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2023년 1월 후원금, 이렇게 쓰였습니다.

2023년 1월 후원금, 이렇게 쓰였습니다.

정부지원금 0% 인천녹색연합의 모든 활동은 여러분들의 후원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투명하고 정직한 활동으로 여러분들의 성원에 보답하겠습니다. 재정과 관련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 경우, 032-548-6274로 연락 주시면 성심껏...

[겨울 계절학교] 청소년 두루미 생태학교

[겨울 계절학교] 청소년 두루미 생태학교

청소년 두루미 생태학교 인천광역시의 시조(市鳥)가 천연기념물 제 202호 두루미(일명 '학)라는 것을 알고 계실까요? 1980년까지만 인천 경서동과 연희동 인근 갯벌에서 매년 두루미가 월동해 이 일대 갯벌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도 했답니다. 하지만 간척사업으로 갯벌과 섬들은 사라지고, 두루미 개체수도 급격히 줄어들고, 두루미 도래지로의 보전가치가 상실하여 천연기념물 지정이 해제되었습니다. ㅠ.ㅠ 오랜시간 동안 서식지에서 쫒겨난 두루미가 다시 인천에 오고 있습니다. 강화 남단...

2023년 1월 후원해주신 분들입니다.

2023년 1월 후원해주신 분들입니다.

인천의 자연과 환경을 위해 든든한 빛과 소금이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이 함께 해주셔서, 인천녹색연합은 오늘도 인천의 환경과 다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 ctrl+f ] 또는 [ F3 ] 단축키를 눌러, 이름을 쉽게 찾아보세요. 해오름달 1월 개인회원 강명자 강병수 강봉근 강연화 강유진 강윤자 강인숙 강재원 방하나 강다엘 강다원 강정식 강종욱 강호진 강예인 강예후 경윤정 이주영 이주은 이주혁 고명희 고미숙 박준현 고보선 고은화 고주희 고창훈 공석송 공은택 공효영...

[후기] 공원의 산새들은 어떻게 겨울을 지내나요?

[후기] 공원의 산새들은 어떻게 겨울을 지내나요?

공원의 산새들을 관찰하고 한겨울 먹이구하기가 어려운 산새들을 위해 먹이터(버드케이크)를 만들어주는 시간을 원적산에서 가졌습니다.6가족이 함께 아침에 만나 인사를 나눴습니다. 흔히 털찐다고 표현하는, 산새들이 겨울에 털을 부풀리는 이유도 알아보고 특히 공원 산새들이 겨울철에 먹이공급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도 알게되었습니다.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들이 작은 손으로 조물조물 버드케이크를 만들어 나무에 대롱대롱 매달아줬어요. 조금 추웠지만 야생동물도 만나고 의미있는 시간을...

[온라인캠페인]멸종위기종 두루미의 서식지, 강화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온라인캠페인]멸종위기종 두루미의 서식지, 강화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천연기념물 202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멸종위기종 두루미. 겨울이 되면 두루미는 월동을 위해 강화 갯벌을 찾습니다. 갯벌과 갯벌을 터 잡아 살아가는 수많은 생명들 그리고 인간의 공존을 위해 갯벌은 보전돼야만 합니다. 지속가능한 갯벌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분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시민들이 갯벌 보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카드뉴스를 공유해 주세요!...

[모집]겨울 두루미 학교

[모집]겨울 두루미 학교

인천녹색연합과 생태교육센터 이랑에서 각기 다른 날,  폭넓은 층이 인천의 시조, 두루미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흔치않은 기회! 신청을 서둘러 주세요. #1 인천의 시조, 두루미와 만나는 두루미 자연학교 □ 모집대상 : 인천에 찾아오는 두루미가 궁금한 초등학생이 있는 가족(초등학생 이상만 참가 가능) □ 모집인원 : 30명 ※ 1인 1가족(최대 4인) 신청 가능, 가족 포함 인원임 □ 교육내용 : 인천의 시조인 두루미에 대한 실내교육 후 야외로 이동하여 두루미...

[모집] 23양서류모니터링단을 찾습니다.

[모집] 23양서류모니터링단을 찾습니다.

  <2023 양서류 모니터링단>은 내가 살고 있는 동네의 양서류가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활동합니다. 인천녹색연합은  2008년부터 시민들과 함께 계양산을 중심으로 양서류 모니터링을 진행했으며, 2018년부터는 모니터링단을 구성해 양서류 주요 서식지 모니터링과 캠페인을 전개해왔습니다. 올 해에는 2월 12일(일)을 시작으로 6월 30일(금)까지  정기적으로 양서류 서식지를 모니터링하고 기록합니다. SNS를 통해 우리의 활동을 알리며 기록을 통해...

31번째 우보호시

31번째 우보호시

소의 걸음과 호랑이의 눈으로 현장 곳곳을 걷는 모임인 '우보호시' 서른한번째 모임이 1월 28일(토)에 있습니다. 올해도 해안선을 따라 걷습니다. 현장 곳곳을 걷고 싶으신 분들, 누구나 환영합니다! 31번째 우보호시 ○일시 : 1월28일(토) ○ 코스 : 인천남항유어선부두~해사부두~시멘트부두~신국제여객터미널~송도랜드마크시티공원~달빛축제공원역(약 9km, 3시간30분 소요) ○ 모이는 시각과 장소 : 오전8시30분, 인천남항유어선부두 주차장 ○ 준비물 : 따뜻한 복장, 간식과...

[후기] ❄겨울 두루미 생태학교 (1편)

[후기] ❄겨울 두루미 생태학교 (1편)

이번 1월 17일부터 18일까지 1박2일동안, 청년들과 함께 강화도와 동검도로 겨울 두루미 생태학교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1편에서는 두루미의 탐조와 더불어 두루미 생태 교육을 진행하였는데요. 대상이 청년인 만큼 생태를 이해하는것에서 나아가 두루미들의 살아가는 환경에 대한 현실에 대해 아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줄어든 쉼터와 먹이터, 새들에게는 잘 보이지 않는 전선 등... 두루미에게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생태학교 참여자들은 강화와 동검도 갯벌에서 탐조를...

[💕도농교류 / 2차판매!] 장봉도의 친환경 지주식재래김 판매합니다.

[💕도농교류 / 2차판매!] 장봉도의 친환경 지주식재래김 판매합니다.

[💕도농교류 / 2차판매!] 장봉도의 친환경 지주식재래김 판매합니다. 장봉도의 습지보호지역의 갯벌에서 스티로폼 위에서의 생산이 아닌 버팀목을 이용한 옛방식(지주식)으로 생산한 김을 판매합니다. 장봉도의 어촌계는 습지보호지역을 지키기 위해 '공동조업' 방식으로 갯벌과 바다를 지켜나가는 어촌계입니다. 바지락 채취에도 1인당 키로수의 제한을 두거나, 점심시간에 생긴 쓰레기와 갯벌에 있는 쓰레기를 챙겨 돌아오는 등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친환경 수산물 소비를 통해...

[후기] 겨울 철새들의 천국, 교동도로 떠나요.

[후기] 겨울 철새들의 천국, 교동도로 떠나요.

1월 16일 월요일, 교동도로 탐조를 다녀왔습니다.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서른 명의 참가자들이 함께했습니다. 겨울 철새들의 천국이라는 교동도에서 흰꼬리수리, 쇠기러기, 큰기러기, 떼까마귀, 큰부리까마귀, 그냥 까마귀, 찌르레기 등 다양한 새들을 만났습니다. 특히, 보기 어렵다는 뿔종다리를 두 번의 시도 끝에 볼 수 있었습니다. 탐조뿐만 아니라, 접경지인 교동도에서 평화를 생각해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의 난정평화교육원에 방문하여 여러 이야기를 듣고, 새들처럼...

[후기] 에너지놀이교실

[후기] 에너지놀이교실

1월 14일, 지난 주 토요일에 진행된 에너지놀이교실에서는 재밌는 놀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생산 지역 불균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자전거를 돌리며 직접 믹서기의 에너지를 만들어 아이스티를 만들어보기도 하고, 우리나라의 어디에 발전소가 있는지 알아 보기도하고, 비전력 놀이기구를 통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재밌게 놀 수 있다는 것을 배우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