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식물

[활동 안내] 우리 갯벌, 야생생물 탐사대

[활동 안내] 우리 갯벌, 야생생물 탐사대

4월 9일(토) 영종도 씨사이드파크에서 진행할 활동에 대해 안내해드립니다! 1. 준비물 : 마스크, 물(텀블러 사용 권장), 돗자리(있는 경우), 편한 복장 2. 시간 및 장소 ■시간 : 오전 9시 50분까지 ■만남 장소 : 영종도 씨사이드파크 송산유수지 (인천 중구 운남동 1750-12) ■위 주소 부근 도로에 잠시 주차해주시면 됩니다! 이번 활동은 사전에 신청해 주신 분들을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신청자 분들 중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문자드린 번호로 연락 주시면...

[공개 제안서] 양서류 서식 보전방안 실현을 위한 민관협의회 구성을 제안한다.

[공개 제안서] 양서류 서식 보전방안 실현을 위한 민관협의회 구성을 제안한다. -인천시, 지난 1월 양서파충류의 서식환경 개선 및 보전을 위한 모니터링 용역 완료 -주요 양서파충류 서식지 야생생물보호구역 지정 등 서식지 보전방안 도출 -민관협의회 구성해 실질적으로 실행해 나가야 지난 1월, 인천시는 각종 개발로 교란, 감소하는 양서파충류 서식지 현황을 파악하고 보전방안 마련을 위한 ‘양서‧파충류 서식환경 모니터링 용역’을 완료했다. ‘양서‧파충류 서식환경 모니터링 용역...

[제52회 지구의 날] 우리 갯벌 야생생물 탐사대

[제52회 지구의 날] 우리 갯벌 야생생물 탐사대

신청 마감되었습니다.  4월 22일은 52회 지구의 날입니다. 지구의 날은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1970년 시작되었습니다. 제52회 지구의 날을 맞아, 인천녹색연합은 갯벌 습지의 중요성에 대해 시민분들과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멸종위기종 흰발농게와 저어새 등 다양한 야생생물들이 살아 숨쉬고 있는 영종 갯벌. 영종도의 생명들을 관찰하고, 습지의 중요성을 알아보아요! -활동일시 : 2022년 4월 9일(토) 오전 10시~오후 12시 -활동장소 : 영종도...

[성명서] 계양산 두꺼비 로드킬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시급

[성명서] 계양산 두꺼비 로드킬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시급

[성명서] 계양산 두꺼비 로드킬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 시급 인천녹색연합은 어제(3월 14일(월)) 계양산 다남 녹지(다남동 산70-10) 인근 도로에서 270m에 걸쳐 로드킬 피해를 본 80마리 두꺼비 사체를 확인했다. 양서류 이동철인 만큼 추가 로드킬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로드킬 피해방지를 위한 표지판 설치, 차량 속도제한, 도로 구조물 변경 등 대책이 시급히 필요하다. 또한 인천시는 양서파충류 보호 계획을 수립한 만큼 로드킬 피해 우려 지역 확인 및 로드킬 피해 방지를...

백령도 점박이물범 모니터링(3차 년도) 결과 발표

백령도 점박이물범 모니터링(3차 년도) 결과 발표

[보도자료] 백령도 점박이물범 모니터링(3차 년도) 결과 발표 - 2021년 2월부터 12월까지 주민 모니터링단과 총 169일 모니터링 진행 - 2019년부터 주민 모니터링을 통해 유의미한 생태현황 확인 - 점박이물범보호를 위한 해양공간계획 및 보호관리계획 수립, 적용 필요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이하 황해물범시민사업단)은 점박이물범을사랑하는사람들의모임(이하 점사모)과 2021년 2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한 ‘백령도 지역주민에 의한 점박이물범 모니터링(3차 년도)’결과를...

[모집]2022 저어새 환영잔치

[모집]2022 저어새 환영잔치

봄을 맞아 남동유수지에 찾아오는 저어새를 맞이하고자 <저어새 환영잔치>를 진행합니다. 남동유수지 주변 정화 활동과 더불어서 저어새를 알아가고 함께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이번 주 토요일 (19일), 오전 9시에 남동유수지 저어새생태학습관에서 뵙겠습니다. *신청하기:...

[22양서류모니터링단] 2월 활동 사진

[22양서류모니터링단] 2월 활동 사진

2월 5일(토) 첫 모임을 시작으로 27명의 단원분들과 함께  계양산, 원적산, 만월산, 청량산 등지에서 양서류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매서운 추위에 웅덩이와 계곡물이 꽝꽝 얼어 그리운 얼굴 만나기는 어려웠지만, 주에 한 번씩 모니터링 지점을 찾았습니다. 수온계와 리트머스지를 챙겨 물 환경도 살펴보았습니다. 지점마다 차이가 있어 1월 말 계양산에서 도롱뇽알을, 2월 중순에는 인천대공원에서 올라붙기(포접)중인 한국산개구리와 도롱뇽 알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는...

[보도자료] 점박이물범 한반도 번식 가능성 여부 조사가 필요하다.

[보도자료] 점박이물범 한반도 번식 가능성 여부 조사가 필요하다.

    [보도자료] 점박이물범 한반도 번식 가능성 여부 조사가 필요하다. - 출생 1개월 내외의 어린 점박이물범 백령도 연안 좌초 확인 - 2021년 태안군에서도 어린 점박이물범이 확인된 사례로 보아 한반도 서해연안 번식 가능성 있어 어제(2월16일) 오전 8시경, 태어난지 1개월 내외인 것으로 추정되는 점박이물범...

[2월 모임 참여자 모집] 동물보호법 함께 읽기

[2월 모임 참여자 모집] 동물보호법 함께 읽기

반려인구 1500만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동물보호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지요. 1991년 5월, 동물보호법이 첫 제정된 이후 3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동물보호법은 왜 만들어졌고,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동물보호법을 한번 읽어보고는 싶은데 선뜻 다가기가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 최대한 쉽고 간략하게 같이 읽어볼까요? 우리나라 동물보호 문제에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 함께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주제 나눔이 : 강재원 인천녹색연합...

[신청마감]2022양서류모니터링단 모집합니다.

[신청마감]2022양서류모니터링단 모집합니다.

내가 살고 있는 동네의 양서류가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활동하는 <2022 양서류 모니터링단> 신청을 받습니다. 인천녹색연합은  2008년부터 시민들과 함께 계양산을 중심으로 양서류 모니터링을 진행했으며, 2018년부터는 모니터링단을 구성해 양서류 주요 서식지 모니터링과 캠페인을 전개해왔습니다. 매 해 양서류의 산란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올 해에는 2월 5일(토)을 시작으로 5월 31일(토)까지  정기적으로 양서류 서식지를 모니터링하고 기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