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오는 금요일(5/27) 상반기 마지막 강좌가 진행됩니다. 마지막 강좌 신청도 가능하니 <시민이 도시를 바꾸거나 지켜낸 사례> 강좌에...
하천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강의가 오는 금요일(5/20)에도 진행됩니다. 이번 강의는 현장강의와 ZOOM강의가 모두 있습니다. 오후 2시에 '환경기초시설이해와...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강의가 오는 금요일(5/13) 오후 7시 30분에 진행됩니다. 이번 강의는 다시 ZOOM강의로 진행되오니 일정 확인 바랍니다. 개별...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네 번째 강의가 오는 금요일(5/6) 오후 2시에 진행됩니다. 이번 강의는 현장에서 진행되오니 일정 확인 바랍니다. 신청자들에 한해서...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세 번째 강의가 오는 금요일(4/29)에 진행됩니다. 개별 강좌 신청도 가능하니 <인천도시바람길숲의 기능과 방향> 강좌에...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오는 금요일(4/22) 두 번째 강좌가 진행됩니다. 개별 강좌 신청도 가능하니 <육감으로 만나는 자연생명> 강좌에 관심있는 분들은...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그 첫번째 강좌가 진행됩니다. 아직 신청하지 않은분들은 서둘러 신청해주세요. 대상 : 누구나 참가비 : 회원 무료 / 비회원 강좌당...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대상 : 누구나 참가비 : 회원 무료 / 비회원 강좌당 1만원(농협 인천녹색연합 146-01-111032) 신청 : ...
[세계물의날 논평] 인천 하천, 생태적 관점에서 새롭게 하천복원계획 수립해야
[세계물의날 논평] 인천 하천, 생태적 관점에서 새롭게 하천복원계획 수립해야 3월 22일 내일은 세계물의날이다. 인류의 무분별한 개발로 환경이 파괴되고 강이나 바다가 오염됨으로써 먹을 수 있는 물이 점차 줄어들자, 수자원을 보호하며 이를 개선하자는 취지에서 1992년 제정되었다. 인천에는 국가하천 2개, 지방하천 30개, 소하천 113여개가 곳곳에 위치해 있다. 치수(治水)와 이수(利水)를 넘어 이제는 생태적인 관점에서 도시의 하천을 복원하고 관리해야 한다. 그동안 인천시는...
2021 심곡천&공촌천 생태 모니터링 결과 나눔회
인천녹색연합과 서구청은 지난 12월 1일(수), 2021 심곡천&공촌천 생태모니터링 결과 나눔회를 진행했습니다. 인천녹색연합과 서구청은 올해 2월 25일 ‘4대 하천 생태 모니터링 협약’을 맺었습니다. 생태모니터링을 위해 생태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하시고, 생태 보전 활동을...
2021년 상반기 인천환경뉴스와 하반기 전망
2021년 상반기 인천환경뉴스와 하반기 전망 소각장과 자체매립지 조성 과제 인천광역시는 2020년,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선언에 이어 쓰레기독립을 선언하고, 자체매립지와 소각장 조성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조성지로 발표된 지역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쓰레기 문제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또한 근본적으로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제도개선 등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90%가...
사라지는 물길과 생명을 지키기 위하여
첨부해드린 사진은 서구 청라지구와 맞닿은 서해 바다 주변을 구글 타입랩스를 통해 비교한 사진입니다. 하나는 1985년, 다른 하나는 2020년 현재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산업화·도시화의 진행과정 속에서 각종 건물을 세우려면 땅이 필요했고, 생활하수나 공장폐수 등을 방류할 물길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갯벌과 하천은 매립됐고, 오염수는 하천으로 버려졌습니다. 국내에 1990년대 중반부터 기존 하천관리에 대한 문제제기가 본격화 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서 ‘자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