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산시민자연공원추진위원회
인천 계양구 계산4동 1063-3 태흥프라자 602호 전화) 032-548-6274 전송) 032-548-6273 E-mail : greenic@chol.com 담당 : 장정구 |
|
성명서 |
자연생태보고 계양산! 종합적인 보전계획이 필요하다!
최근 인천 계양산에서 수도권 최대 규모의 두꺼비 산란지가 확인되었다. 계앙산은 이미 통발과 이삭귀개, 땅귀개 등의 식충식물과 영종족도리풀, 깽깽이풀 등의 희귀식물의 자생지로 확인된바 있다. 그리고 반딧불이, 물장군 등의 보호종들과 도롱뇽, 맹꽁이, 한국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 뿐만아니라 두꺼비까지 다양한 양서류가 서식하여 보존가치가 매우 높은 생태계의보고임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다. 인천시는 공원 확대, 보호지역 지정 등 보다 적극적인 계양산 보전계획을 수립해야한다.
현재 인천시는 계양산 북사면의 풍부한 자연자원을 이용하여 사람과 생물이 공존하고 한남정맥을 잇는 거점 녹지축 보전 및 주변 지역과 동반 성장을 위해 산림휴양공원 및 역사공원 추진 계획을 갖고 있다. 하지만 계양산 공원 추진내용을 살펴보면, 공간적범위가 산림휴양공원은 목상동에, 역사공원은 계양산 능선의 방축동 일부로 정하여 계획 중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보전가치가 높은 다남동일대의 관리계획이 제외된 것으로 계양산공원의 범위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이번에 확인된 대규모 두꺼비 산란지는 계양산 북사면 다남동 지역의 다남천 인근 습지로 이곳 외에도 목상동과 박촌동 등에도 확인된 바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다남천 인근의 두꺼비의 산란터가 1∼2m높이의 제방으로 가로막혀 습지에 안정적으로 산란하지 못하고 산란지를 찾아 헤매다가 물의 흐르는 하천에 산란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런 하천이 산란을 위한 적합한 장소가 아님을 고려 할 때, 그리고 산란을 위해 이동하는 두꺼비들의 로드킬로 볼 때 숲에서 습지까지 안전한 이동통로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리고 계양산 북사면 일대에는 인천녹색연합이 이번에 조사한 두꺼비 서식처 외에도 크고 작은 저수지들이 많이 있다. 인천시에서는 좀 더 포괄적인 두꺼비 서식실태 조사와 더불어 두꺼비의 생활반경과 이동통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두꺼비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야한다.
최근 서울시는 양서류가 집단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된 마포구 상암동 일대 난지 한강공원 생태 습지원 일대를 ‘야생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이는 자연환경이 우수하고 보호할 가치가 있는 야생 동물이나 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에 대해 인위적인 훼손과 개발로부터 보호하여 서울시를 지속가능한 생태도시로 만들어 가려는 의지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인천시에서 지정된 보호야생동·식물의 현황을 보면 식물6종, 곤충류7종, 어류2종, 양서파충류3종,조류5종, 포유류1종 전체24종 이른다. 이중 계양산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종이 식물3종(이삭귀개, 통발, 꾸지뽕나무), 곤충4종(늦털매미, 대모잠자리, 늦반딧불이, 큰주홍부전나비), 어류2종(버들치, 쌀미꾸리), 양서파충류2종(한국산개구리, 도롱뇽), 조류3종(오색딱따구리, 뻐꾸기, 곤줄박이), 포유류1종(멧밭쥐)까지 전체 15종으로 그만큼 계양산은 인천 자연생태의 보고임을 확인해준다. 그리고 보호 동식물이 확인되는 지역의 대부분은 계양산 북사면의 다남동, 목상동 일원이다.
인천시는 근본적으로 인천시 보호종과 이들의 서식지인 계양산을 보호하기 위해 ‘생태계 보전지역 지정 및 관리’, ‘관리야생동·식물 지정 및 생물종다양성 증진’ 등의 실질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계양산 북사면 전체를 포함하는 공원관리 계획을 마련하는 등 보다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계양산 보전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2013년 3월 20일
문의 : 박재성 공동집행위원장 010-8895-7594
장정구 공동집행위원장 010-3630-3437
계양산시민자연공원추진위원회
공동대표 : 참여단체 대표 전원
상임대표 : 김일회 신부(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상임대표), 윤경미 대표(평화와참여로가는인천연대 대표), 윤인중 목사(인천평화교회 목사)
공동집행위원장: 박재성(희망을만드는마을사람들 공동대표), 장정구(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참여단체 : 가톨릭환경연대 강화도시민연대 건강한노동세상 경인여대교수협의회 굴포천살리기시민모임 금속노조GM대우자동차지부 인천도시환경포럼 남동시민모임 민족문제연구소 민주노총인천본부 부평시민모임 사회진보연대 생명평화기독연대 실업극복운동인천본부 615공동선언실천통일아침 이주노동자인권센타 인도주의실천의사회 인천감리교사회연대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인천노동연구원 인천녹색소비자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녹색회 인천도시환경연대회의 인천민주언론시민연대 인천민중교회연합 인천불교인권위원회 인천빈민연합 인천사람연대 인천생협연합회 인천시민문화예술센타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인천여성노동자회 인천여성민우회 인천여성의전화 인천여성회 인천일보노동조합 인천정보센타 인천지하철노동조합 인천청소년그린봉사단 인천해고노동자협의회 인천환경운동연합 인천YWCA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인천지부 전국공무원노동조합인천본부 전국여성노동조합인천지부 지역사회와함께하는사제모임 진보정의당인천시당 참교육학부모회인천지부 청솔의집 청학환경운동본부 통합진보당인천시당 평화와참여로가는인천연대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해반문화사랑회 희망을만드는마을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