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부녹색연합 활동가 계양산 골프장 반대 및 나무 위 시위 지지 산행 본부녹색연합 활동가들이 계양산 골프장 반대와 신정은 활동가 나무 위 시위 지지를 위한 계양산산행을 실시합니다. 내일 (11월 8일) 10시 30분 계양산관리공원사무소에서 출발하여 신정은 활동가가 있는 나무 시위 현장에 도착해 집회를 할 예정입니다. 함께 하고픈 인천회원분들은 11월 8일, 10시 30분까지 계양공원관리사무소로 와 주시길 바랍니다. 일시:11월 8일 (수) 10:30 출발장소: 경인여대 뒤...
기타
녹지체육공원 송도 시민휴식공간의 주인은 인천시민…!
송도유원지지구 내 대우자판(주)부지라 하는 공유수면매립지에는 1994.9.10. 초기 공유수면매립자(주)한독이 준공한 도시공원시설 녹지체육공원 시민휴식공간이 있다. 시민,환경단체,언론은 진상 조사단으로 하여금 이 진실을 규명 모든 개발계획에 앞서 먼저 이 시민휴식공간이 인천시민에게 채납되도록 해야 할것이다. 본 도시공원시설 녹지체육공원은 공유수면 매립의 조건으로 준공되었며 본 시민휴식공간에는 축구,야구,농구,족구,게이트볼장,야외공연장,솔밭동산,차장등 부대 시설이 있다....
계양산 생명들과 함께 하는 숲 속 음악회
계양산 생명들과 함께 하는 숲 속 음악회 인천에는 산정습지와 반디불이가 사는 아름다운 푸른 숲 계양산이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인 이곳을 사들인 재벌기업 롯데건설에서는 이곳에 나무를 다 베어내고, 농약덩어리인 골프장을 짓겠다고 합니다. 하루 1만여명이 찾는 이 쉼터를 소수의 놀이터로 갖겠다고 합니다. 계양산을 지키고자 하는 시민들의 둥그러이 모여앉아 계양산의 생명들을 염원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계양산의 솔향과 바람소리, 낙엽, 아름다운 노랫소리, 그리고...
풀색꽃해변말미잘
바닷가에 가면 물빠진 물웅덩이를 보세요. 여러 생물들이 많이 있습니다. 혹시 말미잘이 있으면 굴을 깨서 넣어 보고 관찰하면 재미있습니다. 이넘은 굴을 먹고 푸른색이 더 푸르러진 상태에서 담은 것입니다. 06.10.18 전북...
구절초
계양산에도 구절초가 보이더라구요... 한데 너무 늦게 가서 조금 지는 것을 담았습니다.. 06.10.14 계양산 자연학교중에 땡땡이 치며....
청미래덩굴 열매
청미래덩굴을 어렸을 때 영감나무라고 불렀던 기억이 나는데, 꽃보다는 열매가 더 이뻐 보입니다. 06.10. 14 계양산 자연학교중에...
넓은잎버들엉겅퀴
엉겅퀴는 여름 한철에 맹렬한 기세로 피어납니다만 이넘은 늦가을 지금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잎이 버들잎처럼 가늘어 이름을 얻었나봅니다. 06.10. 14 계양산 자연학교 참석중에...
개쓴풀
양지의 습지에서 사는 작은 풀입니다. 비교적 보기 어려운 식물이며 계양산에서 보인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06.10.14 계양산 자연학교 참석중에
제3회 인천 물 사랑 사진공모전 입상자 발표
입상자명단2006.hwp 제3회 인천 물사랑 사진공모전 입상(입선)자 발표 인천광역시, 기업(현대제철, 한국가스공사, 한국남동발전, 동양제철화학), 인천녹색연합, 인천일보는 물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물 사랑 실천 붐 조성 목적으로 제3회 인천 물 사랑 사진공모전을 개최하였습니다. 올해는 작년보다 150점 늘어 일반부 423점, 학생 263점으로 총 686점이 출품되었습니다. 물사랑운동에 적극 동참하여 사진공모전에 출품하여 주신 시민과 학생 여러분들께 감사드리며, 지난 10월...
청라지구 시민생태모니터단 모집
청라지구 시민생태모니터단 모집 황새, 저어새, 고니, 검은머리갈매기, 알락꼬리마도요, 삵, 금개구리, 맹꽁이, 물장군, 반딧불이 ! 이들은 멸종위기종이라는 것 말고도 청라지구에 서식/도래하는 동물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천 내륙 유일의 철새도래지이자 야생동식물의 보고로 자리매김한 청라지구가 경제자유구역이라는 미명아래 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 이곳에 벌써 겨울을 알리는 큰기러기(멸종위기2급) 무리가 찾아들고 있습니다. 청라지역은 1984년까지 두루미도래지로...
청라지구 야생동식물 보호를 위한 릴레이 1인 시위
10월 2일 인천녹색연합 한승우 사무처장
산호랑나비
산 정상에서 산호랑나비를 보았습니다. 뒤에서 잡으니 꼭 날아가는 것 같아요.... 06.10.2 강화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