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보전

계양산 보전, 관리를 위한 생태환경조사와 훼손지 복원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계양산 보전, 관리를 위한 생태환경조사와 훼손지 복원 방안 마련이 시급합니다.

인천녹색연합과 (사)생태교육센터 이랑은 지난 7월 말부터 10월초까지 계양산 일대 생태환경실태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생태조사가 필요하고, 무분별한 샛길과 등산로를 일부 폐쇄하고 훼손지를 복원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각종 대규모 개발사업으로부터 인천시민들이 함께 지켜낸 계양산이 제대로 보전, 관리될 수 있도록 2011년 계양산보호조례가 제정되었으나 아직도 '계양산보호종합계획'은 수립되지 않고 있습니다. 계양산 보전 방안이 마련, 시행되지 않고 있어...

[보도자료]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보도자료]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제17회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에 계양들녘(3기 신도시 계획지) 수상작으로 선정 -논습지의 중요성을 입증, 계양들녘 논습지 보전방안 필요 -대장들녘과 더불어 3기 신도시 계획지의 생태적 가치 되짚어 봐야 인천녹색연합은 한국환경기자클럽, 한국내셔널트러스트, 한국환경회의가 주최하고 환경부, 문화재청, 산림청이 후원하는 ‘제17회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에 계양들녘으로 공모하였고, 최종 선정되었다....

국토부는 신도시 건설 속도전 말고 그린벨트해제에 따른 도시환경대책 마련하라.

국토부는 신도시 건설 속도전 말고 그린벨트해제에 따른 도시환경대책 마련하라.

인천 계양구 대규모 그린벨트(논습지)를 개발하는 '3기 신도시' 건설 계획이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내년까지 환경조사와 계획을 마무리하고, 2021년에 착공한다고 하니, 가히 속도전입니다. 그린벨트의 기능 상실로 인한 도시환경대책도 마련해야 하고, 유입되는 인구로 인한 환경기초시설 등에 대한 대책도 마련되어야 하지만 이를 준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입니다. 이에 속도전 말고, 그린벨트 해제에 따른 도시환경대책을 마련하라는 성명을 발표합니다. 국토부는 신도시 건설 속도전...

[칼럼] 자동차와 라일락의 세월천

(23) 세월천 - 장정구 /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 “우와~ 이렇게 키 큰 라일락이 있었네요” “봄이면 진한 라일락 향기에 발길이 저절로 이리 향해요” 세월천에서는 우리나라 최고령일지도 모를 20여 그루의 라일락이 있다. 우리말로 수수꽃다리인 라일락은 외래종이지만 언제부터인가 도시의 봄향기를 대표한다. 인천역 플랫폼에 있던 최고령 라일락이 고사한 후 필자는 봄이면 한국GM 부평공장 안 세월천 라일락을 찾는다. 인천항 개항 이후 많은 서양문물이 인천을 통해서 우리나라로...

경인운하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라!

경인운하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라!

10월 4일(금) 오후12시30분, 여의도 선착장에서 가톨릭환경연대,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등이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사회적 논란 속에서 물류 기능을 도입하며 경인운하를 건설했으나 철저히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책임은 그 어느 누구도지지 않고, 때만 되면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송영길 국회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이 합의해 전국체육대회에 참여하는 인천시 선수단 100여 명을 80톤급 선박으로 경인항에서 경인운하를 거쳐...

[영상] 파랑9기 기자단 8월 취재 백령도

[영상] 파랑9기 기자단 8월 취재 백령도

https://youtu.be/ATlwkmlIH_o https://youtu.be/MH343AXpWHU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 ‘파랑’9기에서 8월에 취재한 백령도 영상입니다. 백령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파랑활동소개내용을 담았습니다.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파랑은 인천·경기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인천의 섬을 다니며 섬을 알리고 보전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영상] 파랑9기 기자단 6월 취재 승봉도

[영상] 파랑9기 기자단 6월 취재 승봉도

https://youtu.be/hKBWJCfEjvI https://youtu.be/7cHGX8iw5bg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이 6월에 취재한 승봉도 소개 및 해양쓰레기 취재 영상입니다.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파랑은 인천·경기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인천의 섬을 다니며 섬을 알리고 보전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도] 파랑9기 기자단 8월 덕적도 취재

[보도] 파랑9기 기자단 8월 덕적도 취재

[파랑기자단] 관광객 사랑받는 덕적도 넓은 백사장 닮아 덕 많고 인심 넉넉한 섬 ▲ 덕적도 북리 능동자갈마당에서 파랑기자단 단체사진. ▲ 박혜숙 덕적면 부녀회 부회장. ▲ 덕적도 서포리 해변. 지난달 31일. 2019년 청소년인천섬바다 기자단 파랑은 인천 옹진군 덕적도를 찾았다. 덕적도는 덕적군도(德積群島)의 어미섬으로 가장 큰 섬이다.  덕적군도에 속한 섬은 소야도와 굴업도, 문갑도 등이 있다. 덕적도는 일본으로부터 침략을 받기 전까지는 덕물도라고 부렸다. 이후 일제 때부터...

[보도] 파랑9기 기자단  8월 백령도 취재

[보도] 파랑9기 기자단 8월 백령도 취재

태고의 신비 백령도 … 오랫동안 간직했으면 ▲ 두무진에서 제9기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 파랑 단체사진. ▲ 김경훈 옹진군 백령면 부면장. ▲ 파랑기자단이 기존 물범 바위에서 쉬고 있는 점박이물범을 망원경으로 확인했다.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 백령도 두무진. 주민들 北 접경지로 조업에 한계 어업보단 대부분 관광업 등 종사 최근 사곶해변·두무진 발길 늘자 쓰레기 처리 한계 대책마련 시급 지난 8월6일. 인천연안여객터미널에서 오전 7시50분 배를 탄 2019년 제 9기...

[보도] 파랑9기 기자단 7월 교동도 취재

[보도] 파랑9기 기자단 7월 교동도 취재

[파랑기자단] 北 마주한 교동도 … '과거'를 지켜온 사람들 ▲ 교동도에서 가장 유명한 대룡시장 모습. ▲ 난정1리 주민들이 힘을 모아 시작한 해바라기 사업. 지난 7월13일 인천의 섬 이야기를 전달하는 청소년 기자단 파랑이 교동도로 향했다. 교동도는 2014년 개통한 교동대교를 통해 육로로 이동이 가능한 섬이다. 대교가 개통하면서 교동은 많은 관광객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교동도는 서해 최북단에 위치한 섬으로 북한 연백과 마주해 있다. 날이 맑을 때면 육안으로 북한 땅이...

[보도] 파랑9기 기자단 6월 승봉도 취재

[보도] 파랑9기 기자단 6월 승봉도 취재

[파랑기자단] 숲따라 해안따라 … 이끌려 가는 승봉도 소나무 군락지서 목섬까지 걸어서 모두 돌아볼 수 있어 ▲ 지난 8일 인천 옹진군 승봉도를 찾은 파랑 기자단이 소나무 숲길을 향하고 있다.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 해안산책로를 걷다 보면 나오는 승봉도 절경 중 하나인 목섬의 모습. /사진제공=인천녹색연합 ▲ 승봉도 한쪽에 위치한 쓰레기 선별장 모습. 섬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모아뒀다가 육지로 운반한다. 인천 섬 이야기를 전하는 2019년 제9기 청소년 인천 섬바다 기자단...

[칼럼] 인천대공원, 소래습지 도는 물길 다양한 생태계 형성

(22) 장수천 - 장정구 /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 “월락재천 수상지진(月落在天 水上池盡)” 우리나라 천주교회의 최초 영세자인 이승훈이 순교하며 남긴 말이다. 양반 집안에서 태어난 이승훈은 북경에서 선교사들로부터 교리를 배우고 ‘베드로’라는 이름의 세례를 받고 한국 최초 천주교회 창설에 참여한다. 예수를 부인했던 베드로처럼 이승훈은 몇 차례 배교와 복교의 과정을 거치다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며 ‘달은 떨어져도 하늘에 있고 물은 솟구쳐도 연못에서 다한다’는 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