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인천섬연구모임, 섬연구총서1_교동도 발간

인천섬연구모임, 섬연구총서1_교동도 발간

인천섬연구모임, 섬연구총서1_교동도 발간 인천섬연구모임(공동대표 김원, 최중기, 최원식)에서 인천섬연구총서 첫 번째로 기획한 섬연구 총서 “교동도”를 발간했다. 이 책은 연륙교가 만들어지면서 변화될 교동도를 집중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섬의 보존과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를 만들고 있어 주목된다. 인천섬연구모임은 2011년 인천 연안 섬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보존과 발전을 위해 결성된 연구모임으로 그 동안 인천 섬들에 대한 꾸준한 답사와 답사보고회를...

작은주홍부전나비

작은주홍부전나비

부전나비 중 알록달록한 녀석을 보니 기분이 좋았습니다. 이녀석은 대체 무엇인지 궁금하면서 촬영을 하는데 나하고 친해졌는지 도망가지 않고 제법 모델 역활을 해줍니다. 고맙게도... 나비도 없고 집에 오려는데 바로 앞의 솜방망이 꽃에서 흡밀하고 있네요... 가까이 접근하여 요리조리 즐기면서 촬영했습니다. 2015.4.26...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6기) 모집

멸종위기야생동물지킴이단(6기) 모집 - 알락꼬리마도요를 중심으로 한 멸종위기조류모니터링 & 캠페인 -    바다를 건너, 수백에서 수천km에 이르는 장거리 여행을 하고, 서해안 갯벌에서 쉬었다 가는, 멸종위기야생동물2급, 알락꼬리마도요.   드넓게 펼쳐진 갯벌에서 길게 휘어진 부리로 게를 쏙!   서해안갯벌에서 잘 쉬어가야 하지만, 많은 갯벌이 매립되고 훼손되면서 알락꼬리마도요의 생존도 위협받고 있어요.   어떤 곳에서...

[또랑]4월 이야기_ 비오는 날의 굴포천~!

[또랑]4월 이야기_ 비오는 날의 굴포천~!

청소년 친구들과 하천 모니터링을 하는 ‘또랑’ 두 번째 모임이 지난 4월 19일 일요일에 있었습니다.  중학교 2학년(샛별, 토끼풀 모둠)과 고등학생(자운영 모둠) 친구들은 부평구청역 대월공원에서 만났고,  중학교 3학년(참나무, 산목련 모둠) 친구들은 지난달에 갔던 가족공원 입구에서 만났습니다.          굴포천에서 활동하는 사진입니다. 모둠별로 구간을 정해서...

4월 봄을 만끽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나뭇잎 사이로 비춰지는 햇살에서 봄에서 여름으로 빠르게 지나가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요즘입니다. 곡우를 지나며 봄의 기운이 물이올랐는데요... 4월 계양산 자연학교에서는 "물오름"이라는 주제로 계절의 변화를 느껴보았습니다.   행사가 많은 시기라 그런지 참가자들이 다른 일정으로 못 오신 분들이 많았습니다. 이번에는 가족반 중 도현이, 금빛이, 현아네, 루한이네까지 모두 4가족이 함께 했습니다.   분홍빛, 다홍빛, 철쭉과 연산홍들이 봄의 전령사가 되어 맘껏...

산푸른부전나비(암컷)

산푸른부전나비(암컷)

초원성으로 민가, 전답, 산지 주변의 초지에 서식하며, 평지에서 산 정상까지 광범위하게 활동한다. 수컷은 습기 있는 땅바닥에 무리지어 앉아 물을 빨아먹는다. 제비꽃, 토끼풀, 싸리 등의 꽃에서 흡밀하며, 암컷은 식초의 꽃봉오리에 한 개씩 산란한다. 부화하여 나온 애벌레는 식수의 꽃봉오리를 먹으며 성장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2015.4.24....

[후기] 2015년 하천탐사단_ ③동수천

[후기] 2015년 하천탐사단_ ③동수천

2015년 하천탐사단_3_동수천편   가톨릭환경연대, 굴포천살리기시민모임, 인천녹색연합, 시사인천, 인천in이 함께 하는 ‘2015년 하천탐사단’은 올해 굴포천을 중심으로 본류와 지류를 10차례 다녀본다. 열린구간과 닫힌구간을 직접 걸으며, 하천과 함께 했던 주민들의 삶 이야기도 듣고, 하천복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세번째 탐사가 4월 7일(화) 에 동수천편으로 진행되었다....

애기세줄나비

애기세줄나비

네발나비과 애기세줄나비 도로 옆엣 차를 세우고 산에 접어들자 마자 마주 한 녀석입니다. 너무 흥분하여 서두르는 바람에 사진을 제대로 찍지 못하고 멀리 날려 버렸습니다. 얼마나 아쉽고 안타까웠는지... 다음에 시간을 내어 다시 한 번 가볼까 합니다. 2015.4.22...

시민 참여권 보장하고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인천시 조례를 제정하라!

시민 참여권 보장하고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인천시 조례를 제정하라!

chemistry.hwp 시민 참여권 보장하고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인천시 조례를 제정하라! 구미와 삼성전자에서 발생한 불산 유출 사고, 상주 염화수소 유출 사고, 청주 불화수소 유출 사고 등 화학물질 누출 및 폭발 사고로 인한 직업성 및 환경성 피해는 계속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정유공장에서 벌어진 최근의 폭발 사고는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유해위험성과 그에 따른 주민의 안전과 생명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국사회는 최근의 화학물질 유출...

[제45회 지구의날 성명] 국제멸종위기 상괭이 사체 서울 한강변서 발견! 신곡수중보 철거하고, 한강 자연성 회복해야

[제45회 지구의날 성명] 국제멸종위기 상괭이 사체 서울 한강변서 발견! 신곡수중보 철거하고, 한강 자연성 회복해야

[제45회 지구의 날 성명] 멸종위기 돌고래 상괭이 사체 서울 한강변서 발견 밀물 때 신곡수중보 넘어와 썰물 때 걸려 죽은 것 신곡수중보 철거하고, 한강 자연성 회복해야  지난 16일 서울 한강변에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의 국제멸종위기종 상괭이 한 마리가 죽은 채 발견됐다. 상괭이 사체가 한강에서 발견된 것은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우리나라 상괭이는 서해에 주로 서식하며, 밀물 때 신곡수중보를 넘어 들어왔다가 썰물 때 보에 걸려 빠져나가지 못해 죽은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