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계양산반딧불이축제, 계양역 광장에서 개막식 진행. - 2017축제조직위원회에 30개 단체 및 개인 참여, 10개 단체 시민참여형 부스행사. - “피어라~! 계양산아~!” 계양산생명불어넣기 퍼포먼스. - 9월1일(금)시작되어 9월5일(화)까지 5일간 탐사 지속. 9월2일(토), 계양역광장에서 2017계양산반딧불이축제 개막식이 진행되었다. 본 개막식은 2017계양산반딧불이축제조직위원회(이하 축제조직위)에서 주최한 것으로 올해는 30개 단체 및 개인이 축제조직위에...
활동
[또랑] 9월 여섯번째 모임 신청하기
2017년 또랑 여섯 번째 공지입니다. 또랑은 인천녹색연합의 15~19세 회원과 함께 매달 셋째 주 일요일, 인천의 물줄기를 확인하고 수질 모니터링과 수서생태계를 관찰·기록하는 활동입니다. ● 일시: 9월 17일(일) 오전 9시 30분~ 오후 12시 30분 ● 대상: 인천녹색연합 회원 15~19세 ● 모이는 장소: 대월놀이공원 입구 정자(부평구청역3번 출구방향) *위치확인: 대월놀이공원 찾아오는 길 클릭 ! ● 내용: 굴포천 중류 수질 모니터링 및 동수서식물 조사/기록 ●...
신고리5,6호기 백지화 울산집중행동, 인천에서도 다녀왔습니다.
신고리5,6호기 공사진행, 중단 여부를 묻는 시민설문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만명 대상으로 한 시민설문조사 후 500명의 시민참여단을 구성해 온오프라인 공부, 모임, 2박3일 워크샵을 통해 '최종권고안'이 나오게 됩니다. 이에 신고리5,6호기 백지화에 힘을 모으기 위해 9월9일(토) 신고리5,6호기 계획지와 인접한 울산에서 퍼레이드 행진, 콘서트가 열렸는데요, 인천행동에서도 버스를 대절해 다녀왔습니다. 하루만에 울산을 다녀오는 것이 여간 쉬운 일은 아닌데, 마음 내어서...
[초록동무_남동구] 9월활동 사진풍경
9월 5학년 초록동무 열매야! 열매야? 글.사진 / 해당화
매주 수요일마다 진행되는 인천공원지키기 캠페인 사진과 응원의 메시지
인천공원지키기 시민캠페인이 8월23일부터 매주 수요일(오후5시~7시)마다 진행되고 있습니다. 계산역, 주안역, 구월동 로데오거리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됩니다. 가뜩이나 미세먼지와 기후변화로 환경이 열악해지는 요즘, 공원, 녹지 한뼘이 얼마나 소중한지 모릅니다. 시민들도 고개를 끄덕이며 기꺼이 서명해 주십니다. 인천시 1년 예산의 1% 정도면 계획된 공원, 조성할 수 있습니다. 공원을 지키기 위한 인천시민의 뜻을 인천시에 전달하기 위해 <3만 시민청원운동>을 진행중에...
2017년 9월 열매달 초록동무 활동안내
초록동무는 자신을 사는 지역에서 수업을 진행합니다. 계양구/부평구/연수구/서구/ 남동구로 나누어 교육을 하며 올해 활동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역별로 신청자 명단 및 활동 장소 등을 확인해주세요. 초록동무 활동은 매달 두번째 일요일(9/10, 10/15, 11/12 (10월만 세번째일요일, 8월과 12월은 계절학교로 대체))에 지역별로 진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날짜 : 2017년 9월 10일, 일요일 * 시간 : 9시50분~12시30분(10시...
[공지]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_다섯 번째 모임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 다섯 번째 모임 공지입니다. 9월의 주제는 반딧불이와 마무리 모임입니다. 올해 일정을 함께 정리하고 반딧불이를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모임장소는 추후 공지하겠습니다. 마무리 모임까지 꼭 함께 해 주세요 계양산에는 반딧불이가 살고 있습니다. 또한 계양산에서는 2008년부터 지금까지 10년동안 반딧불이 축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계양산 반딧불이 축제는 인천에서 가장 풍요로운 숲인 계양산을 롯데의 골프장 개발계획으로부터 지켜내기 위한 시민들의...
[9/10] 열매달 게눈★모이자 =’ㅁ’=
[0910] 9월 열매달, 게눈 모이자★ 9월, 게눈 공지합니다. 이번 달에는 어떤 생물들을 만날 수 있을까요? 영종도 덕교리 갯벌에 사는 친구들은 누가 누가 있을까요? 올해 주제는 ‘갯벌생물의 다양한 삶 들여다보기’입니다. 9월달에는 어떤 생물들을 볼 수 있을까요?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 때: 9월 10일 9시 50분까지, 10시 출발 (추후 활동날짜- 10/15, 11/12_매 월 두 번째 일요일) ♣ 출발: 인천녹색연합 사무실 앞...
[보도] 파랑★7월 장봉도 취재기사
// // <!-- --><!--인천일보// // 0?HOST:M_DOMAIN.replace("http://",""))); /* dable - e */ // case 1) 기사 상세 페이지에서 로그 남기기 var view_item = { id: '776887' // 기사 ID ,c1: '' // 카테고리1 (생략 가능) ,c2: '' // 카테고리2 (생략 가능) ,c3: '' // 카테고리3 (생략 가능) }; dable('sendLog', 'view',...
[기고] 영종도 불법어구와 해안쓰레기 문제의 해법
인천에서 배를 타지 않고도 갯벌과 바다를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곳이 영종도이다.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을 방문할 때 첫 발을 내딛는 지역이기도 하다. 저어새 등 국제적인 멸종위기조류가 번식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인천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영종도가 토양오염, 갯벌매립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갯벌에 박혀있는 불법칠게잡이어구와 해안가에 널브러져 있는 해안쓰레기는 고질적인 문제이다. 2014년, 영종도남단갯벌에 수킬로미터에 걸쳐 촘촘히 박혀있는...
[기자회견] 영종도 갯벌(용유해변) 불법칠게잡이어구 방치실태고발 기자회견과 퍼포먼스
영종도 갯벌(용유해변) 불법칠게잡이어구 방치실태고발 기자회견과 퍼포먼스 2017년 8월 28일(월) 10:30 인천중구청 앞 <순서> - 경과보고 - 기자회견문낭독 - 고발 퍼포먼스 - 경과 . 2013.06.26, KBS, 영종도 불법칠게잡이 실태보도 . 2014.09월~11월, 인천녹색연합, 인천대교 인근 지역 불법칠게잡이어구실태조사 . 2014.12.01, KBS 등 언론, 불법 칠게잡이 서해안갯벌생태계위협 일제보도 . 2015.02.10,...
매립쓰레기와 인천의 미래
‘재활용폐기물이 오염되었지만 지목(地目)이 없기 때문에 행정처분할 수 없다’ 영종도 준설토투기장 배면토사(背面土沙)로 사용된 재활용폐기물에 대해 환경부가 내린 결론이다. 준설토투기장 공사현장이 지목이 없는 갯벌이기 때문에 법에 따라 오염정화 등의 행정명령을 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지목(地目)은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구분하여 지적공부(地籍公簿)에 등록한 것을 의미한다. ‘다만, 향후 사업완료 후 지목이 등록되면 오염토양정화 등이 필연적이므로 등록 예정지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