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또랑 6월후기] 우리 집 근처 물길의 변화상을 조사하고, 물길풍경을 찬찬히 들여다봐요.

[또랑 6월후기] 우리 집 근처 물길의 변화상을 조사하고, 물길풍경을 찬찬히 들여다봐요.

코로나19로 청소년하천모니터링 '또랑'은 집 주변의 물길 조사를 주제로 4월부터 개별활동으로 전환하여 진행했습니다. 6월에는 지난 달에 이어서 집 주변 물길의 환경변화와  동식물 관찰, 물길 주변 쓰레기 모니터링을 했습니다. 그리고 조사하는 물길주변을 찬찬히 살펴보길 바라며 2~3분 내외의 동영상 촬영, 하천 주변 환경 스케치, 물길 조사를 주제로 한 짧은 글짓기 중 하나를 선택해서 활동해봤습니다. 총 71명의 또랑 친구들중에서 6월에는 15명, 5월에는 13명이 개별활동에...

옛 송도유원지 인근부지 토양오염 확인! 인천도시공사는 토양정밀조사결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옛 송도유원지 인근부지 토양오염 확인! 인천도시공사는 토양정밀조사결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보도자료] 옛 송도유원지 인근부지 토양오염 확인! 인천도시공사는 토양정밀조사결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최근 인천녹색연합은 인천 연수구 옥련동 620-10, 인천도시공사부지(옛 송도유원지부지 인근)가 오염된 사실을 토지인도소송 감정보고서에서 확인했다. 인천지방법원의 감정촉탁을 받고 한 대학교에서 2018년 3월 7일 조사제출한 감정보고서에 따르면 TPH, 납, 카드뮴, 니켈, 구리, 아연 등의 토양오염물질이 1지역 기준을 초과했다. 이후 인천도시공사는 2019년 7월...

반환된 부평미군기지 정화비용만 800억원, 오염원인자인 주한미군이 책임져야 한다.

반환된 부평미군기지 정화비용만 800억원, 오염원인자인 주한미군이 책임져야 한다.

[기자회견문] 반환된 부평미군기지 정화비용만 800억원, 오염원인자인 주한미군이 책임져야 한다. 오는 8월부터 부평미군기지 다이옥신 정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지난해 반환된 A,B,C구역 중 과거 DRMO였던 A구역의 정화비용만 682억원이다. 아직 반환되지 않은 지역의 토양오염 정화비용까지 합하면 최소 1천억원이 넘는 오염정화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부평미군기지맹독성폐기물주한미군처리촉구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환경정의를 바로 세우고 환경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갯벌매립 40% 축소? 단 한 뼘의 갯벌 매립도 안된다. 인천시는 영종도갯벌 매립계획 전면 철회하라!

갯벌매립 40% 축소? 단 한 뼘의 갯벌 매립도 안된다. 인천시는 영종도갯벌 매립계획 전면 철회하라!

영종도갯벌 매립을 막기 위해 시민들이 5월 12일부터 오늘까지 39회차 인천시청 앞 릴레이 1인 시위 중에 있습니다. 헌데 오늘 인천시가 영종도갯벌 매립 면적을 40% 줄여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인천녹색연합을 비롯한 시민들은 '단 한 뼘의 갯벌 매립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담아 성명서를 발표합니다. . . [성명서] 갯벌매립 40% 축소? 단 한 뼘의 갯벌 매립도 안된다. 인천시는 영종도갯벌 매립계획 전면 철회하라! 언론보도를 통해 인천광역시(인천경제자유구역청)가...

[후기] 6월 누리달, 게눈 잘 마쳤습니다.

[후기] 6월 누리달, 게눈 잘 마쳤습니다.

올해 처음으로 마시란해변에서 게눈 친구들을 만났습니다. 코로나로 오래 못 보다가 만나서인지 더 반갑고 재밌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모둠선생님과 친구들과 인사도 나누고, 민챙이알, 엽낭게, 갯지렁이, 동죽, 밤게, 딱총새, 등 다양한 갯벌생물을 관찰했습니다. 갯벌 위를 걷고, 땅을 파보고, 시원한 바람을 맞으면서 일상의 소중함을 더욱 느끼게 됩니다. 게눈 친구들이 나눈 후기입니다:D -밤게, 동죽, 민챙이알을 봤다. -민챙이알이 투명색으로 동그랗게 부풀어오른 것이 신기했다....

[보도자료] 인천녹색연합, 7월의 멸종위기야생생물 ‘맹꽁이’선정

[보도자료] 인천녹색연합, 7월의 멸종위기야생생물 ‘맹꽁이’선정

- 장마철, 시민들에게 맹꽁이 서식지 제보 받아 서식 현황 파악 예정  - 이를 통해 맹꽁이 주요 서식지에 보호 안내판 설치할 것  인천녹색연합은 7월의 멸종위기야생생물로 ‘맹꽁이(Kaloula borealis)’를 선정했다. 무미목 맹꽁이과의 맹꽁이는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맹꽁이는 다른 양서류들에 비해 머리가 뭉툭하여 둥근 모양의 몸을 가지고 네 다리가 무척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맹꽁이는 평소에 땅속에서 서식하고 야간에 먹이 활동을 위해...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 ‘파랑’ 10기 서류심사발표

안녕하세요. 코로나 19로 인해 일정 변동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인천섬바다기자단에 지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류심사 합격자 명단( 19명)- 경가람, 김동휘, 김시우, 김지민, 나영채, 나종현, 박민우, 선한규, 송강서, 안서연, 이민지, 이준호, 이진섭, 임동준, 임수민, 전준범, 정태양, 조민서, 현윤진   *면접시간은 첨부자료를 확인해주세요(면접 시간표 공지) *면접심사는 7월 4일(토)입니다. 본인 면접시간을 잘 확인하시고, 면접시간 10분전에 면접...

송영길 의원, 실패한 경인운하를 되살리려는 정치적 외압 중단하라!

송영길 의원, 실패한 경인운하를 되살리려는 정치적 외압 중단하라!

지역사회 거센 반발에도 정치적 치적을 쌓기 위해 물류 기능이 필요하다며 경인운하 건설을 강행했으나, 물류 기능은 거의 상실했습니다. 이에 경인운하 기능을 재정립하기 위해 환경부가 '공론화위원회'를 운영 중입니다. 헌데, 오늘 공론화위원회 회의에 송영길 국회의원을 비롯한 계양구 시의원, 구의원들이 대거 참석해 정치적 외압을 행사하려고 하여 긴급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 . ○ 경인운하백지화수도권공동대책위원회(이하 ‘경인운하공대위’)는 30일 환경부 경인아라뱃길공론화위원회...

[후기] 6월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

[후기] 6월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

2020년 6월 27일 멸종위기야생동물 지킴이단은 계양들녘에서 금개구리와 만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금개구리를 직접 만나보기 전 지킴이단은 금개구리와 양서류(참개구리, 맹꽁이, 청개구리)의 특징과 울음소리, 금개구리가 살고있는 계양들녘과 습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금개구리는 멸종위기야생생물2급으로 주로 논습지에 살지만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갈 곳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후 지킴이단은 두 조로 나누어서 수로에서 금개구리를 관찰하고 모니터링지를 작성했습니다. 지도에...

2020년 7월 빗방울달 초록동무 활동안내

2020년 7월 빗방울달 초록동무 활동안내

초록동무는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수업을 진행합니다. 계양구/부평구/연수구(미추홀구,동구,중구)/남동구/청라/영종으로 나누어 교육을 하며 올해 활동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역별로 신청자 명단 및 활동 장소 등을 확인해주세요. 코로나19로 인해 그동안 숲과 공원에서 함께 활동하지 못했지만, 초록동무 활동은 매달 두번째 일요일(7/12, 9/13, 10/11, 11/8 )에 지역별로 진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날짜 :  2020년 7월 12일, 일요일  *...

[초록동무후기_연수구] 두근두근 설레이는 초록동무 첫 활동

[초록동무후기_연수구] 두근두근 설레이는 초록동무 첫 활동

두근두근 설레이는 첫 초록동무날!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해 계속 미루어지던 초록동무활동을 마침내 조심스럽게 문을 열었습니다. 모두가 기다려왔지만 그래도 상황이 안정을 취하지 못해 우리는 조심 또 조심 안전생활거리를 유지하며 초록동무 가족들을 맞이했지요.   그리고 인사하기가 무섭게 하얀 체온계를 이마에 들이대며 체온을 재고 기록까지...   기록을 마치기가 무섭게 손소독제로 소독을 하고서야 생활거리 유지하며 시작할 수가 있었지요. 코로나로 인해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