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가뭄대비, 빗물관리에서부터

2015년 11월 17일 | 성명서/보도자료

                                    인천 가뭄대비, 빗물관리에서부터

                                                                        장정구 /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

지난 주말,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다. 단풍 끝물에 내리는 비라 추위를 걱정하는 이도 있었으나 많은 사람들은 반겼다. 오랜 가뭄 해갈을 기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대는 아쉬움으로 끝나버렸다. 대통령이 나서 논에 물까지 뿌렸지만 올 가뭄은 좀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4대강에 수십조원을 퍼부었지만 가뭄에는 무용지물, 강물만 ‘녹조라떼’가 되었다.

실패한 4대강사업을 새삼 다시 들출 생각은 없다. 다만 이번 가뭄에 인천의 가뭄대비상황을 생각해본다. 300만 인천시민 대부분은 한강물을 식수 등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절반은 팔당댐에서, 나머지 절반정도는 잠실 풍납취수장에서 한강물을 끌어다 남동정수장, 부평정수장, 공촌정수장, 수산정수장에서 정수해서 이용한다. 그런데 정수장이나 상수관에 문제가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 그런 비상시를 대비해 각 동마다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이 있다.

이 비상급수시설은 지하수를 이용하는데 상수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생활용수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이 비상 지하수가 오염되어 생활용수로는 사용이 적합하지 않다. 지하수위가 낮아지면서 수질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이미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지하수의 수위는 계속 낮아지고 있다. 가뭄이 지속되면 하천수를 이용해야 하는데 지하수의 수위가 낮으면 하천수가 더 많이 지하로 스며들어 하천수가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결국 중장기적인 가뭄대비책에 지하수관리를 빼놓을 수가 없다. 하천이나 호수, 지하수 등 모든 물은 빗물에서 비롯된다.

지하수의 관리는 빗물관리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홍수와 가뭄은 비가 너무 많이 내리거나 너무 적게 내려서 발생한다. 빗물전도사로 알려진 서울대학교 한무영 교수는 ‘제방 중심 선형의 빗물 관리에서 벗어나 면 개념으로 빗물을 관리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유역 전역에서 집중호우 시에는 빗물을 모아 한꺼번에 하류로 흘러가버리는 강우량을 줄이고 모아둔 빗물을 지하로 서서히 흘려 지하수위를 높여 가뭄에도 대비하자는 것이다.

인천에는 31개의 지방하천이 있다. 강화를 제외한 내륙에만 17개의 하천이 있고 전국적으로도 보기 드물게 하천살리기사업을 대대적으로 진행했다. 그런데 사업은 이미 완료되었지만 지금도 하천관리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하천유지 용수확보이다. 하천의 길이가 짧고 유역면적이 좁아 하천수량이 원래 적은 것도 이유겠지만 지하수가 낮아 하천 지표수가 지하로 침투해버리는 문제도 결코 가볍다 할 수 없다.

굴포천과 승기천 등 상류가 복개된 하천은 유지용수를 멀리서 한강 원수이나 하수종말처리장 처리수를 끌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하천복원을 이야기하면 유지용수 어떻게 할 것이냐고 되묻기 일쑤다.

인천시는 일찍이 2009년에 빗물관리조례를 제정했다. 인천시 빗물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고 재해예방 및 환경보전에 기여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이 조례에는 시장은 ‘빗물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빗물이용시설 설치비용을 지원할 수 있고 빗물이용시설에 대해 수도요금을 감면해줄 수 있고, 빗물관리위원회를 구성·운영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빗물이용의 법적 근거는 충분하다. 이제라도 빗물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기후변화시대에 대비해야 한다. 

* 2015년 11월 17일자 경기일보 인천논단의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