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미군기지, 생태도시의 출발점으로

2007년 8월 27일 | 성명서/보도자료, 토양환경

 부평미군기지, 생태도시의 출발점으로

   
                                                                          장정구 국장 (인천녹색연합 생태도시/연안보전 담당 )
 

 지난 8월 10일 부평구청에서 열릴 예정이던 인천시의 ‘공여구역주변지역등발전종합계획(안)에 대한 공청회’가 무산됐다. 이 공청회는 부평미군기지를 비롯하여 반환공여구역과 주변지역의 종합계획수립을 위한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수렴 자리였다. 그러나 인간띠잇기 등 시민들 노력의 결실인 반환미군기지를 인천시가 시민들의 충분한 의견수렴없이 일방적으로 계획수립을 추진하여 시민들이 공청회무효와 생태공원조성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공청회 원천봉쇄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반환기지의 생태공원화를 외친 주민들의 주장을 단순한 지역이기주의라고 치부해버리기 어려운 것은 너무나 참담한 인천과 부평의 녹지현실 때문이다. 통계에 의하면 인천시 인구는 268만명으로 대구를 제치고 서울과 부산에 이어 3위가 된지 오래이지만 녹지율은 강화도 등 연안도서를 제외하면 26%수준으로 전국 최하위이다. 이런 상황은 인구 58만명의 부평구에서 더욱 심각하다. 부평구의 인구밀도는 1㎢당 1만8천명으로 인천의 10개군구 중에서 당당히(?) 1위이나 녹지율은 20%에도 못미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현재 부평지역의 녹지로는 철마산~원적산~만월산으로 이어지는 한남정맥 구간의 임야와 부평공원과 신트리공원 등이다. 그러나 그 면적이 미미한 수준이라 부평구민들의 허파와 쉼터역할을 하기에는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과거 부평은 대우자동차와 수출4공단 등 수많은 공장의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가 뿜어져 나오는 매연도시였다. 매캐한 연기사이로 간혹 보이는 농경지와 한남정맥 산줄기가 유일한 숨통이었다. IMF를 겪으면서 많은 공장이 이전했지만 부평의 환경은 조금도 나아지질 않았다. 지금은 경제개발의 상징이던 공장 자리는 물론이고 그나마도 숨통역할을 하던 삼산동과 계산동 논밭에까지 고층아파트가 들어서 콘크리트 미로의 회색도시가 만들어진 것이다. 산곡동의 한화아파트는 한국종합기계자리였고, 청천동의 대우아파트는 동양철관, 금호아파트는 전남방직 그리고 현재 마무리 공사중인 삼산동의 엠코아파트는 코리아스파이스 자리였다. 경인고속도로 주변에 위치했던 공장들도 어김없이 아파트로 변해버렸다. 푸른 숲의 공원이 된 경우는 거의 찾을 수가 없다.


 현재 부평은 미군기지이용뿐 아니라 도시·주거환경정비 예정지역도 41군데나 된다. 계획대로라면 부평도심의 변화는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어떤 모습의 부평을 만들어 갈 것인지는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생각하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콘크리트 회색도시에서 생태공원이 생명이 숨쉴 수 있는 공간이며 도시 열섬과 건조현상을 줄일 수 있는 공간이며 도심의 각박한 삶속에서 자연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곳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공장도시와 아파트 숲의 회색도시 인천과 부평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생명의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이번 공청회의 무산으로 에 의해 8월말까지 부평미군기지 등에 대한 종합계획안을 행정자치부에 제출하려 했던 인천시의 계획은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이제 인천시는 예산을 핑계로 인천시민과 부평구민의 숨통을 조이는 행정을 멈춰야 한다. 시민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반환기지를 생태공원으로’, ‘생명이 살아숨쉬는 땅으로’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 글은 8월 27일자 인천일보 ‘환경의창’에 실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