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계양산시민보호관리를 위한 거점 마련해야 - 오늘(1월19일) 계양산보호계획 방향 설정과 지속가능관리모델 모색 토론회 개최 - 시민들과 함께 지켜낸 계양산 보호계획 수립 과정과 이후 관리에 시민들이 주체로 나서야 - 시민활동의 중심이 되는 거점 필요성 제안돼 오늘(1월19일) 오전10시, 인천녹색연합과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생태연구실 공동주관으로 인천광역시의회에서 ‘계양산보호계획 방향 설정과 지속가능관리모델 모색 토론회’를 진행했다. 인천내륙에서 가장 높고 생물다양성이...
활동
[영상]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정책을 바꾼 ‘화장품어택’
인천녹색연합을 비롯한 7개의 단체와 전국의 화장품 용기 수거 상점 108곳이 화장품 용기 재활용 정책을 위해 힘을 합쳤습니다. 화장품 용기 공병 수거와 2번의 기자회견, 1만 명 시민 서명, 화장품 용기 재활용...
[논평] 인천시 해양환경과 신설을 환영하며
[논평] 인천시 해양환경과 신설을 환영하며 해양생태계보전 및 해양쓰레기 문제대응에 선제적으로 나서길 기대 이제 기후위기시대, 탄소중립실현을 선도하기 위한 조직개편에도 힘쓰길 지난주 인천광역시 해양환경과가 신설되었다. 해양쓰레기대응, 해양환경보전 등 광범위한 해양환경업무를 그동안 도서지원과 내 한 개 팀이 담당했었다. 해양환경 관련 행정조직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했던 환경단체들은 이번 해양환경과 신설을 환영하며 인천시가 해양생태계 보전 및 해양쓰레기 문제대응 나아가 해양환경...
인천두루미네트워크 출범 행사
인천 시조가 두루미 입니다. 1984년 해제됐습니다만, 청라신도시와 수도권매립지 자리는 두루미 도래지로 천연기념물이기도 했습니다. 그간 시민사회와 거버넌스 기구가 두루미 모니터링과 서식지 보전활동을 진행해왔습니다. 활동을 엮어내고, 힘있는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발족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계양산보호계획 방향 설정과 지속가능관리모델 모색 토론회
오랜시간, 인천시민들의 힘으로 계양산을 지켜왔습니다. 시민들이 각종 개발사업을 막아냈고, 인천시가 계양산보호계획 수립 중에 있습니다. 시민들과 함께 지켜낸 계양산을 앞으로도 시민들과 함께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계양산보호계획 방향 설정과 지속가능관리모델 모색 토론회] ○ 일시 : 2022년 1월 19일(수) 오전 10시 ○ 장소 : 인천광역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 회의실(별관2층) ○ 주최 : 인천광역시 ○ 주관 :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생태연구실,...
[천자춘추] 해상풍력발전 추진의 전제조건
[천차춘추] 해상풍력발전 추진의 전제조건 전세계적인 이슈 중 하나는 단연 ‘기후위기’다. 기후위기를 가속화하는 석탄 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에 이견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확대를 어떤 방식과 속도로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한다. 인천에서도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30년까지 인천 전력 수요량의 35.7%를 수소연료전지,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것이 인천시의 계획이다....
[보도자료] 카페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 실태 모니터링 결과 발표
[보도자료] 카페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 실태 모니터링 결과 발표 - 인천녹색연합 자원순환모임에서 매장 내 다회용 컵 사용 소비자 인식조사 진행 - 카페에서는 매장 내에서 다회용컵 사용 권장 방안 적극 고민해야 인천녹색연합 자원순환모임 ‘과포화’에서 9월 16일부터 10월 21일까지 매장 내 다회용 컵 사용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다수의 소비자는 매장에서 다회용 컵을 제공하기만 하면 다회용 컵을 사용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다. 일부 다회용 컵 사용을 꺼리는...
2022 인천녹색연합 생태교육활동 신청·모집(기존회원)
초록학교는 어린이,청소년들과 자연을 겸험하고 뛰어놀면서
인천의 숲과 갯벌,하천 환경을 이해하고 환경보전을 실천합니다.
환경청, 배곧대교 민자사업에 최종 부동의. 당연한 결정이다!
[성명서] 환경청, 배곧대교 민자사업에 최종 부동의. 당연한 결정이다! - 한강유역환경청,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입지 부적절’ 의견에 이어 본안에 대해 ‘전면재검토(부동의)’ 의견 - 시흥시, 계획안 즉각 폐기해야. 지난 12월 14일, 한강유역환경청(환경부)이 배곧대교 민간투자사업 전략·소규모환경영향평가서(본안)에 대해 ‘전면재검토’(부동의) 의견을 시흥시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2020년 12월 29일, 한강유역환경청이 초안에 대해 ‘입지 부적절’ 의견을...
2022탈핵대선연대 출범 선언
12월 15일 오전 11시, 명동 카톨릭회관 1층 강당에서 2022탈핵대선연대 출범식이 진행됐다. 2022탈핵대선연대는 전국 65개 단체들의 연대체로 대선기간동안 탈핵의 시급성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대선후보와 차기 정부에 탈핵을 주요 정책 의제로 제도화할 것을 요구하는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출범식은 조현철 녹색연합 공동대표의 발언으로 시작됐다. 조현철 대표는 양심있는 시민들에게 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다고 강조하며 탈핵의 가능성과 대안이 있음을 설득력있게 제시할 수 있는...
[12월 모임 참여자 모집] 가축전염병 살처분, 무엇이 문제인가?
익숙해지려 노력하지만 언제 들어도 낯설게만 느껴지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살처분'입니다. 2020년 10월~2021년 4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살처분이 휘몰아쳤습니다. 2993만이 넘는 가금동물들이 살처분당했습니다. 2993만이란 숫자를 곱씹지만 그 죽음의 무게를 가늠조차 할 수 없습니다. 12월 동물문제 공부모임 어바웃애니멀은 가축전염병 살처분을 알아봅니다. 활동가가 해당 주제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나눕니다. 가축전염병 살처분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 전반을...
[카드뉴스] 해결 2기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티로폼 쓰레기 처리하기
해양쓰레기를 '해결' 하기 위해 모인 청년 모임 '해결 2기'에서 제작한 카드뉴스입니다. 해결은 '한강에서 서해까지'라는 주제로 올해 인천의 석모도, 강화 더리미 포구, 굴포천에 다녀왔습니다. 현장을 다녀오고 쓰레기를 직접 주워보며 느낀 점은 바다에 '스티로폼 쓰레기'가 정말 많다는 것이었는데요. 그래서 '스티로폼'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관계자 분들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자료를 조사해서 카드뉴스를 제작했습니다. 스티로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해서 해양쓰레기 문제를 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