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식물

[공지]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네 번째 모임

[공지]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네 번째 모임

멸종위기지킴이단 네 번째 모임 공지입니다. 6월의 주제는 한국 고유종이자 멸종위기2급인 금개구리입니다. 현재는 찾는 것이 쉽지 않지만 금개구리를 인천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1984년까지 천연기념물 제257호로 철새도래지였던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 540만평의 청라지구는 한때 우리나라 최대의 금개구리 서식지였습니다. 그러나 고층의 빌딩 숲으로 변했고, 인천과 김포를 잇는 제2외곽순환고속도로와 직선화된 경인고속도로의 연결도로공사로 금개구리와 맹꽁이를 위한...

6월 주요예정일정 입니다.

6/02(금) 탈핵순례 6/07(수)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 파랑 답사(~8일, 대청도) 6/10(토) 회원의날(굴포천 탐방) 6/11(일) 어린이숲생태교육(초록동무), 청소년갯벌생태교육(게눈) 6/12(월) 사무처회의, 운영위원회의 6/13(화) GM농작물개발반대 농성장 지지방문(전주 농진청) 6/17(토)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 파랑 취재(~18일, 대청도), 인천미세먼지 모니터링 사후워크샵, 인천기후에너지탐구단(수도권쓰레기매립지) 6/23(금) 녹색현장탐방(서구-순환골재)...

[기고] 폭염과 가뭄, 생존 위협받는 양서류

때 이른 더위와 가뭄으로 인해 전국 곳곳 농민들의 한숨이 벌써부터 들려온다. 해가 갈수록 여름과 겨울은 길어지고 봄과 가을은 짧아지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 봄철에는 미세먼지 문제가 전 국민의 관심사였는데, 이제는 폭염과 가뭄이 화두가 되었다. 기후변화에 대한 문제의식과 심각성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다. 기후변화는 사람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온도가 2℃ 증가할 경우 5.2%의 종이, 3℃ 증가할 경우에는 8.5%의 종이 멸종하게 된다고 한다. 멸종될...

[공지]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세 번째 모임

[공지]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세 번째 모임

멸종위기지킴이단 세 번째 모임 공지입니다.   세 번 째 모임에서는 인천의 갯벌을 매년 찾아오는 ‘알락꼬리마도요’를 탐조합니다. 알락꼬리마도요는 러시아 극동지방(번식지)에서 인천갯벌(중간기착지)을 통과하여 호주(월동지) 로 이동합니다. 번식기는 6월-7월이고, 번식기와 월동지를 이동하는 중간 때인 4-5월, 9-10월에 인천갯벌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알락꼬리마도요가 쉬어가는 곳 중 한 장소인 영종도갯벌은 그동안 인천국제공항, 준설토투기장 건설 등으로 인하여 이미 조류...

[후기]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4/22

[후기]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4/22

4월 22일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 두 번째 모임이 남동유수지에서 진행됐습니다. 4월의 주제는 ‘저어새’입니다. 저어새의 전세계적 개체수는 3,356(2016년 기준)마리입니다.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1급이자 천연기념물로 세계적으로 보호해야하는 철새입니다. 저어새는 인천갯벌 인근에서 번식하고, 남동유수지는 그 중 한 곳입니다. 저어새가 남동유수지에서 번식을 시작한 시기는 2009년입니다. 번식을 시작한 이후 번식규모는 매우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번식 시도한 둥지 수가...

[기고] 생명의 이동권

4년 전, 계양산 두꺼비 집단산란지에서 겨울잠에서 깨어난 두꺼비가 사람 키를 훌쩍 넘는 제방에 가로막혀 산란지로 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았다. 도로 보도턱을 넘지 못해 아스팔트 위에서 고군분투하는 산개구리도 보았다. 또 어느 봄날, 높다란 다리로 하늘길이 막힌 새들이 방향을 틀어 날개짓 하는 것을 보았다. 4대강에 건설된 보와 댐으로 인한 물고기 떼죽음 보도도 계속되고 있다. 인천지역 산에서 종종 40~50㎝ 높이의 혹은 사람 키를 훌쩍 넘는 구조물을 보게 된다. 이 구조물은...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발대식 진행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발대식 진행

지난 4월 13일(목) 백령중고등학교 해송관에서 30여명의 백령중고등학생으로 구성된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발대식이 진행됐다.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는 2016년 해양환경관리공단, 백령중고등학교, 인천녹색연합, 녹색사회연구소 등이 점박이물범에 대한 지역사회인식 증진 활동의 일환으로 공동진행한 '점박이물범 생태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결성된 것이다. 이번 발대식은 녹색사회연구소·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준비모임이 주관,...

[후기]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3/11

[후기]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3/11

3월 11일 부평나비공원에서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 첫 모임을 가졌습니다. 첫 모임은 간단한 자기소개와 캠페인 설명, 멸종위기야생동물과 양서류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동물을 좋아하는 친구들, 인천의 멸종위기야생동물에 대해 궁금한 분 등 이웃생명의 안녕을 묻는 마음들이 모여 앞으로의 활동이 더욱 기대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소개가 끝나고  산란하러 온 두꺼비를 관찰했습니다. 두꺼비는 번식기에 산과 이웃한 저수지나 연못, 습지등에서 볼 수 있으며, 번식기가...

[보도자료] 인천의 ‘멸종위기야생동물’을 지켜주세요!

인천의 ‘멸종위기야생동물’을 지켜주세요! -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총30여명으로 구성된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 8기 발족 - 인천을 대표하는 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금개구리, 두꺼비, 반딧불이 등 야생동물 보호활동 전개   인천녹색연합은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8기)’를 구성해 3월11일(토) 두꺼비 산란지인 부평나비공원에서 발족식을 진행했다. 초등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약 30명으로 구성된 지킴이단은 인천을 대표하는 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금개구리,...

3월 꽃내음달 주요 예정일정

3월1일(수) 청소년하천생태교육 '또랑' 사전답사(임진강 유역) 3월2일(목) 녹색저녁대화(정책위원회), 인천북성포구살리기시민모임 전체회의 3월4일(토) 양서류 조사, 회원소모임 '울림', 북성포구展 오프닝 행사 3월5일(일) 회원소모임 '한남정맥' 3월7일(화) 양서류조사 3월8일(수) 양서류조사, 청소년하천갯벌생태교육 '게눈' 답사 3월9일(목) 양서류조사 3월10일(금) 인천북성포구살리기시민모임 전체회의 3월11일(토)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 3월12일(일) 양서류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