 지역소득까지 얻을 수 있는 햇빛소득마을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민관협력이 필수라고 이야기 하였다. “계양구 햇빛소득마을추진협의체”를 구성하고 공공부지를 관리하는 부서에서 법률과 제도를 검토하여 가능한 공공부지를 찾고 주민협동조합을 통해 건설에 필요한 자금을 출자와 융자를 받아 진행해야 한다고 이야기 하였다.또한 공공부지에 설치되는 태양광은 민간업체보다 시민참여햇빛발전을 우선적으로 배정하는 정책과 저리로 융자해주는 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2025년 11월 13일
인천녹색연합 / 탄소중립마을 너머 사회적협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