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강원도 홍천군 구만리에 숲을 밀고 골프장을 건설하려는 업체에 맞서 홍천 구만리 지역농민이 힘을 모은지도 어연 10년. 인천녹색연합은 2012년 주민들 요청으로 회원들과 함께 구만리의 자연 환경조사를 진행하면서 홍천구만리와 인연을 맺기 시작하였습니다. 많은 골프장들이 지역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불법과 탈법적인 방식으로 사업주의 이익만을 채우고 있습니다. 강원도의 골프장 싸움, 진행형입니다. 연 4회 지역주민과 어울려 동네탐방도,...
행사
회원과 함께 만들어가는 녹색 일정
*신청은 매달 홈페이지를 통해 받습니다. 5월_알락꼬리마도요 탐조 활동은 조만간 신청페이지를 올리고자 합니다. *문의: 시민참여팀 진진(032-548-6274)
4월 탑산이 머무른 시선_팔미도
팔미도 전경 팔미도는 인천항에서 남쪽으로 13.5km, 해발 약60m의 작고 아름다운 섬이다. 사주로 연결된 팔미도와 해변 팔미도 등대역사관 2층전시실은 상륙작전과 팔미도등대의 역할, 3층전시실은 인천항 개항의 역사 등 팔미도 등대의 역사와 인천개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천년의 빛 조형물 광장 팔미도 등대 100주년 기념 상징조형물 100개의 빛 기둥이 하늘을 향해 뻗어있다. 팔미도 옛 등대 사무실 팔미도 신,구 등대 앞쪽이 1903년에 만들어진...
[회원의날] 0409 설악산 함께 갑시다
나는 좋아 설악산이 너무 좋아 아 나를 안아주려마 - 구름 바람 아 하늘 나는 좋아 설악산이 너무 좋아 아 너의 품속으로 -한영애, 설악산 한영애의 '설악산' 노랫말입니다 (노래듣기:https://youtu.be/3H57whd5oKU) 설악산이 얼마나 좋길래, 설레이기에 연인의 세세한 몸짓을 떠올리듯 설악산의 풍경을 헤아리며 안기고 싶다는 그 맘, 그 흥에 문득 궁금해집니다. 설악산에 기웃거리고 싶어집니다. 4월 9일(토) 봄기운 맞으며...
홍천구만리(0305)_장 담그기 후기
2016도농교류사업_홍천구만리 참여 신청하기:...
2016도농교류사업_홍천구만리에 같이 깃들어보아요
2007년 강원도 홍천군 구만리에 숲을 밀고 골프장을 건설하려는 업체에 맞서 홍천 구만리 지역농민이 힘을 모은지도 어연 10년. 인천녹색연합은 2012년 주민들 요청으로 회원들과 함께 구만리의 자연 환경조사를 진행하면서 홍천구만리와 인 연을 맺기 시작하였습니다. 많은 골프장들이 지역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불법과 탈법적인 방식으로 사업주의 이익만을 채우고 있습니다. 강원도의 골프장 싸움, 진행형입니다. 구만리 지역농민과 연계하여 아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지역주민과...
설악산 지키기 天인행동 ‘天人 설악에 들다’
民心은 天心입니다. 모든 생명은 하늘에서 내렸습니다. 환경부와 강원도가 포기한 설악산, 이제 하늘의 뜻에 따라 우리 시민(天人)들이 지켜야 합니다. * 천연보호구역, 국립공원, 유네스코생물권보호구역, 산림유전자보호구역, 백두대간보호구역 으로 지정되어 있는 설악산. 오색에서 끝청까지 3.5km 구간에 케이블카를 설치하겠다고 강원도는 추진중입니다. 지주 6개, 8인승 곤돌라 53대로 시간당 825명을 설악산 정상 부근에 끌어 올리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미...
천인, 설악에 들다.
한파가 계속되던 1월 22일의 이른 아침, 인천녹색연합의 회원님들과 활동가 그리고 인천의 여러 시민단체 관계자분들과 함께 설악산으로 향했습니다. 부평구청 앞에 모여 출발한지 약 2시간 뒤 도착한 곳은 설악산 국립공원의 남쪽, 주전골 입니다. 매섭게 부는 바람의 날이 서슴없이 스침에도 우리는 설악산의 늠름한 자태에 우리는 환호와 미소로 인사했습니다. 주전골이란 이름은 용소폭포 입구에 있는 시루떡바위가 마치 엽전을 쌓아 놓은 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옛날 이...
홍천 구만리 ‘메주만들기’ 하고 왔습니다.
<구만리 노인회관에서 인사나누는 시간> 3월 부터 시작한 도농교류협력 사업이 12월 마지막 달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된장만들기 부터 시작하여 매달 모심기, 콩 심기, 어린이 여름 자연학교, 벼베기, 김장담그기를 했습니다. 12/20(일) 홍천구만리 '메주만들기'를 16명이 참석하여 하고 왔습니다. 방상훈님과 사모님, 최유진님, 김미숙님, 산지기님, 최용익님, 백조은과 나무꾼네 가족도 참석했습니다. 이상권대표님 활동가들은 채송화, 다람쥐 나무꾼과 박넝쿨이...
[11월-내고향만들기-홍천 구만리’김장담그기’ 하고 왔어요.]
[내고향만들기- 홍천구만리] 11/13(금) 홍천구만리 김장을 담그러 갔습니다. 모두 12명이 참석을 했습니다. 김장하러 가기전 설악산 케이블반대 농성장 지지방문을 했습니다. 이상권대표님 내외분, 서일석 위원님 내외분, 신입회원방상훈님과 루미,루한이와 활동가들이 함께 했습니다. 구만리에서 생산한 농산물이 재료로 다 만들었습니다. 고추가루, 무우, 갓, 대파, 마늘등등.. 반종표국장님과 사모님께서 미리 재료 준비를 다 해 주셨습니다. 우리가 가서 김장 속 버무리기를...
[12월 회원의날-동지팥죽만들기]
2011년 회원의날- 동지팥죽 끓여먹기 [12월 회원의날- 동지 팥죽 만들기]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극에 도달하고,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태양의 부활을 뜻하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 가는 작은 설의 대접을 받았다고 합니다. 지금도 여전히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내고향 만들기- 메주만들기] 함께 가요.
고구려는 발효식품이 발달한 나라였다. 또한 콩의 원산지가 우리 나라이다. 이러한 점을 생각하면 매주는 우리 나라에서 오랜 옛날부터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사기≫에 ‘밀장시(蜜醬豉)’라는 말이 있어 통일신라에 이미 간장과 된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원료인 메주도 이와 비슷한 역사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메주 만들기 재래식의 메주제조방법은 콩을 삶아 으깬 것을 덩어리로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