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학교와의 거리 100m도 되지 않는 남촌일반산업단지 계획에 주민의견 수렴 0건!

학교와의 거리 100m도 되지 않는 남촌일반산업단지 계획에 주민의견 수렴 0건!

[성명서] 학교와의 거리 100m도 되지 않는 남촌일반산업단지 계획에 주민의견 수렴 0건! 산업단지와의 거리 500m도 되지 않는 곳에 학교 4곳 위치 하지만 형식적인 주민의견 수렴 과정으로 주민의견 0건. 인천광역시와 남동구는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 거치고, 산업단지 영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책 마련해야 인천 남동구가 남동스마트밸리(남촌 일반산업단지) 개발 특수목적법인(SPC)의 설립을 위해 한국산업은행 및 현대엔지니어링(주) 컨소시엄과 지난 19일 주주협약을 체결하고...

[일회용품없는 학교 만들기] 신명여고 GREEN LIGHT 12월 활동 후기

[일회용품없는 학교 만들기] 신명여고 GREEN LIGHT 12월 활동 후기

12월 18일(수) 신명여고 환경동아리 GREEN LIGHT와 [일회용품 없는 학교 만들기] 마지막 모임을 가지었습니다. 6월부터 10월동안 일회용품이 지구에 가하는 문제점과 국내외 정책 그리고 여러번 쓸 수 있는 다회용품을 만들어보았습니다.  페트병을 버릴 때에는 비우고 헹군다음에 잘 분리해서 버리자며 학급을 오가며 캠페인 활동도 펼쳤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GREEN LIGHT 친구들과 모여 학교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조사하고자 3모둠으로 나누어 활동하였습니다.  1모둠은...

혈세낭비, 녹지파괴 ‘도로 망령’을 되살리려는가? 인천시는 한남정맥 파괴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계획을 즉각 폐기하라! 

혈세낭비, 녹지파괴 ‘도로 망령’을 되살리려는가? 인천시는 한남정맥 파괴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계획을 즉각 폐기하라! 

오늘 언론을 통해 인천광역시가 한남정맥을 관통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를 추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남정맥 녹지파괴하는 검단신도시 연결도로계획은 인천광역시가 이미 2012년 폐기한 계획이다. 민선7기 인천시정부는 혈세낭비, 녹지파괴의 검단장수간도로 망령을 되살려 사회적 갈등을 유발시키지 말고 한남정맥 관통 도로계획을 즉각 폐기해야 한다. 보도에 의하면 검단신도시연결도로는 검단신도시교통개선대책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1,404억원 사업비가 투입되는...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5년… 인천시 생활폐기물 2015년 대비 106% 증가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5년… 인천시 생활폐기물 2015년 대비 106% 증가

[보도자료] 수도권매립지 4자 합의 5년... 인천시 생활폐기물 2015년 대비 106% 증가 - 2018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 선언했으나 매립되는 생활폐기물 오히려 증가 - 지자체의 생활폐기물 발생 감축 노력 부족. 적극적인 감축 계획 수립해야 2015년 1월 9일, 수도권매립지 4차 협의체에서 생활폐기물 제로화 및 건설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 매립량 감축 방안을 적극 추진하는 것에 합의하였다. 인천광역시도 2018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칼럼] 최초의 운하, 그러나 배없는 뱃길

(24) 아라천 - 경인아라뱃길 “하역장비가 가동되는 것을 본 적이 없어. 조만간 철거돼 고철로 팔릴 거라는 이야기도 있어” “여름에는 자전거 타거나 산책 나온 사람들이 제법 있는데 날이 추워지면서 개미 한 마리 없어” 시원스럽게 뚫린 물길을 따라 북서풍이 분다. 잔물결 이는 수면에는 고개를 파묻은 흰죽지들이 물결을 따라 일렁인다. 인적이 끊겨서인지 한때는 줄지어 달렸을 자전거도로 위로 부는 바람이 더욱 매섭다. 매점 문은 꽁꽁 잠겼고 화장실 변기 절반은 사용금지다. 높다란...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해주세요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해주세요

오늘 인천옹진군 자월면과 덕적면 주민 294명은 박남춘 인천광역시장님께 인천앞바다의 지주(支柱)인 선갑도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줄 것을 청원합니다. 선갑도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무인도이며 충청남도와 옹진군 덕적면과 자월면 등 덕적군도의 섬들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인천경기만의 중심입니다. 우뚝 솟은 선갑도는 신선의 세계라 하여 선접(仙接)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선단여와 함께 망구할매 전설이 깃든 섬으로 인천경기만의 지주(支柱)이며...

초록교사 현장심화교육_강씨봉자연휴양림

초록교사 현장심화교육_강씨봉자연휴양림

인천녹색연합에는 어린이숲생태교육인 초록동무, 청소년갯벌생태교육인 게눈, 청소년하천모니터링 활동을 하는 또랑이 있습니다. 초록동무, 게눈, 또랑에서 함께 생태교육을 진행하며 교육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하고 있는 초록교사가 있습니다. 자원활동으로 함께 하고 있는 초록교사의 생태와 자연에 대한 공부를 통해 이해도를 높이고, 생태교육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초록교사 현장심화육을 다녀왔습니다. 12월 7일~8일, 1박 2일동안 강씨봉자연휴양림과 칼봉산자연휴양림에서 겨울나무와 겨울눈을...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기금은 지역정치권의 쌈짓돈이 아닙니다

[성명서] 매립지특별회계기금은 지역정치권의 쌈짓돈이 아닙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현재 인천광역시의회에서 인천광역시 2020년 예산과 관련하여 막바지 계수조정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인천광역시의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수도권매립지주변지역환경개선특별회계기금(이하 매립지특별회계)을 또다시 정치권의 쌈짓돈처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에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매립지특별회계를 정치권의 쌈짓돈처럼 사용하려는 시도를 즉각...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바라보다_3기 신도시 계획으로 위태로운 계양들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바라보다_3기 신도시 계획으로 위태로운 계양들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바라보다: ○3기 신도시 계획으로 위태로운 계양들_박주희(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부천대장신도시와 부천의 미래_김기현(부천YMCA 사무처장) ○Green Belt, 이제는 복원과...

[마감] 2020 겨울야생동물학교 함께 가요~

[마감] 2020 겨울야생동물학교 함께 가요~

●날짜 : 2020년 1월 10일(금)~12일(일) ●장소 : 설악산 장수대 일대 ●대상 : 11세~16세 (2020년 기준) ●신청기간 : 12월 2일~27일 ●참가비 : 회원 18만원, 비회원 20만원  [농협] 146-01-111045 인천녹색연합 ●문의 : 인천녹색연합 (우박) 032-548-6274 / 010-2753-3317 ●자세한 일정 및 내용은 위의 이미지에서 확인해주세요~ ※12월 27(금)까지 구글폼으로 신청 및 입금 완료하셔야 참가 확정입니다. (입금...

제4회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탐구동아리 활동 발표회 개최

제4회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탐구동아리 활동 발표회 개최

[보도자료] 제4회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탐구동아리 활동 발표회 개최 지난 11월 30일(토) 백령중고등학교 “점박이물범 탐구 동아리” 제4회 활동 발표회’가 백령종합사회복지관 대강당에서 진행되었다. 백령중고등학교 학생과 지도교사, 점박이물범을사랑하는사람들모임, 인천녹색연합, 해양환경공단, 인천광역시남부교육지원청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올 한 해 동안 점박이물범을 주제로 동아리 학생들이 탐구하고 활동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발표하였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

[초록세상_생태환경전문잡지 232호]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_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

기획특집: 생명과 공존의 상징, 점박이 물범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걸어온 길_편집위원회 ○서해를 대표하는 기각류, 점박이물범 _김현우(고래연구센터) ○우리나라 점박이 물범 서식 현황과 위협요인_편집위원회 ○점박이물범을 지키는 사람들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_박정운(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장) . . .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한 전망 및 방향   지구적 차원에서 발생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감소의 위기나 환경 질의 악화 문제에 대해 20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