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세상』2020년 여름호는 인천의 해안선을 기획특집으로 담았습니다.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경계인 해안선은 치열한 삶의 터전이며, 무수한 생명의 공간입니다. 물론 바닷가의 낭만과 추억 한 자락이 딸려 오곤 합니다. 하지만 이제 섬으로 가지 않고는 인천의 해안선을 만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인간의 손에 훼손된 바다, 철망 너머로 바라보아야 하는 인천 해안선의 현황과 환경 문제를 돌아보며 본래의 모습을 잃은 해안선에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그 이유를 찾아갑니다....
블로그
[모집] 6월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
인천 멸종위기야생동물의 안부를 묻고 보호활동을 하는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 12기, 6월의 멸종위기야생동물은 금개구리입니다. 등에 멋진 금색 띠를 가지고 있는 금개구리는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Red LIst 취약(VU)등급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현재 금개구리가 살고 있는 계양들녘에는 계양3기 신도시 개발이 예정되어 있어 금개구리의 서식지가 위태롭습니다. 금개구리와 금개구리의 서식지를 지키기 위해...
[보도자료] 인천녹색연합, 6월의 멸종위기야생생물 ‘금개구리’선정
[보도자료] 인천녹색연합, 6월의 멸종위기야생생물 ‘금개구리’선정 인천 양서류서식지 보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6월 23일 개최 제12기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 6월 27일 금개구리 보호캠페인 진행 예정 인천녹색연합은 6월의 멸종위기야생생물로 금개구리(Pelophylax chosenicus)를 선정했다. 무미목 개구리과 연못개구리속인 금개구리는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Red LIst 취약(VU)등급,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금개구리는 등...
[후기] 생명의 땅, 갯벌을 꿈꾸며 -5월 30일 불법 칠게잡이 어구 3차 수거-
인천녹색연합이 2013년부터 꾸준히 제기한 영종도갯벌 불법 칠게잡이 어구 문제. 두 차례에 걸친 불법 칠게잡이 어구 수거 작업을 세번째로 진행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영종도 동쪽 갯벌에서 했으며, 여전히 많은 양의 불법 어구가 남아있었습니다. 이번 수거 활동은 토요일 오후 에 진행되었으며, 생활방역지침을 이행했습니다. 총 14명(활동가, 초록교사 선생님, 게눈하는 친구들) 이 함께 했습니다. 이번 수거 작업은 갯벌 안 쪽으로 조금 더 들어가서 진행되었습니다. 2시간 동안...
습지보호지역 훼손하는 ‘수도권 제2순환선 안산~인천’ 노선으로 국제 망신, 정책불신 자초 말라!
[성명서] 습지보호지역 훼손하는 ‘수도권 제2순환선 안산~인천’ 노선으로 국제 망신, 정책불신 자초 말라! -국토부 노선안 전면 재검토는 물론 습지·철새 보호 위한 중앙·지방정부 정책을 명확히 천명하라. -관계당국은 국제사회 연대와 공조, 시민사회단체 조직적 대응 불러올 사안의 심각성 바로 알아야 람사르협약을 통해 국제적으로 지키겠다고 약속한 갯벌, 개발 일변도였던 인천시가 그나마 남겨놓고 지정했던 습지보호구역, 그리고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사무국(EAAFP)...
[5월 게눈 활동 후기] 우리의 갯벌은 우리가 지킵니다!
5월 게눈 활동은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영상과 개별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인천의 갯벌이 파괴될 위험해 처해 있는 곳을 함께 나누고, 온라인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온라인 캠페인으로, 학생들의 마음이 담긴 편지를...
[후기] 5월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
2020년 5월 23일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은 5월의 멸종위기야생생물인 흰발농게의 서식지인 영종갯벌을 다녀왔습니다. 흰발농게를 만나러 가기 전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은 흰발농게는 어떤 동물이며 흰발농게가 살고있는 영종 갯벌의 소중함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흰발농게는 멸종위기야생생물2급이자 해양보호생물로 현재 매립 위기에 놓여있는 영종 갯벌에서 살고있습니다. 영종 갯벌에 들어가서는 먼저 눈을 감고 갯벌의 소리를 들어보았습니다. 바람의 소리, 새의 소리,...
영종2지구 갯벌매립사업, 환경부도 이미 2년 전 반대 입장 표명!
[성명서] 영종2지구 갯벌매립사업, 환경부도 이미 2년 전 반대 입장 표명! - 환경부, 2018년 5월 영종2지구갯벌매립 ‘전면재검토’로 의견 - 인천시는 영종도갯벌 매립계획 철회하고, 경제자유구역 해제 절차 추진해야 인천광역시(인천경제자유구역청)가 제출한 ‘영종2지구(중산지구) 개발계획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해 환경부는 2년 전인 2018년 5월 전면재검토 의견을 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획의 필요성이 미비하고 생물다양성․서식지 보전, 해양환경측면에서 보전가치가...
수산자원위협! 해양생태계파괴! 바다모래채취 기간연장 시도는 즉각 중단해야 한다.
수산자원위협! 해양생태계파괴! 바다모래채취 기간연장 시도는 즉각 중단해야 한다. - 전문가와 환경단체가 참여하는 민관협의체 다시 구성해야 - 해수청과 옹진군, 바다모래채취기간 연장이 아닌 협의조건 이행 점검해야 현재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가 어민과 지역 주민들이 참여한 ‘민관협의체’와 바다모래채취기간연장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고기 산란시기인 금어기(禁漁期) 전후의 바다모래채취는 안될 일이다. 수산자원을 훼손하고 바다생태계를 파괴하려는 시도는 즉각...
[칼럼] 인천의 가장 큰 하천, 굴포천 – 10개의 하천을 품다
[장정구의 인천 하천이야기] (30) 굴포천 ① - 갈길 먼 수질관리 “어제는 월척 잉어를 낚았어요. 손맛 보러 가끔 나와요” “여기서 잡은 물고기는 먹을 수는 없어요. 이거 보세요. 잡힌 붕어가 정상이 아니에요” 2020년 4월29일(수) 부평 삼산4지구부터 계양 귤현보까지 굴포천 구간에서 낚시대를 드리우고 있는 사람은 총86명이었다. 삼산4지구 옆 다리 주변으로 17명, 계산천 합류지점에 34명, 굴포하수종말처리장 방류구에서 귤현보까지 35명!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모집] 자원순환리더 양성교육
생태교육센터 이랑, 계양도서관과 함께 <자연순환리더 양성교육> 을 진행합니다. 자원순환과 관련하여 이론수업과 현장 탐방, 친환경 제품 만들기 실습 등으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8회 이상 참여 시 수료가 가능하며, 수료하신 선생님들 중 신청자를 대상으로 5회의 후속모임 진행 후 학교 및 마을 자원순환 자원 교사 활동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참가신청은 5월 25~27일 계양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합니다. * 모든 활동은 생활방역지침을 철저히 지켜 진행합니다....
습지보호지역 훼손하는 수도권 제2고속도로계획, 전면 재검토 해야
[성명서] 습지보호지역 훼손하는 수도권 제2고속도로계획, 전면 재검토 해야 . . 국토교통부는 어제(5월19일) ‘수도권 제2순환선 안산~인천 구간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공람 공고를 내고 다음 달부터 주민설명회를 한다고 밝혔다. 이 도로계획은 습지보호지역과 람사르습지로 등록된 송도갯벌습지보호지역을 관통하고 있다. 갯벌을 훼손하지 않는 노선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토교통부는 가장 넓은 면적의 갯벌을 훼손하는 노선안을 선정했다. 이는 국내법인 습지보전법과 국제적 약속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