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공촌천, 굴포천을 따라서

공촌천, 굴포천을 따라서

회원활동- 회원활동사진 란에 올려놨었네요ㅠ 늦었지만 다시 올립니다~ 잘 봐주세요 ! 부평고등학교 유승재라고 합니다~ 니콘 카메라 들고 있던 학생 기억하시나요? ㅋㅋ; 평소에 사진 찍는게 취미라, 사실 이번에도 좋은 기회가 되겠구나 그렇게 아무 생각 없이 참가했습니다. 그런데 얻어가는 게 참 많네요~ 아름다운 자연의 사진도 중요하지만 저의 인식을 바꾸어주는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 이렇게 아름다운 자연, 보고만 있어도 흐뭇해지는 풍경도 오염되고 파괴된다면...

2009 자전거 섬 순례 참가자 명단발표

2009 자전거 섬 순례 참가자 명단발표

2009년 자전거 섬순례일정표.hwp 2009 자전거로 떠나는 인천 섬 순례 참가자명단   1. 이영호  2. 최재형 3. 유정아 4. 고태훈 5. 장혜선 6. 강철이 7. 이경환 8. 이재환 9. 조성희 10.조용일 11.박아영 12.한동균  13.조은수 14.한송이 15.한효경 16.정재규 17.양동군 18.신동엽 19.신동경 20.진민지 21.김성진 22.이효정 23.한송이 24.주선인 25.고아라 26.조재용 27.김정환 28.민지환...

물줄기 찾아가 봤니?

물줄기 찾아가 봤니?

맨 앞 두 장의 사진은 공촌천의 발원지라고 합니다. 여러분은 공촌천의 발원지를 보셨는지요? 저는 계양산을 꽤 많이 가 보았지만 공촌천의 발원지라는 곳을 처음으로 가 보았습니다. 그런데 발원지의 모양이 이상하지 않습니까??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인위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습니까?? 저는 이 모습을 보고 꽤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밑의 사진들을 보시면 알 수 있겠지만, 자연의 아름다움을 물씬 느끼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제 사진 솜씨가 좋은 편이 아니지만, 자연 그...

부평고등학교 임상우

부평고등학교 임상우

처음 9/13일날 간곳 공촌천. 더러웠던 강의 모습을 생각했는 데 의외로 깨끗한 공촌천의 모습에 놀랐었습니다. 그리고 공촌천을 따라 걷다가 다슬기?라는 것과 거머리를 보아 무척 신기했었습니다. 게다가 계양산을 올라가다 자연습지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는데 다람쥐선생님과 ...어떤 선생님..(죄송합니다..ㅜ사람이름을 원래 잘 못외워요)이 설명해주시는 꽃도 처음 보았는데 그꽃의 이름 부레옥잠(맞나...) 인데 더러운 물을 정화시켜준다는 설명을 듣고 대단한 식물이라는 생각이...

청소년 체험학교

청소년 체험학교

첫번째 : 청라지구에서 찍은 영종대교입니다 두번째 : 청라지구에서 찍은 공촌천 하류에 있는 갑문입니다 세번째 : 영종대교를 확대해서 찍은 사진입니다 네번째 : 공촌천을 탐험하며 찍은 논 사진입니다 다섯번째 : 공촌천입니다 여섯번째 : 하천에 풀을 심어놓기 위해서 설치한 거라고하네요 일곱번째 : 설치된 이유가 궁금한 말뚝입니다 여덟번째 : 걷던 길에 있던 수수입니다 아홉번째 : 직접 잡았다가 풀어준 우렁이에요 열번째 : 이름이 기억이 안나는 식물 열한번째 : 계양산에서 찍은...

인천의 물줄기를 찾아서

인천의 물줄기를 찾아서

부평고등학교 2학년 윤필구 입니다. 첫번째 사진은 처음으로 만나서 도착한 공촌천과 바다사이의 모습입니다. 두번째와 세번째 사진은 공촌천을 따라 올라가면서 본 장면들인데 여기저기 쓰래기가 있는 모습들이 많았지만 깨끗한 모습들도 많이 볼수 있었다. 네번째 사진은 공촌천 복개된 지점을 따라 올라가다가 발원지로 올라갈려는데 막혀있어서 올라가지 못해서 철망 사이로 찍은 사진인데 좀 아쉬웠다.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사진은 승기천 대신 굴포천을 갔는데 그 사진들이다. 처음에는 냄새도 났지만...

인천의 물줄기를 찾아서 (공촌천 굴포천)

인천의 물줄기를 찾아서 (공촌천 굴포천)

인천의 물줄기를 찾아서 (공촌천 굴포천) 삼산고등학교 10636 최 창 영 입니다. 1 번 사진 : 제 2회 청소년 체험학교 단체사진 = 학교의 추천으로 환경에 대하여 우리 인천의 물줄기를 알아보았다. 체험학교에서 배운 것을 익히고 몸소 실천 해야 할 것이다. 2 번 사진 : 청라 지구의 공사장, 사람은 참 간사한 동물이다. 더 많은 곳, 더 좋은 곳에서 살기 위해 자연을 파괴하면서 까지 개발을 하기 때문이다. 3 번 사진 : 벼가 심어져 있는 들판. 자연은 우리에게 추수의...