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11월 플로깅크루 후기

11월 플로깅크루 후기

지난 11월 19일(토) 영종도 씨사이드파크 남측 제방에서 올해 마지막 플로깅크루를 진행했습니다^^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변가를 중심으로 수거활동을 펼치는 단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접근성이 좋은 해변가는 그만큼 더 자주 정화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방은 해양쓰레기 관리가 취약한 공간입니다. 일반 시민의...

‘국제연안정화의날’이기도 했던 9월 17일(토), 녹색연합·인천녹색연합은 용유도 남측방조제에서 해양쓰레기 수거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활동에는 약 45명의 시민분들께서 참여해주셨습니다^^ 다같이 모여 만남인사와 인천의 갯벌 이야기를 나누고 본격적으로 활동을 진행했는데요! 가을이 맞나 싶을 정도로 몹시 더운 날씨였지만 열심히...

[보도자료] “인천시,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보도자료] “인천시,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해양쓰레기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시민모임, 26일 인천시청 앞 기자회견 진행 -인천시 2022년 1월 해양환경과 신설, 역할과 책임 강화해야 -시민들 직접 수거한 해양쓰레기 시청 앞 전달, 민관협력 추진 요구 ‘해양쓰레기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이 7월 26일(화)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양쓰레기...

[바다의날 논평] 민선8기 인천광역시장, 해양쓰레기 해결정책 적극 추진해야

[바다의날 논평] 민선8기 인천광역시장, 해양쓰레기 해결정책 적극 추진해야

내일(5월 31일)은 바다의날이다. 1996년 해양수산부는 바다 관련 산업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국민의 해양사상을 고취하기 위해 법정기념일로 지정했다. 해양쓰레기 문제의 시급성은 국제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2015년 제70차 UN총회에서는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하나로 해양생태계 보호를 선정했고, 2025년까지 해양쓰레기를 대량 감축한다는 목표를 마련했다. 2017년 7월 G20 국가들은 ‘G20 해양쓰레기 실행계획’을 채택한 바 있으며,...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오는 금요일(5/27) 상반기 마지막 강좌가 진행됩니다. 마지막 강좌 신청도 가능하니 <시민이 도시를 바꾸거나 지켜낸 사례> 강좌에...

해양쓰레기 이야기 나눔 with 인천영종고

해양쓰레기 이야기 나눔 with 인천영종고

어제 인천녹색연합은 인천영종고등학교 학생들과 해양쓰레기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약 50분 동안 영종도 갯벌이야기와 해양쓰레기 문제의 현황을 살펴보았는데요! 영종고 학생들은 앞으로 영종도의 해안가를 방문해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활동을 이어간다고 하네요^^ 직접 얼굴을 마주하고 이야기 나누지 못한 것이 아쉬웠지만 뜻깊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영종고 학생들이 올 한 해 활동을 잘 마무리 할 수 있기를...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강의가 오는 금요일(5/20)에도 진행됩니다. 이번 강의는 현장강의와 ZOOM강의가 모두 있습니다. 오후 2시에 '환경기초시설이해와...

5월 플로깅크루 후기

5월 플로깅크루 후기

인천녹색연합과 크루분들은 지난 5월 7일(토) 마시안해변에서 해양쓰레기 수거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활동에는 18명의 크루분들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활동 전 영종도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곳곳에 버려진 쓰레기들을 주웠습니다. 해변을 살피면 스티로폼 부표가 분해된 모습을 많이 살펴볼 수 있습니다....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강의가 오는 금요일(5/13) 오후 7시 30분에 진행됩니다. 이번 강의는 다시 ZOOM강의로 진행되오니 일정 확인 바랍니다. 개별...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네 번째 강의가 오는 금요일(5/6) 오후 2시에 진행됩니다. 이번 강의는 현장에서 진행되오니 일정 확인 바랍니다. 신청자들에 한해서...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녹록의 세 번째 강의가 오는 금요일(4/29)에 진행됩니다. 개별 강좌 신청도 가능하니 <인천도시바람길숲의 기능과 방향> 강좌에...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2022 녹색기획강좌 _ 녹록

<< 녹록綠熝 _ 초록을 단련한다- >> 녹록하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다양한 강좌를 통해 생태적 환경을 이해하며 초록을 단련해봅니다. 전문가들의 강좌를 통해 시민들과 도시 인천의 공간 변화와 생태적 환경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후위기 시대 삶의 전환을 모색하는 시간입니다. 오는 금요일(4/22) 두 번째 강좌가 진행됩니다. 개별 강좌 신청도 가능하니 <육감으로 만나는 자연생명> 강좌에 관심있는 분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