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남지않은 2019년. 한해의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사무처는 12월30일(월)~1월3일(금) 혹한기 휴무를 갖습니다. 2019년 12월 30일부터 2020년 1월 3일까지 통화가 어려우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따뜻한 연말 보내시고 건강...
블로그
혈세낭비, 녹지파괴 ‘도로 망령’을 되살리려는가? 인천시는 한남정맥 파괴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계획을 즉각 폐기하라!
오늘 언론을 통해 인천광역시가 한남정맥을 관통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를 추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남정맥 녹지파괴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계획은 인천광역시가 이미 2012년 폐기한 계획이다. 민선7기 인천시정부는 혈세낭비, 녹지파괴의 검단장수간도로 망령을 되살려 사회적 갈등을 유발시키지 말고 한남정맥 관통 도로계획을 즉각 폐기해야 한다. 보도에 의하면 검단신도시연결도로는 검단신도시교통개선대책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1,404억원 사업비가 투입되는...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5년… 인천시 생활폐기물 2015년 대비 106% 증가
[보도자료]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5년... 인천시 생활폐기물 2015년 대비 106% 증가 - 2018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 선언했으나 매립되는 생활폐기물 오히려 증가 - 지자체의 생활폐기물 발생 감축 노력 부족. 적극적인 감축 계획 수립해야 2015년 1월 9일, 수도권매립지 4차 협의체에서 생활폐기물 제로화 및 건설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 매립량 감축 방안을 적극 추진하는 것에 합의하였다. 인천광역시도 2018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생태환경잡지 2019년 겨울호
2019년 겨울, 생태환경잡지 <초록세상>이 발간되었습니다. 기획특집으로 '계양산'을 이야기합니다. 밝고 높은 인천의 진산(鎭山)인 계양산은 90년대부터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위협에 처해왔었습니다. 대표적으로 2006년부터 본격화된 계양산 골프장 계획이 있습니다. 개발계획으로부터 계양산을 지켜내기 위해 많은 인천시민들이 연대하고 행동하였습니다. 2018년 10월, 기나긴 롯데와의 행정소송끝에 결국 계양산을 지켜냈습니다. 일일 1만 5천 명의 시민들이 찾는...
[칼럼] 최초의 운하, 그러나 배없는 뱃길
(24) 아라천 - 경인아라뱃길 “하역장비가 가동되는 것을 본 적이 없어. 조만간 철거돼 고철로 팔릴 거라는 이야기도 있어” “여름에는 자전거 타거나 산책 나온 사람들이 제법 있는데 날이 추워지면서 개미 한 마리 없어” 시원스럽게 뚫린 물길을 따라 북서풍이 분다. 잔물결 이는 수면에는 고개를 파묻은 흰죽지들이 물결을 따라 일렁인다. 인적이 끊겨서인지 한때는 줄지어 달렸을 자전거도로 위로 부는 바람이 더욱 매섭다. 매점 문은 꽁꽁 잠겼고 화장실 변기 절반은 사용금지다. 높다란...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해주세요
오늘 인천옹진군 자월면과 덕적면 주민 294명은 박남춘 인천광역시장님께 인천앞바다의 지주(支柱)인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줄 것을 청원합니다. 선갑도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무인도이며 충청남도와 옹진군 덕적면과 자월면 등 덕적군도의 섬들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인천경기만의 중심입니다. 우뚝 솟은 선갑도는 신선의 세계라 하여 선접(仙接)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선단여와 함께 망구할매 전설이 깃든 섬으로 인천경기만의 지주(支柱)이며...
[신청]인천 갯벌 두루미와 만나는 ‘두루미 자연학교’
천연기념물 제202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두루미. 인천의 시조이기도 합니다. 어디서 만날 수 있을까 했더니 이야기듣고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함께 보러가요! 신청하기:...
초록교사 현장심화교육_강씨봉자연휴양림
인천녹색연합에는 어린이숲생태교육인 초록동무, 청소년갯벌생태교육인 게눈, 청소년하천모니터링 활동을 하는 또랑이 있습니다. 초록동무, 게눈, 또랑에서 함께 생태교육을 진행하며 교육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하고 있는 초록교사가 있습니다. 자원활동으로 함께 하고 있는 초록교사의 생태와 자연에 대한 공부를 통해 이해도를 높이고, 생태교육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초록교사 현장심화육을 다녀왔습니다. 12월 7일~8일, 1박 2일동안 강씨봉자연휴양림과 칼봉산자연휴양림에서 겨울나무와 겨울눈을...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기금은 지역정치권의 쌈짓돈이 아닙니다
[성명서] 매립지특별회계기금은 지역정치권의 쌈짓돈이 아닙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현재 인천광역시의회에서 인천광역시 2020년 예산과 관련하여 막바지 계수조정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인천광역시의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기금(이하 매립지특별회계)을 또다시 정치권의 쌈짓돈처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에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매립지특별회계를 정치권의 쌈짓돈처럼 사용하려는 시도를 즉각...
[보도자료]인천녹색연합, 생태환경잡지 발간
인천녹색연합은 지난 12월 3일, 생태환경잡지 <초록세상>을 발간했다. 총 70쪽 분량으로 인천지역 외 다양한 환경현안을 이야기하고 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시선과 일상생활에서의 녹색실천 등을 담고 있다. 인천녹색연합은 2004년부터 매달 인천녹색연합 회원대상으로 녹색활동과 살림살이를 담아 소식지로 전달해왔었다. 보다 많은 이들과 환경문제를 공유하고 이야기 나누고자 9월(창간준비호)부터 계간지 형태로 발간하고 있다. 황복순 편집위원장은 <초록세상>을 통해...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아름다운 지구인의 가게를 소개합니다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아름다운 지구인의 가게를 소개합니다._참좋은 두레생협을 소개합니다. '참 좋은 이야기'. 참좋은두레생협에서 발행하는 계간지 제목이다. 사무국은 계산역에서 걸어서 5분 거리다. 몇 년 전만해도 계양구청 근처에 있었는데 작년에...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바라보다_Green Belt, 이제는 복원과 관리로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바라보다: ○3기 신도시 계획으로 위태로운 계양들_박주희(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부천대장신도시와 부천의 미래_김기현(부천YMCA 사무처장) ○Green Belt, 이제는 복원과 관리로_장정구(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