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금개구리 사는 논습지, 개발로 절반 사라질 위기
– 인천녹색연합 “도시개발 전, 금개구리 서식 현황부터 인지해야”
– 도시생태현황지도 갱신과 시민과학 데이터 반영 시급
– 대체서식지 효과 검증 없이 관행 지속
인천녹색연합 “도시개발 전, 금개구리 서식 현황부터 인지해야”
인천녹색연합이 문헌 및 현장 조사를 통해 인천내륙지역의 금개구리 서식현황을 파악한 결과 21곳, (490만㎡, 인천 내륙 전체 면적 350km2의 1.4%)에서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금개구리 서식이 확인된 논습지 면적의 절반(48%)이 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금개구리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자 인천시 깃대종으로 논습지가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삼산4지구 도시개발사업’ 부지에서는 다수의 금개구리가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지역은 금개구리 서식이 확인된 논습지 전체 면적의 16%를 차지한다. 그러나 인천시는 지난 10월 ‘삼산4지구 도시개발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을 공개하며 개발을 위한 행정절차를 추진할 계획을 밝혀 서식지 보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계양산업단지는 이미 환경영향평가를 마치고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검단천 하류의 인천 에코사이언스파크 부지 역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마친 뒤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어 개발이 추진 중이다. 이곳 논에서도 금개구리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해당 지역은 전체 논습지 서식지의 24%를 차지한다.
도시생태현황지도 갱신과 시민과학 데이터 반영 시급
인천녹색연합은 행정자료 뿐만 아니라 시민과학자 온라인 기록 플랫폼인 ‘네이처링’ 자료와 14명의 시민과학자들의 현장조사를 통해 총 21곳의 금개구리 서식지를 확인했다. 인천시 공식자료인 도시생태현황지도에 7곳(면적 기준 46%)만 파악하고 있는 것과 큰 차이가 있다. 이는 인천시가 발주한 제한적인 용역조사 결과에만 의존하고, 시민조사나 추가 생태 정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인천시가 파악하지 못한 깃대종 서식 현황의 공백을 시민과학이 메울 수 있다며, 시민과학 데이터를 도시생태현황지도에 반영해 도시개발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보호종의 서식 현황을 미리 인지하고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 사무처장은 인천시가 이미 백령도 점박이물범 시민 모니터링 자료를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에 활용한 사례가 있다며, 시민과학 데이터는 정책 수립의 근거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체서식지 효과 검증 없이 관행 지속
인천녹색연합은 금개구리를 대체서식지로 이주시키고 개발을 강행하기 전에, 대체서식지의 효과성을 우선 검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체서식지의 환경 악화와 관리 부실 문제는 이미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지만, 인천녹색연합의 최근 조사에서도 장아산공원과 심곡천 하류의 대체서식지에서 금개구리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행정은 보호종이 개발 부지에 서식할 경우 이를 포획해 대체서식지로 이주시킨 뒤 개발을 계속 진행하는 방식을 관행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인천녹색연합은 이러한 관행이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근본 취지를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금개구리 보호 위한 과제 제시
인천녹색연합은 금개구리 보호를 위해 ▲논습지 보전 방안 마련 ▲공원형 금개구리 서식지 관리 지침 수립 ▲대체서식지의 현황 파악과 이력 추적 및 서식 모니터링을 통한 효과성 검증 ▲도시생태현황지도(양서파충류 주제도)의 상시 갱신과 시민과학 데이터의 적극 반영 등 네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정홍석 인천녹색연합 활동가는 금개구리 보호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행정기관과의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년 11월 17일
인천녹색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