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롱뇽유생
북방산개구리
참개구리
송화가루 뒤집어쓴 무당벌레
떼허리노린재의 짝짓기
북방산개구리올챙이들
많이 먹어 배가부른 도롱뇽유생(뒷다리나옴)
은사시나무잎을 먹는 독나방 애벌레
왕잠자리 우화각
꽃가루 가득한 소나무
청미래덩굴
나무진액을 먹고 있는 개미들
내장이 보이는 올챙이들
조사일시:5월20일 오후2시30분~5시
날씨:맑음
조사자:박하,개똥이
3-1지점:한국산개구리1마리,도롱뇽유생5센치
3-2-1지점:북방산개구리올챙이2.5~4.2센치,도롱뇽유생5센치
3-2-2지점:북방산개구리올챙이3.4~4센치,도롱뇽유생3센치
3-2-2지점주변:한국산개구리1마리,참개구리1마리
3-3지점:북방산개구리올챙이2~3센치,도롱뇽유생3.5~4센치
3-4지점:북방산개구리올챙이5센치,도롱뇽유생2~2.2센치
송화가루가 날리기 시작했다.
금새 카메라며 가방에 내려 앉아 뿌옇다.
오늘도 혼자서 모니터링을 하나 했더니 개똥샘에게 연락이 와서
오랜만에 얼굴도 보고 이야기도 하며 모니터링을 했다.
아는것이 없는 나로서는 관찰력 뛰어난 개똥샘과 함께 하는 모니터링이 반가웠다.
올들어 참개구리도 처음 보았다.
참개구리가 아직알을 낳지 않았는데
비가 오면 낳으려나?
//ContentViewer.drawContent(“b_6”, ‘0’); document.getElementById(“view_finish_6”).value = true;
.cContentCateMore { clear:both; margin:20px 0 35px 0; padding: 0 0 11px 0; border: 1px solid #E3E3E3; } .cContentCateMore h4 { border-bottom:1px dotted #E3E3E3; padding: 17px 4px 7px 4px; margin: 0 14px 10px 14px; font-weight: bold; } .cContentCateMore h4 img.edit { filter:alpha(opacity=60); opacity:0.60; -ms-filter:”alpha(opacity=60)”; vertical-align: middle; } .cContentCateMore li { height: 20px; padding: 0 24px 0 20px; } .cContentCateMore li img { filter:alpha(opacity=30); opacity:0.30; -ms-filter:”alpha(opacity=30)”; margin: 0 2px 4px 0; } #cContent .cContentCateMore li .cB_Amp { font: normal 11px ‘돋움’, dotum, sans-ser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