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사무처일정] 12/01(화) 2015평가회의, 인천공항불소오염기자회견 12/02(수) 2015평가회의, 인천공항불소오염 1인시위 12/03(목) SBS물은생명이다 굴포천현장취재동행, 인천공항불소오염 1인시위 12/04(금) 2015평가회의, 인천공항불소오염 1인시위 12/07(월) 계양산기자회견, 인천공항불소오염 1인시위...
블로그
[11월- 서구 초록동무 활동모습]
11/15(일) 오전 10시 서구초록동무활동 하던날 전 주 비가 와서 한주 미뤄 초록동무 활동을 했습니다. 어린이 2명과 초록동무교사2분 숲해설사2분이 실습으로 참가했습니다. 자연물을 이용한 낙엽으로 자기 이름 쓰기 주변에 있는 낙엽을 주워 자기 이름을 꾸며 보고 있습니다. 들국화 선생님도 이름을 만들어 봅니다. 자연물을 이용한 밥상만들기..누구 밥상일까요? 낙엽으로 가을이 한층 아름답습니다. 잠시 간식먹는 시간.. 봄마중선생님이 생태놀이에 대해 이야기를 해...
[11월- 계양구 초록동무활동모습]
2015-11월 계양구 마지막 초록동무 하는날 11월은 전체 놀이로 마무리를 했습니다. 선생님들이 한 꼭지를 맡아 진행으 전체놀이 시간 산지기님의 몸살림 따라하기 숲대문을 열어라 비옷의 색깔들이 아름답습니다. 이번엔 어떤 놀이를 할까요? 숲대문을 열어라 .꾸불 꾸불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같은 ~~ 나무 잡기.. 청설모 하면 나무를 잡아야 됩니다. 도건이도 ~~ 신나는 줄넘기 시간 .. 병아리샘도 몸이...
2015년 계양산해넘이 함께 해요.
함께해요... 신청하기 https://docs.google.com/forms/d/1n3KGQp6gzMY4Yt5NfhY68z7A90pE-EJU6Z34G589pZo/viewform?usp=send_form
[11월-내고향만들기-홍천 구만리’김장담그기’ 하고 왔어요.]
[내고향만들기- 홍천구만리] 11/13(금) 홍천구만리 김장을 담그러 갔습니다. 모두 12명이 참석을 했습니다. 김장하러 가기전 설악산 케이블반대 농성장 지지방문을 했습니다. 이상권대표님 내외분, 서일석 위원님 내외분, 신입회원방상훈님과 루미,루한이와 활동가들이 함께 했습니다. 구만리에서 생산한 농산물이 재료로 다 만들었습니다. 고추가루, 무우, 갓, 대파, 마늘등등.. 반종표국장님과 사모님께서 미리 재료 준비를 다 해 주셨습니다. 우리가 가서 김장 속 버무리기를...
[12월 회원의날-동지팥죽만들기]
2011년 회원의날- 동지팥죽 끓여먹기 [12월 회원의날- 동지 팥죽 만들기]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극에 도달하고,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태양의 부활을 뜻하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 가는 작은 설의 대접을 받았다고 합니다. 지금도 여전히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화학제품 안 쓰는 생활의 아이디어
얼마 전 방영된 KBS-2TV '인간의 조건'에서 '화학제품 없이 살기'란 미션으로 진행된 방송이 큰 화제를 모았다. 수많은 화학제품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는 우리. 화학제품 없이 할 수 있는 살림 노하우를 공개한다. 1 굵은소금 굵은소금으로는 세탁하기 어려운 카펫 청소가 가능하다. 카펫 위에 굵은소금을 골고루 뿌려준 뒤 장갑을 낀 손이나 부드러운 솔로 카펫 안의 먼지나 이물질이 빠져나오도록 문질러준다. 30분 정도 방치한 뒤 소금을 걷어내는데, 남은 소금은...
[내고향 만들기- 메주만들기] 함께 가요.
고구려는 발효식품이 발달한 나라였다. 또한 콩의 원산지가 우리 나라이다. 이러한 점을 생각하면 매주는 우리 나라에서 오랜 옛날부터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사기≫에 ‘밀장시(蜜醬豉)’라는 말이 있어 통일신라에 이미 간장과 된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원료인 메주도 이와 비슷한 역사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메주 만들기 재래식의 메주제조방법은 콩을 삶아 으깬 것을 덩어리로 만들어...
연수구초록동무 맺음달
올 초록동무는 비 만나는 날이 많았었네요. 맺음달도 비님을 만났답니다. 환상적인 단풍잎이 비를 맞으니 더 선명해져 청량산 숲이 더 아름다워 보였어요. 11월의 쌀쌀함을 뼈다귀 놀이를 하며 몸을 풀었습니다. 선생님 대 친구들... 정말 즐겁고 열심히 하더군요. 이마에 송글송글 땀방울을 매달고 숲에 들었습니다. 곱게 물든 나뭇잎을 모으기도 하고 비를 만나러 나온 민달팽이등 숲 친구들도 만나는 동안 5학년 형님반과 유치부 동생반 친구들은 비가림 대피소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11월 [또랑] 맺음식 후기
봄이 오는 문턱에서 겨울초입까지 한 해 두루두루 만나며 굴포천을 품었던 우리 11월 승기사업소에서 맺음식을 가졌습니다. 샛별, 토끼풀, 참나무, 산목련, 자운영 모둠 모두 한 자리에 모여 한 해 모니터링하였던 굴포천의 생태(식생, 수질 조사)를 쭉 펼처 놓고 달에 따른 변화 추이를 표로도 만들어 보며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었습니다. 마이크를 오며가며 발표하기 쑥스러워 하던 모둠도 다음 해에 참여하지 못하여 아쉬움을 내뱉은 친구도 딸꾹질에 숨을...
2015년 하반기 11월(마지막) 활동 안내
▲ 지난 10월 계양산자연학교 모습 어느새 하반기의 마지막 수업이 다가왔습니다. 계양산 반딧불이와의 만남을 시작으로 마주한 계양산 숲의 생명들은 달마다 새로웠고 그동안 무심했던 자연의 경이로움을 일깨워주었습니다. 사람들도 따뜻한 옷을 꺼내고, 난방용품을 정비하며 겨울을 준비하듯, 이제 자연도 겨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전략과 방법으로 겨울을 계획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 일정 : 11월...
올해 첫 캠페인. ‘알락꼬리마도요를 지켜주세요’
11월 21일(토) 운서역 인근에서 올해 멸종위기지킴이단 마지막 활동이자 첫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영종도갯벌로 알락꼬리마도요를 보러 가기도 했고요, 캠페인을 하기 위한 피켓, 인형탈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만든 피켓, 인형탈을 가지고 영종도에 위치한 운서역에서 간단한 유인물도 나누어주며, 즉석에서 만든 노래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캠페인이 끝나고 올해 활동소감과 내년 캠페인 관련 의견들이 오고 갔습니다. 내년에는 본격적인 캠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