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환경부는 민관공동대책반을 구성하여 부평미군기지주변 정밀조사,오염정화 실시하라!

2012년 11월 28일 | 성명서/보도자료, 토양환경

1128.hwp


– 부평미군기지 주변 오염정화요구 인천시민 64,574명 서명-
 

국방부와 환경부는 민관공동대책반을 구성하여

부평미군기지 주변 정밀조사와 오염정화를 실시해야 합니다.

 

오늘 우리는 부평미군기지 주변 오염정화를 요구하는 인천시민 64,574인 서명을 국방부와 환경부에 전달합니다. 

2008년 부평미군기지주변지역의 오염이 공식 확인된 후 만 4년이 넘었습니다. 그 사이 2009년과 2011년 그리고 올해 2012년에도 환경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민관공동조사단을 구성하여 진행된 올해 조사에서는 중금속과 유류의 오염우려기준 수십배 초과오염뿐 아니라 맹독성의 다이옥신과 다이옥신유사유해화학물질의 오염도 확인되었습니다. 

시민대책위의 확인결과 국방부는 부영공원의 정밀조사와 오염정화를 위해 예산 각각 2억원, 20억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그러나 3억원 조사비용으로도 정확한 조사가 부족했다는 2012년 민관공동조사단의 공식의견, 임야와 잡종지가 아닌 공원기준을 적용하여 오염정화를 해야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부실조사와 대충정화의 우려가 있습니다. 
환경부는 현재 부평미군기지 주변지역 2단계 환경조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부평구와 환경부에서 공식적으로 부평미군기지주변을 조사한 것이 4차례입니다. 오염정화는 한번더 이루어지지 않은 채 또 조사한다는 것은 시민들의 불신과 불안만 가중시킬 뿐입니다. 이제는 오염정화를 위한 절차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이번 2단계조사는 다이옥신, 다이옥신유사독성물질 등을 포함한 오염정화항목, 정화의 공간적 범위 그리고 그에 따른 정화방법과 목표를 제시하는 정밀조사가 되어야 합니다.
 
청산가리보다 1만배이상 독성을 가진, 인간이 만든 가장 위험한 독극물이며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부평캠프마켓 주변에서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수준보다 훨씬 높게 검출되었습니다. 또한 생물독성조사결과 다이옥신유사독성물질의 높은 수준의 오염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지난 민관공동조사단에서는 이런 맹독성물질들의 종류, 독성수준과 원인에 대한 정밀평가와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부평미군기지는 57만명이 밀집한 도시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미군기지 인근에는 대단지 아파트단지들뿐 아니라 학교들이 있어 부평구민과 학생들의 건강이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습니다. 투명한 정밀조사와 철저한 오염정화를 통해 미군기지주변지역의 오염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이에 부평미군기지시민대책위는 국방부와 환경부에 다음과 같이 요구합니다.

1. 국방부는 부영공원의 오염정화계획 수립과 실행 시 주민과 단체, 전문가가 인정할 수 있는 투명하고 정밀조사와 철저한 오염정화를 위해 민관공동대책반을 구성해야 합니다. 

2. 환경부는 부평미군기지 주변지역 2단계환경조사에 민관공동조사단을 구성하여 오염조사항목, 공간적 범위를 정하고 그에 따른 정화방법과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2012년 11월 28일
 

부평미군기지 맹독성폐기물처리진상조사 인천시민대책위원회

부평미군기지주변 오염정화요구 인천시민 64,574인 서명

국방부와 환경부는 민관공동대책반을 구성하여
 
부평미군기지주변 정밀조사, 오염정화 실시하라!

 

2012년 11월 28일(수) 11:00 – 11:30

국방부 정문


▪ 사회│곽경전 부평미군기지시민대책위 공동집행위원장

○ 인사말
– 유종반 / 인천녹색연합 공동대표
○ 경과보고
– 장정구 / 부평미군기지시민대책위 공동집행위원장
○ 지정발언
 – 이정욱 / 인천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고문
 
– 하태암 / 민주노총인천본부 수석부본부장
○ 서명전달
 
 
 
문의 : 장정구 공동집행위원장 010-3630-3437
 
 
부평미군기지맹독성폐기물처리진상조사인천시민대책위원회
가톨릭청년연대 가톨릭환경연대 굴포천시민모임 (사)나눔과함께 노동자교육기관 민예총인천지회 민주노총인천지역본부 민주통합당인천시당 부평기독교연합회 부평미군기지되찾기인천시민회의 부평미군기지공원화동아아파트추진위원회 부평미군부대공원화추진시민협의회 부평의제21실천협의회 부평지역아동센터협의회 사회진보연대인천지부 생명평화기독연대 생생포럼 여성민우회 여성의전화 운동초심모임 인천감리교사회연대 인천교육대책위원회 인천녹색연합 인천녹색회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사)인천불교총연합회 인천시민광장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인천시민문화예술센터 인천사회복지보건연대 인천여성회 인천여성노동자회 인천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인천환경운동연합 (사)장애인자립선언 진보신당인천시당 참종은생활협동조합 천주교인천교구정의평화위원회 통합진보당인천시당 평화의료생활협동조합 푸른생활협동조합 평화와참여로가는인천연대 행동하는시민모임 총44개단체

 
1923년~ 일제강점기 조병창으로 활용
1945년~ 부평구 일대가 주한미군기지 캠프에스컴으로 활용
1973년 : 캠프에스컴 일부 부지 반환, 미군기지 축소와 프마켓으로 개명
2006.03 :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제정 및 시행
2008.10 : 공여구역 주변지역 1단계 환경기초조사 실시(서울대학교)
2008.12 : 공여구역 주변지역 2단계 환경기초조사 실시(한국환경공단)
(오염면적:2,270㎡, 부피:2,980㎥, 물질:TPH,벤젠,크실렌,구리,납,아연,니켈)
2011.05 : 경북칠곡 ‘캠프캐럴매립 고엽제, 부평캠프마켓에서 처리’의혹 언론보도
2011.06 : 고엽제, PCBs 특별조사(토양 12점, 지하수 3점)(인천보건환경연구원)
2011.06 : 44개단체 제정당,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부평미군기지맹독성폐기물처리진상조사인천시민대책위원회 발족
2011.09 : 부평구, 민·관 공동조사단구성
2012.01~08 : 캠프마켓 주변지역 1단계 환경기초조사(한국농어촌공사)
2012.09 : 민관공동조사단조사결과발표
2012.10.08 : 부평구, 환경부와 국방부 등 관계기관회의
2012.10.10~11.23 : 대책위, 정화예산편성과 오염정화요구 릴레이1인시위
2012.10.22~11.23 : 대책위, 민관공동조사단구성과 오염정화요구 서명
 
 
 
1) 유류, 중금속 오염현황

오염항목
최대농도(mg/kg)
기준초과점/지점
 
 
 
 
오염심도(m)
오염우려기준
 
 
 
 
 
 
TPH
14,595.00
19/15
 
0~4
500
Benzen
4.71
2/2
 
1~3
1
Xylene
53.05
4/3
 
1~2,3~5
15
Pb
 
5834.10
13/10
0~3
200
Cu
620.07
7/5
0~3
150
Zn
981.90
6/6
0~3
300
 
조사결과, 석유계총탄화수소(TPH)와 납(Pb)의 경우 최고농도가 각각 14,595mg/kg와 5834.10mg/kg으로 오염우려기준을 무려 29배이상씩 초과하였고 벤젠은 4.7배, 자이렌 3.5배, 구리4배, 아연 3.2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다이옥신 오염현황

시료명
실측농도
(pg/g)
독성등가환산농도
(pg-TEQ/g)
오염심도(m)
DR-14-B
2161.530
55.748
1~2
BY1-24-B
1645.504
9.778
1~2
DR-25-C
1169.309
7.858
2~3
DR-02-A
314.644
7.639
0~1
DR-03-A
1196.376
6.077
0~1
BY1-25-A
1139.010
5.078
0~1
BY1-07-E
122.248
3.188
4~5
DR-23-A
141.738
3.004
0~1
BY1-06-E
63.292
2.479
4~5
 
이번 조사에서 17종 다이옥신을 분석하였는데 총량으로 최고농도는 2161.530pg/g이었고, 1000pg/g이 넘는 곳도 5곳이나 되었다. 2,3,7,8-TCDD 독성등가 환산 최고농도는 55.748 pg-TEQ/g로 2009년 실시된 전국조사 때 최고농도보다 3배이상 높은 수치였고 전국평균값 2.280보다 24배 높았다. DRMO주변지역과 부영공원 등 표토의 다이옥신 오염은 국내의 일반적인 수준보다 높고 이 오염도는 국외의 다양한 다이옥신 준거값들을 초과하여 사람의 건강에 대한 악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수준이다. 특히 다이옥신이 검출되기 어려운 심토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과거에 다이옥신 함유 유해화학물질이 조사지역에 매립됐을 가능성을 가리킨다.
 
3) 다이옥신 유사독성 화학물질 현황

시료명
생물독성농도
(pgTCDD-Eqs/g)
독성등가환산농도
(pg-TEQ/g)
오염심도(m)
BY1-26-E
229.9
0.886
4~5
DR-14-B
216.1
55.748
1~2
BY1-22-C
168
0.196
2~3
ETC-11-A
147.8
0.032
0~1
BY1-25-A
115.6
5.078
0~1
BY1-24-C
98.6
0.883
2~3
BY1-23-C
58.2
1.600
2~3
ETC-02-A
42.9
0.149
0~1
BY1-28-C
40.9
0.441
2~3
DR-03-A
39.2
6.077
0~1
 
다이옥신 생물독성조사(Screening Test)결과 조사된 토양들이 화학분석결과 독성값보다 훨씬 높은 독성을 보여 주고 있어 다이옥신 유사독성 화학물질의 존재를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2012년 민관공동조사단은 이런 독성물질의 종류, 독성수준과 원인에 대한 추가적인 정밀평가가 필요하다고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