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국내 최대 규모 서식지인 백령도에서는 하늬바다 앞 물범바위(최근에는 하늬바다 앞 인공쉼터 포함), 연봉 물범바위, 두무진 앞 물범바위 세 곳을 주 서식지로...
야생동식물
[공지]양서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워크샵(2019.11.22_광주)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⓶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 물범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수많은 동물 분류군 중의 하나인 해양포유류라는 명칭이 익숙하지 않을 수는 있겠다. 그러나 명칭을 그대로 풀이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포유류 중 바다에서 사는 무리가 바로 해양포유류이다....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⓵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
월마다 발행된 [초록세상]이 생태환경전문잡지로 거듭납니다. 9월호는 창간준비호 (232호)로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백령도 주민, 고래박사님 등 다양한 분의 글을 실었습니다. 오늘부터 차례로 창간준비호(232호)에 게시된 글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국내 희귀종 검은어깨매. 백령도에서 첫 확인
[보도자료] 국내 희귀종 검은어깨매. 백령도에서 첫 확인 인천녹색연합(황해물범시민사업단)은 나일 무어스 박사(Nial Moores PhD, 새와 생명의 터)와 백령도 겨울철새 조사 중 ‘검은어깨매’ 2개체를 확인하였다. 검은어깨매는 백령도에서는 처음 발견된 종으로 11월 1일 1개체(유조)와 11월 8일 2개체(유조1,성조1)를 발견하였으며, 11월 12일 현재까지 백령도에서 머물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검은어깨매(Elanus caeruleus)’는...
인천시 윤동구 자연환경팀장과 백령도 점박이물범 동아리. 2019년 초록인상 수상
인천시 윤동구 자연환경팀장과 백령도 점박이물범 동아리. 2019년 초록인상 수상 - 11/12(화) 인천녹색연합 26주년 기념 후원행사 ‘당신은 우리의 자랑입니다’ 개최 - 인천녹색연합, 매년 인천지역 자연환경보전활동에 기여한 사람(단체)에게 초록인상 수여 인천녹색연합은 오늘(11월 12일) 저녁6시,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한 카리스호텔 3층 수아비스홀에서 26주년 기념 후원행사를 개최한다. ‘당신은 우리의 자랑입니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서 인천광역시청 윤동구...
[보도자료]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계양들녘, 이곳만은 꼭 지키자 수상, 생태적 가치 입증 -제17회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에 계양들녘(3기 신도시 계획지) 수상작으로 선정 -논습지의 중요성을 입증, 계양들녘 논습지 보전방안 필요 -대장들녘과 더불어 3기 신도시 계획지의 생태적 가치 되짚어 봐야 인천녹색연합은 한국환경기자클럽, 한국내셔널트러스트, 한국환경회의가 주최하고 환경부, 문화재청, 산림청이 후원하는 ‘제17회 이곳만은 꼭 지키자’ 시민공모전에 계양들녘으로 공모하였고, 최종 선정되었다....
쓰러진 백령도 철조망, ‘지뢰’ 경고무색! 해안의 환경정비 시급하다.
<보도자료> ‘지뢰’경고 무색, 쓰러진 백령도 철조망. 해안의 환경정비 시급하다. 최근 인천녹색연합이 백령도의 해안지역을 답사한 결과 해안지역의 환경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천녹색연합은 지난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백령도의 북동쪽 해안지역의 환경관리실태를 확인했다. 서해5도 중 최북단인 백령도는 수년 전 서북도서요새화사업으로 도서경관이 크게 훼손된 데 이어 해안지역의 군 관련된 시설들이 관리되지 않고 있다. 흉물스럽게 방치되고 있어 환경훼손유발은...
(마감) [10/10(목)~10/12(토)] 백령도 해양쓰레기수거활동 및 생태탐방 프로그램
백령도에서 총 3일간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선택1부터 선택3까지 선택하셔서 참여하시면 됩니다:) *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에서 주관하는 해양쓰레기 활동은 정기적으로 민, 관, 기업이 함께 하는 행사입니다. 섬으로 밀려들어오는 해양쓰레기 역시 골칫거리이자 우리가 함께 고민하고 실천해야하는 문제입니다. * 둘째날 오후부터 다음날까지 백령도의 아름다운 절경을 둘러보고 점박이물범에 대해 이야기나누고 관찰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번 시간을 통해 백령도의 위엄과 아름다움에 빠져보시길...
태풍 링링, 보호수들 뿌리 뽑고 가지 부러뜨려
[보도자료] 태풍 링링, 보호수들 뿌리 뽑고 가지 부러뜨려, - 강화 연미정 느티나무, 교동 고구리 물푸레나무 등 보호수 피해 심각 - 천연기념물, 시기념물, 보호수 등 전수조사 후 보호조치 강구해야 인명피해와 함께 심각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힌 제13호 태풍 ‘링링’이 보호수들마저 심각한 피해를 입힌 것을 확인되고 있다. 인천녹색연합이 회원들로부터 제보를 받고 확인한 바에 의하면 인천시 지정 보호수 중 강화 연미정 느티나무, 교동도 고구리 물푸레나무와 인사리 은행나무, 옹진군...
인천대공원에서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쌍꼬리부전나비 확인!
[보도자료] 인천대공원에서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쌍꼬리부전나비 확인! - 인천대공원을 비롯한 주요 공원의 생물서식현황 모니터링과 보호방안 마련 필요 인천녹색연합과 생태교육센터 이랑은 인천대공원에서 멸종위기종인 대모잠자리와 쌍꼬리부전나비를 확인했다. 급격한 기후변화와 악화되어 가고 있는 도심생태환경 속에 멸종위기종의 서식이 확인된 것은 습지 등 서식지가 잘 유지, 관리 되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천대공원을 비롯한 인천 주요 공원에서 멸종위기야생동물 서식이 확인되는 만큼...
인천녹색연합-선인고등학교, ‘갯벌탐사’ 8월 활동
7월 여름 방학을 마치고 8월 선인고 S-BIO(환경생태교육봉사동아리) 친구들과 다시 모였습니다. 8월 7일(수)에는 영종도 서측에 위치한 덕교리갯벌에서 해양쓰레기 수거활동을 하였습니다. 세 모둠을 나누어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한 보따리 씩 풀어서 어떤 품목에서 쓰레기가 많이 나왔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중국산 페트병부터 어선 작업복까지 각양각색 쓰레기들을 마주하였는데요. 그 양이 어마어마했습니다. 쓰레기의 품목을 나누어 개수도 세어보고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해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