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식물

[보도자료]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보도자료]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제17회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에 계양들녘(3기 신도시 계획지) 수상작으로 선정 -논습지의 중요성을 입증, 계양들녘 논습지 보전방안 필요 -대장들녘과 더불어 3기 신도시 계획지의 생태적 가치 되짚어 봐야 인천녹색연합은 한국환경기자클럽, 한국내셔널트러스트, 한국환경회의가 주최하고 환경부, 문화재청, 산림청이 후원하는 ‘제17회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에 계양들녘으로 공모하였고, 최종 선정되었다....

쓰러진 백령도 철조망, ‘지뢰’ 경고무색! 해안의 환경정비 시급하다.

쓰러진 백령도 철조망, ‘지뢰’ 경고무색! 해안의 환경정비 시급하다.

<보도자료> ‘지뢰’경고 무색, 쓰러진 백령도 철조망. 해안의 환경정비 시급하다. 최근 인천녹색연합이 백령도의 해안지역을 답사한 결과 해안지역의 환경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천녹색연합은 지난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백령도의 북동쪽 해안지역의 환경관리실태를 확인했다. 서해5도 중 최북단인 백령도는 수년 전 서북도서요새화사업으로 도서경관이 크게 훼손된 데 이어 해안지역의 군 관련된 시설들이 관리되지 않고 있다. 흉물스럽게 방치되고 있어 환경훼손유발은...

(마감) [10/10(목)~10/12(토)] 백령도 해양쓰레기수거활동 및 생태탐방 프로그램

(마감) [10/10(목)~10/12(토)] 백령도 해양쓰레기수거활동 및 생태탐방 프로그램

백령도에서 총 3일간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선택1부터 선택3까지 선택하셔서 참여하시면 됩니다:) *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서 주관하는 해양쓰레기 활동은 정기적으로 민, 관, 기업이 함께 하는 행사입니다. 섬으로 밀려들어오는 해양쓰레기 역시 골칫거리이자 우리가 함께 고민하고 실천해야하는 문제입니다. * 둘째날 오후부터 다음날까지 백령도의 아름다운 절경을 둘러보고 점박이물범에 대해 이야기나누고 관찰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번 시간을 통해 백령도의 위엄과 아름다움에 빠져보시길...

태풍 링링, 보호수들 뿌리 뽑고 가지 부러뜨려

태풍 링링, 보호수들 뿌리 뽑고 가지 부러뜨려

[보도자료] 태풍 링링, 보호수들 뿌리 뽑고 가지 부러뜨려, - 강화 연미정 느티나무, 교동 고구리 물푸레나무 등 보호수 피해 심각 - 천연기념물, 시기념물, 보호수 등 전수조사 후 보호조치 강구해야 인명피해와 함께 심각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힌 제13호 태풍 ‘링링’이 보호수들마저 심각한 피해를 입힌 것을 확인되고 있다. 인천녹색연합이 회원들로부터 제보를 받고 확인한 바에 의하면 인천시 지정 보호수 중 강화 연미정 느티나무, 교동도 고구리 물푸레나무와 인사리 은행나무, 옹진군...

인천대공원에서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쌍꼬리부전나비 확인!

인천대공원에서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쌍꼬리부전나비 확인!

[보도자료] 인천대공원에서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쌍꼬리부전나비 확인! - 인천대공원을 비롯한 주요 공원의 생물서식현황 모니터링과 보호방안 마련 필요 인천녹색연합과 생태교육센터 이랑은 인천대공원에서 멸종위기종인 대모잠자리와 쌍꼬리부전나비를 확인했다. 급격한 기후변화와 악화되어 가고 있는 도심생태환경 속에 멸종위기종의 서식이 확인된 것은 습지 등 서식지가 잘 유지, 관리 되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천대공원을 비롯한 인천 주요 공원에서 멸종위기야생동물 서식이 확인되는 만큼...

인천녹색연합-선인고등학교, ‘갯벌탐사’ 8월 활동

인천녹색연합-선인고등학교, ‘갯벌탐사’ 8월 활동

7월 여름 방학을 마치고 8월 선인고 S-BIO(환경생태교육봉사동아리) 친구들과 다시 모였습니다. 8월 7일(수)에는 영종도 서측에 위치한 덕교리갯벌에서 해양쓰레기 수거활동을 하였습니다. 세 모둠을 나누어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한 보따리 씩 풀어서 어떤 품목에서 쓰레기가 많이 나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중국산 페트병부터 어선 작업복까지 각양각색 쓰레기들을 마주하였는데요. 그 양이 어마어마했습니다. 쓰레기의 품목을 나누어 개수도 세어보고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해변에...

천연기념물 백령도 무궁화, 결국 죽었다

천연기념물 백령도 무궁화, 결국 죽었다

<보도자료> 천연기념물 백령도 무궁화, 결국 죽었다! - 2018년 태풍에 가지가 뿌러져 결국 고사 - 천연기념물, 보호수 등 120여 그루 전체 실태조사 후 보호 조치 강구해야 7월 19일, 인천녹색연합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옹진군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가 고사되어 천연기념물 지정해제가 진행 중인 것을 확인했다. 백령도 무궁화는 2012년 태풍 ‘볼라벤’의 강풍으로 뿌리가 훼손되는 피해를 입었고 2018년 태풍 ‘솔릭’의 강풍에 가지가 부러지는 피해를 입었다가 올해...

[보도자료] 계양신도시 계획부지, 멸종위기2급 금개구리 393마리 확인

[보도자료] 계양신도시 계획부지, 멸종위기2급 금개구리 393마리 확인

[보도자료] 계양신도시 계획부지, 멸종위기2급 금개구리 393마리 확인 - 계양신도시 계획부지 전역에서 금개구리 확인, 사업 전면 재검토하고 보호대책 마련해야   인천녹색연합과 아태양서파충류연구소는 지난 6월15일부터 6월20일까지 계양테크노밸리신도시(계양신도시) 계획부지(약 3,000,000㎡)에 금개구리 서식현황을 조사한 결과, 393개체를 확인했다. 이번에 서식이 확인된 계양신도시 계획부지는 인천내륙에서 거의 유일하게 자연적으로 남아있는 금개구리 서식지로 서식지...

계양산 생태조사단 모집

계양산 생태조사단 모집

신청하기 ▶ http://bit.ly/계양산생태조사단   [보도자료] 계양산 보전 방안 마련을 위한 생태조사단 모집 - 7월~9월 동물(양서파충류,곤충,조류)과 식물 등 '자연생태'와 등산로 등 '이용실태'조사 - 분야별 전문가와 그동안 자연생태모니터링에 참여한 시민들과 함께 진행 - 10월 중 조사결과발표 함께 계양산 보전방안 제시할 예정 인천녹색연합과 생태교육센터 이랑은 조사단을 구성하여 7월부터 9월까지 계양산의 자연생태, 이용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식물’,...

인천녹색연합-선인고등학교, ‘갯벌탐사’ 두번째 시간

인천녹색연합-선인고등학교, ‘갯벌탐사’ 두번째 시간

6월 25일(월) 선인고등학교 환경교육봉사동아리(S-BIO)친구들과 '갯벌탐사' 두번째 시간을 가졌습니다. 시험기간이라 지쳐보이기도 했지만 또랑또랑 한 얼굴들 만날 수 있었는데요.  인천녹색연합 박주희 사무처장을 통해서 갯벌의 역사와 현황, 매립 그리고 영종도를 둘러싼 환경현안(불법 어구, 준설토 투기장, 영종2지구 매립계획, 갯끈풀, 해양쓰레기)에 대해 자세하고도 가슴아픈 이야기 들을 수 있었습니다.  7월은 방학으로 한 숨 쉬어가고 8월에 다시 만나 영종도에서 해양쓰레기...

[후기] 2019양서류모니터링단 마무리모임

[후기] 2019양서류모니터링단 마무리모임

인천녹색연합은 3월부터 5월까지 인천·부천지역에서 양서류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약 27명의 모니터링단 단원이 계양, 부평, 남동구, 연수구, 서구, 부천에서 총 13개의 지점을 모니터링했습니다. 모니터링을 통해서 새로운 생명과의 즐거운 만남이 이어졌고, 양서류서식지에대한 현황파악도 알 수 있었습니다. 일주일에 한번씩 모니터링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데, 끝까지 잘 마무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활동마무리기념으로 마지막모임시간을 가졌습니다. 식당에서 밥을 먹으며 소감을 나누고...

인천녹색연합-선인고등학교, ‘갯벌탐사’ 발대식 진행

인천녹색연합-선인고등학교, ‘갯벌탐사’ 발대식 진행

  선인고 환경교육봉사동아리(S-BIO)와 인천녹색연합은 5월 13일(월) 선인고에서 ‘갯벌 탐사’ 발대식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에는 월 1회 한남정맥, 하천, 갯벌, 섬 등 현장 탐사를 통해 야생동물 및 서식지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인천에 서식하는 동식물 중 생태, 지리, 문화,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는 깃대종을 선정하는 활동을 하였습니다.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학생들이 임의로 인천을 대표할만한 야생생물을 몇 가지 선정한 뒤 , 시민 363명의 설문조사를 거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