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는 용현갯골매립이 아닌 복원계획을 수립하라. 인천광역시가 2019년 12월 30일 용현지구 공유수면(일명 용현갯골)매립 실시계획승인을 고시했다. 동구 수문통 갯골 복원은 중요사업을 설정하고 추진하면서 용현갯골을 매립하겠다고 한다면 300만 인천시민 누가 납득하겠는가? 용현갯골매립은 바다를 시민들에게 돌려주겠다는 그동안의 민선7기 인천광역시정부의 정책방향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인천광역시는 공유수면 매립 고시에서 용현갯골(미추홀구 학익동...
블로그
2020년 숲해설가 전문과정 모집 예정(1월말부터 2월말까지)
2020년 숲해설가 전문과정 모집예정입니다. 모집은 1월말부터 2월말까지 진행됩니다. (모집공고는 인천녹색연합 / 생태교육센터 이랑 홈페이지에 게재 예정) 모집 시작 시 문자알림을 받고 싶으시면 이 링크를 통해 성함과 전화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문자알림 신청 – 이름/전화번호 남기기(클릭!) 문자알림 신청 – 이름/전화번호 남기기(클릭!)...
[칼럼] 재두루미 겨울나고 아이들이 얼음놀이하는
[장정구의 인천 하천이야기] (25) 서부간선수로 - 장정구 /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 올해도 어김없이 겨울진객 재두루미 가족이 계양들녘을 찾아왔어요” “계양들에서 내년에도 그리고 앞으로도 쭈~욱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런데,,,,,” 한국내셔널트러스트와 한국환경기자클럽이 주최하고 환경부와 문화재청, 산림청이 후원한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 수상자는 말을 잇지 못한다. 1년 전인 2018년 12월 국토교통부는 남양주, 하남, 과천 등 30만호 주택의...
학교와의 거리 100m도 되지 않는 남촌일반산업단지 계획에 주민의견 수렴 0건!
[성명서] 학교와의 거리 100m도 되지 않는 남촌일반산업단지 계획에 주민의견 수렴 0건! 산업단지와의 거리 500m도 되지 않는 곳에 학교 4곳 위치 하지만 형식적인 주민의견 수렴 과정으로 주민의견 0건. 인천광역시와 남동구는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 거치고, 산업단지 영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책 마련해야 인천 남동구가 남동스마트밸리(남촌 일반산업단지) 개발 특수목적법인(SPC)의 설립을 위해 한국산업은행 및 현대엔지니어링(주) 컨소시엄과 지난 19일 주주협약을 체결하고...
[일회용품없는 학교 만들기] 신명여고 GREEN LIGHT 12월 활동 후기
12월 18일(수) 신명여고 환경동아리 GREEN LIGHT와 [일회용품 없는 학교 만들기] 마지막 모임을 가지었습니다. 6월부터 10월동안 일회용품이 지구에 가하는 문제점과 국내외 정책 그리고 여러번 쓸 수 있는 다회용품을 만들어보았습니다. 페트병을 버릴 때에는 비우고 헹군다음에 잘 분리해서 버리자며 학급을 오가며 캠페인 활동도 펼쳤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GREEN LIGHT 친구들과 모여 학교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조사하고자 3모둠으로 나누어 활동하였습니다. 1모둠은...
12월 30일부터 1월 5일까지 통화가 어렵습니다.
얼마 남지않은 2019년. 한해의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사무처는 12월30일(월)~1월3일(금) 혹한기 휴무를 갖습니다. 2019년 12월 30일부터 2020년 1월 3일까지 통화가 어려우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따뜻한 연말 보내시고 건강...
혈세낭비, 녹지파괴 ‘도로 망령’을 되살리려는가? 인천시는 한남정맥 파괴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계획을 즉각 폐기하라!
오늘 언론을 통해 인천광역시가 한남정맥을 관통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를 추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남정맥 녹지파괴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계획은 인천광역시가 이미 2012년 폐기한 계획이다. 민선7기 인천시정부는 혈세낭비, 녹지파괴의 검단장수간도로 망령을 되살려 사회적 갈등을 유발시키지 말고 한남정맥 관통 도로계획을 즉각 폐기해야 한다. 보도에 의하면 검단신도시연결도로는 검단신도시교통개선대책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1,404억원 사업비가 투입되는...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5년… 인천시 생활폐기물 2015년 대비 106% 증가
[보도자료]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5년... 인천시 생활폐기물 2015년 대비 106% 증가 - 2018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 선언했으나 매립되는 생활폐기물 오히려 증가 - 지자체의 생활폐기물 발생 감축 노력 부족. 적극적인 감축 계획 수립해야 2015년 1월 9일, 수도권매립지 4차 협의체에서 생활폐기물 제로화 및 건설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 매립량 감축 방안을 적극 추진하는 것에 합의하였다. 인천광역시도 2018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생태환경잡지 2019년 겨울호
2019년 겨울, 생태환경잡지 <초록세상>이 발간되었습니다. 기획특집으로 '계양산'을 이야기합니다. 밝고 높은 인천의 진산(鎭山)인 계양산은 90년대부터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위협에 처해왔었습니다. 대표적으로 2006년부터 본격화된 계양산 골프장 계획이 있습니다. 개발계획으로부터 계양산을 지켜내기 위해 많은 인천시민들이 연대하고 행동하였습니다. 2018년 10월, 기나긴 롯데와의 행정소송끝에 결국 계양산을 지켜냈습니다. 일일 1만 5천 명의 시민들이 찾는...
[칼럼] 최초의 운하, 그러나 배없는 뱃길
(24) 아라천 - 경인아라뱃길 “하역장비가 가동되는 것을 본 적이 없어. 조만간 철거돼 고철로 팔릴 거라는 이야기도 있어” “여름에는 자전거 타거나 산책 나온 사람들이 제법 있는데 날이 추워지면서 개미 한 마리 없어” 시원스럽게 뚫린 물길을 따라 북서풍이 분다. 잔물결 이는 수면에는 고개를 파묻은 흰죽지들이 물결을 따라 일렁인다. 인적이 끊겨서인지 한때는 줄지어 달렸을 자전거도로 위로 부는 바람이 더욱 매섭다. 매점 문은 꽁꽁 잠겼고 화장실 변기 절반은 사용금지다. 높다란...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해주세요
오늘 인천옹진군 자월면과 덕적면 주민 294명은 박남춘 인천광역시장님께 인천앞바다의 지주(支柱)인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줄 것을 청원합니다. 선갑도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무인도이며 충청남도와 옹진군 덕적면과 자월면 등 덕적군도의 섬들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인천경기만의 중심입니다. 우뚝 솟은 선갑도는 신선의 세계라 하여 선접(仙接)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선단여와 함께 망구할매 전설이 깃든 섬으로 인천경기만의 지주(支柱)이며...
[신청]인천 갯벌 두루미와 만나는 ‘두루미 자연학교’
천연기념물 제202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두루미. 인천의 시조이기도 합니다. 어디서 만날 수 있을까 했더니 이야기듣고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함께 보러가요! 신청하기:...



![[일회용품없는 학교 만들기] 신명여고 GREEN LIGHT 12월 활동 후기](https://greenincheon.org/wp-content/uploads/sites/10/2019/12/10042402/KakaoTalk_20191224_111310503_01-400x250.jpg)




![[신청]인천 갯벌 두루미와 만나는 ‘두루미 자연학교’](https://greenincheon.org/wp-content/uploads/sites/10/2019/12/10041718/KakaoTalk_20191211_145656580-400x25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