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자연학교는 참가자 미달로 취소되었습니다. 관심가져주신 분들께 죄송한 말씀 전해드립니다. 겨울자연학교를 신청했던 참가자 중 일부와 인솔교사는 22일(금) 인천에서 출발하는 설악산 천인행동에 함께 참가하기로 했습니다. 2016 겨울자연학교 참여신청(클릭) 문의: 시민참여국...
블로그
2015년 11월 16일~12월 15일 아름다운 지구인이 되신 회원님.
반갑습니다 아름다운 지구인이 되신 회원님 (2015년 11월 16일 ~ 2015년 12월 15일) ■ 일반회원 서구 김희영 부평구 이선아 ■ 가족회원 경기도 안양시 박경수, 박상연, 박주연 부평구 박상연, 박성욱, 박재상, 박정욱, 박지연 전체 10명이 아름다운 지구인이 되셨습니다....
전시회 ‘선물’ ★알락꼬리마도요 외
올해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은 '약손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활동했습니다. 알락꼬리마도요를 그려보고, 캠페인 피켓, 현수막, 인형을 만들었던 그 물품들을 전시합니다. 올해 알락꼬리마도요에 관심을 갖고 활동했던 이들의 애정이 묻어나는 물품입니다. 이 외에 인천환경운동연합, 환경과생명을생각하는인천교사모임 등에서 활동했던 저어새 관련 물품들도 전시됩니다. - 일시 : 2015년 12월 18일(금) ~ 12월 23일(수) - 장소 : 인천예술회관 미추홀실...
국제 멸종위기종 알락꼬리마도요, 영종도갯벌에서 이렇게 사라질 순 없다!
걷잡을 수 없이 빠른 경제성장으로 지난 50년동안 한국의 서식지들은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주로 먹고 살기 바쁘다는 이유로 우리 사회 속의 약자까지 돌볼 겨를이 없었나 봅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빈곤계층 및 야생동물 등 약자들은 늘고 있으며 멸종위기종들도 이중에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인천은 광대한 갯벌부터 크고 작은 산까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곳입니다. 저어새, 큰뒷부리도요, 검은머리갈매기 등 국제적으로 중요한 철새도래지로 잘 알려져 왔습니다. 하지만 서식지...
회원인터뷰- 11월 박상미( 고라니)님을 만나다.
아름다운 지구인 | 12월 회원만남 박상미(고라니)님을 찾아서 <!-- 요즘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 싸이월드 미투데이 -->나무꾼처럼 활동가가 될 거에요....
계양구청은 건축허가조건을 위반한 계양산송신탑을 허가취소해야 한다
계양구청은 건축허가조건을 위반한 계양산송신탑을 허가취소해야 한다. 민간업자 돈벌이로 전락한 계양산 정상 송신탑이 계양구청의 건축허가조건을 위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양구청은 관련법에 따라 계양산 송신탑에 대해 즉각 허가취소하고 국방부는 철거해야 한다. 2000년 6월 19일, 계양구청은 계양산 정상에 통신중계소용도로 군사시설물(이하 송신탑)의 건축을 허가하였다. 건축허가 당시 계양구청은...
지속가능한섬 기획칼럼 3탄 _ 완성해야 할 섬의 연대기
인천섬연구모임과 인천일보 공동기획 지속가능한 섬이야기 3탄 12월 14일(월)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679810&sc_code=1398672415&page=2&total=27385 완성해야 할 섬의 연대기 ▲ 김현석 시민과대안연구소 연구위원 걸어서 갈 수 있다면 섬이 아니다. 뒷산 호젓한 오솔길을 소요하듯이, 싸리나무 울타리 너머 옆집 사랑에 마실가듯이,...
11/27(금) 태바도인★대중강연 잘 마쳤습니다~
11/27(금) 인천YWCA에서 <인천시민이 알아야 할 에너지 정책>에 대한 강연이 있었습니다. 강연은 에너지정의행동 이헌석 대표님께서 해주셨습니다. 에너지정의행동 이헌석대표는 핵발전소의 전성 판단을 전적으로 전문가에게만 맡겨서는 안 됩니다. 시민과 지역주민 등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해 원전 폐쇄 여부를 결정해야합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중심의 안전성 심사를 더욱 강화하고, 이 과정에서 충분히 정보를 공개해 투명성을 높여야 합니다. 이를 근거로 시민들이 검토, 결정할...
11/27 저어새포럼 & 11/28 저어새 환송잔치, 청소년동아리 발표회 잘 마쳤습니다~
11/27(금) 인천광역시 교육청에서 저어새 포럼이 있었습니다. 1부로 저어새 모니터링 발표가 있었습니다. 2015년 남동유수지 저어새 모니터링 결과와 저어새 번식 결과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이었습니다. 2009년 남동유수지에서 저어새가 번식을 시작한 이후 도래한 개체수와 둥지수는 증가했으며, 2012년 이후로 이소한 새끼 수는 약 120여 마리로 정체, 번식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습니다. 2부 순서로 <남동유수지 보전에 대한 청소년제안>,...
회원인터뷰- 10월 박은주님을 만나다.
아름다운 지구인 | 10월 회원만남 박은주님을 찾아서 글쓴이: 바오밥 후원의 날 행사 7년째 개근했네요 “일 때문에 다른 건 못 도와줘서 후원행사 때마다 가네요. 처음부터 좋아서 계속 갔어요. 만약에 처음 갔는데 별로 좋지 않았다면 안 갔을 거예요. 가면 편안하고 행사일 도와주고 나면 뿌듯하고 그래요. 또 드는 생각이 이런 분들이 고생해주니까 저는 또 감사한 마음이 들기도 하더라고요.” 해마다 10월이면...
지속가능한섬 기획칼럼 2탄 _ 인천팔경과 섬
인천섬연구모임과 인천일보 공동기획으로 지속가능한 섬이야기를 12회 기획칼럼으로 연재합니다.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677990&sc_code=1398672476&page=&total= 2015년 12월 7일...
지속가능한섬 기획칼럼 1탄 _ 20주년 맞은 굴업도 핵폐기장반대운동
인천섬연구모임과 인천일보 공동기획으로 지속가능한 섬이야기를 12회 기획칼럼으로 연재합니다.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675970&sc_code=1398672476&page=&total= 2015년 11월 30일 20주년을 맞는 굴업도...
![[모집] 2016 겨울자연학교에서 만나자 “설악 어머니 품에 들다”](https://greenincheon.org/wp-content/uploads/sites/10/2015/12/09044304/100_6753-400x2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