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관계자 여러분께
마시아 J. 맥널리 / 미국UC버클리대학 교수
저는 미국의 UC버클리대학교 경관건축․환경계획학부에 재직하고 있는 맥널리 교수입니다. 지난 5월 인천시의 송도갯벌을 방문하여 광범위하게 파괴되고 있는 현장은 목격하고 크게 놀랐습니다.
전 세계 과학자들은 갯벌이 그곳에 서식하는 다양한 종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표해 왔습니다. 송도갯벌은 다양한 종들의 생존을 위해 람사르협약 기준을 웃도는 갯벌로 지난 10년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습지에 속해 있음이 밝혀져 왔습니다. 이 지역에서의 과거 갯벌매립으로 인해 저어새, 적호갈매기, 노랑부리백로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고 또한 검은머리갈매기, 흑꼬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등도 멸종위기조류로 송도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부가 습지파괴를 지속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인천의 송도갯벌처럼 친환경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이를 장려하기조차 한다는 사실은 더욱 충격적입니다. 인천자유경제지구(IFEZ) 건설을 위해 이미 인천갯벌 대부분은 파괴됐고, 소래포구입구의 약 1000ha 송도갯벌만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이곳까지 매립된다면 새들은 더 좁은 지역으로 쫓겨나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되면 보툴리즘에 의한 중독이나 다른 질병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것입니다. 올해에도 확인되고 있는 것처럼 생물종의 소멸은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지속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며, 이는 한국과 인천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이나 선진국에서는 람사르협약에서 가치를 인정한 습지를 엄격하게 보존하고 있습니다. 송도지역에서의 추가 매립을 중단하고, 남아있는 갯벌 전체를 보존해 주실 것을 요청 드립니다. 마지막 송도갯벌 대부분을 개발하고 그 외 부분을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보존하겠다는 제안은 인천시의 개발정책을 모니터링하는 국제단체에게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갯벌을 매립하지 않기로 한 대한민국 정부의 람사르협약에서 국제적인 공식 선언과 인천시의 내부적인 자체 개발기준에 비추어도 용납이 어렵다는 판단입니다.
인천시가 갯벌 파괴를 지속하기로 결정한다면, 저는 여러 과학자, 학자, 그리고 환경단체들과 함께 인천시의 갯벌파괴계획을 국제사회에 알릴 계획입니다. 람사르협약에서 가치를 인정한 갯벌과 그 외 지역에 대한 보호를 국제사회에 공식적으로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시가 이 지역을 지속적으로 파괴하고 있는 것은 한입으로 두말하는 행동으로 밖에는 볼 수 없습니다. 송도갯벌 개발 계획을 일부 축소한다는 발표는 기껏해야 말장난에 불과하고, 국제적인 사기행위라고 보는 편이 맞습니다.
한국에서 일어난 갯벌습지파괴는 세계의 선진국들 중에서도 아주 심각한 수준이며, 이러한 파괴 행위들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한 환경 용어의 오용은 허용되기 힘든 수준입니다. 인천시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사기극과 같은 야망은 실현되지 못할 것입니다. 인천자유경제지구 내 캠퍼스 유치를 위해 인천시가 접촉하고 있는 미국의 대학들은 송도지역 개발과 관련한 인천시의 전체적인 계획을 알게 되었을 때 이 지역에 자신들의 대학이 세워지는 것에 대한 생각을 바꿀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조류서식지는 도시개발의 장애가 아니라 진정한 녹색도시를 세우는 기회가 되며 현 지역민과 방문객들에게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줍니다. 부디 남아있는 송도 갯벌에 대한 인천시의 현명한 이용을 기대합니다.
Marcia J. McNally, Associate Adjunct Professor
College of Environmental Design
LANDSCAPE ARCHITECTURE AND ENVIRONMENTAL PLANNING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2 Wurster Hall #2000 Berkeley, California 94720-2000
phone. 510.643-9335 / fax. 510-643-6166
* 이 글은 2009년 7월 28일자 인천신문 기획칼럼이고 아래는 원문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o the Incheon City Government:
I am alarmed by the widespread destruction of the Song Do Tidal Flat taking place in Incheon City. Scientists around the world have concluded that these tidal flats are critical to the survival of multiple species. In the past 10 years it has become clear that these flats are among the most critical wetlands in the world, exceeding the criteria established by the Ramsar convention for several species. There are many bird species that are in dangerous declines due to previous reclamation here including the Black-faced Spoonbill, Relict Gull, and Chinese Egret. The Saunders’s Gull, Black-tailed Godwit, and Nordmann’s Greenshank are among other threatened and/or endangered species dependent upon the Song Do area.
The wetlands destruction the Korean Government continues to allow and sometimes even promotes in the name of environmentally-friendly development is shocking, the Incheon Song Do Tidal Flat being a primary example. I have learned that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 (IFEZ) has already destroyed most of the flats, but that approximately 1000 hectares of the Song Do Tidal Flat remain, at and around the mouth of Sorae Creek. If this habitat is reclaimed, it will push birds into a smaller territory, where overcrowding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outbreaks of botulism or other diseases. Additional die-offs such as was experienced this year are likely to continue – this will reflect poorly on Korea and Incheon City.
In most developed and civilized nations, Ramsar-qualifying wetlands are strictly honored. I urge you to stop any further reclamation at this site and to preserve the entirety of the remaining Song Do Tidal Flat for critically-needed wildlife habitat – it is Incheon City’s duty. The suggestion that part of this area can be filled for development and part of it saved for habitat is unacceptable, not only to the international groups monitoring your actions, but by your own criteria and public pledges to fill no more tidal flats for reclamation projects. This you have pledged internationally to the Ramsar Convention and internally via your commitment to a stated policy of no further net loss of wetlands.
If you decide to proceed with tidal flat destruction, I am prepared to work with other scientists, academics,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o expose your plans internationally. Your continued destruction of Ramsar-qualified tidal flats here and elsewhere, even as you pledg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reserve them, is but one example of this double-speak. Your “mitigation” for the proposed Song Do Tidal Flat is a misnomer at best and more likely a case of intentional deception.
Korea’s record of wetland destruction is among the worst of all the developed nations in the world and its dishonest use of environmental terminology to disguise environmental destruction is unacceptable. Incheon City will not achieve its world-class ambitions based on such deceit. The U.S. universities you are recruiting for your IFEZ campus will likely have second thoughts about locating in Incheon when they know the complete story.
Bird habitat is not a barrier for city development, but an opportunity to build a real green city and provide residents and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nature. Please inform me in writing of your plans for the remaining Song Do Tidal Flats.
Marcia J. McNally, Associate Adjunct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