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초록교사 현장심화교육_강씨봉자연휴양림

초록교사 현장심화교육_강씨봉자연휴양림

인천녹색연합에는 어린이숲생태교육인 초록동무, 청소년갯벌생태교육인 게눈, 청소년하천모니터링 활동을 하는 또랑이 있습니다. 초록동무, 게눈, 또랑에서 함께 생태교육을 진행하며 교육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하고 있는 초록교사가 있습니다. 자원활동으로 함께 하고 있는 초록교사의 생태와 자연에 대한 공부를 통해 이해도를 높이고, 생태교육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초록교사 현장심화육을 다녀왔습니다. 12월 7일~8일, 1박 2일동안 강씨봉자연휴양림과 칼봉산자연휴양림에서 겨울나무와 겨울눈을...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기금은 지역정치권의 쌈짓돈이 아닙니다

[성명서] 매립지특별회계기금은 지역정치권의 쌈짓돈이 아닙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현재 인천광역시의회에서 인천광역시 2020년 예산과 관련하여 막바지 계수조정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인천광역시의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기금(이하 매립지특별회계)을 또다시 정치권의 쌈짓돈처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에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매립지특별회계를 정치권의 쌈짓돈처럼 사용하려는 시도를 즉각...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바라보다_3기 신도시 계획으로 위태로운 계양들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바라보다_3기 신도시 계획으로 위태로운 계양들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바라보다: ○3기 신도시 계획으로 위태로운 계양들_박주희(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부천대장신도시와 부천의 미래_김기현(부천YMCA 사무처장) ○Green Belt, 이제는 복원과...

[마감] 2020 겨울야생동물학교 함께 가요~

[마감] 2020 겨울야생동물학교 함께 가요~

●날짜 : 2020년 1월 10일(금)~12일(일) ●장소 : 설악산 장수대 일대 ●대상 : 11세~16세 (2020년 기준) ●신청기간 : 12월 2일~27일 ●참가비 : 회원 18만원, 비회원 20만원  [농협] 146-01-111045 인천녹색연합 ●문의 : 인천녹색연합 (우박) 032-548-6274 / 010-2753-3317 ●자세한 일정 및 내용은 위의 이미지에서 확인해주세요~ ※12월 27(금)까지 구글폼으로 신청 및 입금 완료하셔야 참가 확정입니다. (입금...

제4회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탐구동아리 활동 발표회 개최

제4회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탐구동아리 활동 발표회 개최

[보도자료] 제4회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탐구동아리 활동 발표회 개최 지난 11월 30일(토)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탐구 동아리” 제4회 활동 발표회’가 백령종합사회복지관 대강당에서 진행되었다. 백령중고등학교 학생과 지도교사, 점박이물범을사랑하는사람들모임, 인천녹색연합, 해양환경공단, 인천광역시남부교육지원청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올 한 해 동안 점박이물범을 주제로 동아리 학생들이 탐구하고 활동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발표하였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_박정운(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장) . . .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   지구적 차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감소의 위기나 환경 질의 악화 문제에 대해 2010년...

박정운 황해물범시민사업단장, SBS물환경대상 수상

박정운 황해물범시민사업단장, SBS물환경대상 수상

[보도자료] 박정운 황해물범시민사업단장, SBS물환경대상 수상 인천녹색연합 박정운 황해물범시민사업단장이 어제(11월25일) SBS와 환경부, 환경운동연합이 주최하는 ‘제11회 물 환경 대상’에서 ‘시민실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SBS물환경대상은 물과 생태환경을 지키고자 애쓰는 사람과 단체를 격려하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정책·경영, 시민·사회, 교육·연구, 시민·실천 등 5개 부문으로 평가해 시상해 오고 있다. 박정운 단장은 녹색연합이 점박이물범 보호활동을 시작한...

영종도갯벌철새 사진공모전 – 연장

영종도갯벌철새 사진공모전 – 연장

● 응모자격 : 제한없음 ● 응모주제 : 영종도갯벌 또는 영종도갯벌을 찾아오는 철새 ● 출품형식 : 1인 2점 이내(2018년 이후 촬영한 사진) ● 작품규격 : 긴 면 2,000픽셀 이상, 해상도 300dpi 이상 ● 작품제출 방법 : 온라인에서 신청서 작성 후 메일로 작품 발송 ① 신청서 작성 http://bit.ly/영종도갯벌철새사진공모전 ② 작품 메일 발송 greenic032@gmail.com ● 접수기간 : 2020년 2월 9일 도착분 ● 심사 : 전문가 심사...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⓸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3) 가로림만에도 점박이물범이 살아요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⓸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3) 가로림만에도 점박이물범이 살아요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1 )후손들도 점박이물범을 볼 수 있도록_유신자(점박이물범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장) –2)우리가 나섰다_조재현(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3)가로림만의 점박이물범_김용민(국립공원관리공단 태안국립공원사무소...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⓸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2) 우리가 나섰다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⓸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2) 우리가 나섰다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1 )후손들도 점박이물범을 볼 수 있도록_유신자(점박이물범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장) –2)우리가 나섰다_조재현(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3)가로림만의 점박이물범_김용민(국립공원관리공단...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⓸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1) 후손들도 점박이물범을 볼 수 있도록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⓸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1) 후손들도 점박이물범을 볼 수 있도록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1 )후손들도 점박이물범을 볼 수 있도록_유신자(점박이물범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장) –2)우리가 나섰다_조재현(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생태학교 동아리) –3)가로림만의 점박이물범_김용민(국립공원관리공단...

[초록동무후기_연수구] 비움과 채움

[초록동무후기_연수구] 비움과 채움

초록동무 전체가 모여 초록동무 선서를 하고, 낙엽공을 만들어 공놀이를 하는것으로 몸을 풀었습니다.  한번도 결석하지 않은 해정이와 윤슬이는 오늘도 이쁘게 출석했어요. 조촐하게 산을 오르며 겨울을 준비하는 숲속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이번 미션은 숲속의 향기를 찾아 나만의 향주머니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산을 오르는 내내 컹컹거렸다는 ^-^ 단내 폴폴 풍기는 계수나무잎, 푸릇한쑥, 나무냄새, 솔잎향등등. 숲의 향기를담아 향주머니 완성! 또 떨어진 고운 빛깔 나뭇잎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